000 | 00881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95816 | |
005 | 20140411090325 | |
007 | ta | |
008 | 140410s2014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1147 ▼g 937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8/0071 ▼2 23 |
085 | ▼a 497.80071 ▼2 DDCK | |
090 | ▼a 497.80071 ▼b 2014z1 | |
100 | 1 | ▼a 김윤주 ▼0 AUTH(211009)27283 |
245 | 1 0 | ▼a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의 이해와 원리 : ▼b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 ▼d 김윤주 |
246 | 3 | ▼a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이해와 원리 |
246 | 3 0 | ▼a KSL 교육의 이해와 원리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4 | |
300 | ▼a xi, 374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 | |
504 | ▼a 참고문헌: p. 349-365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0071 2014z1 | 등록번호 1117159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다문화 사회 학교 내 언어 교육의 문제에 관해 논의하고,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문식성의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다문화 시대에 문식성의 개념은 어떤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하는지 논의해 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 시대에 필요한 문식성 교육을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지 그 구성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배경 학생 및 한국어 학습자는 급속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의 교육정책과 교육 현장의 변화는 그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학계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 교육 방안,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다문화 사회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아직 연구의 역사가 길지 않다보니 축적된 성과가 크지 않고 지엽적인 논의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에서는 다문화 사회 학교 내 언어 교육의 문제에 관해 논의하고,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문식성의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다문화 시대에 문식성의 개념은 어떤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하는지 논의해 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 시대에 필요한 문식성 교육을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지 그 구성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아울러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위 주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과 인종적/민족적, 언어적/문화적 소수자에 해당하는 다문화 배경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어떤 관계에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서 지향해야 할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그 방향성에 대해서도 고민해본다. 다문화 시대,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는 물론,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현재의 다문화적 상황에 대하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윤주(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문화교육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Blacksburg Korean Language School과 인창고 교사, 고려대 강사와 홍익대 초빙교수 등을 거쳐 현재는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간을 넘나드는 여행을 통해 시대를 넘나드는 기호와 이야기 찾아내기를 즐기며, 음악과 미술과 영화, 그리고 멍하니 흘려보내는 느린 시간들을 좋아한다. 이중언어와 외국어 습득, 다문화 교육과 국내외 한국어 교육의 문제를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 서울교대, 경인교대, 전주대, 성신여대 등 출강 한국어능력시험(TOPIK) 채점위원 KSL 한국어 교육과정 컨설팅 위원 초,중고 교사·한국어강사·이중언어강사 대상 직무·심화연수 강의 |정책 연구 과제| KSL 교육과정 개발 연구 KSL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KSL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 연구 탈북학생용 국어 교재 개발 연구 다문화교육 용어 사전 개발 연구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중언어강사용 교재 개발 연구 등 |주요 논저|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2010) 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비교 분석(2011)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국어독본 비교(2011) 다문화 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의 학습 한국어 단원 구성 방안(2012)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의 기초 문식성 학습 활동 분석(2012) 탈북학생용 중학교 국어 1,2 (2012, 2013, 공저) 표준 한국어 1,2 (2012, 2013, 공저) 표준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1,2 (2013, 공저) 등 다수

목차
목차 01 서론 = 3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3 1.1. 다문화 배경 학생의 개념 = 6 1.2. 다문화 배경 학생 현황과 특성 = 14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21 2.1.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 21 2.2.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 및 국어교육 관련 연구 = 23 2.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 25 3. 연구 주제와 방법 = 29 02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이론적 검토 = 32 1. 다문화 사회 학교 내 언어 교육 = 33 1.1.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표 = 33 1.2. 다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 = 43 1.3. 다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 = 50 2. 다문화 시대의 문식성 교육 = 54 2.1. 문식성의 개념 확장 = 55 2.2. BICS와 CALP = 60 2.3. 기본 문식성과 학업 문식성 = 66 2.4. 다문화 문식성 = 69 3.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교육 접근법 = 73 3.1. 내용 중심 접근법 = 74 3.2. 과제 기반 접근법 = 81 3.3.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관점 = 86 03 KSL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해외 및 국내 사례 분석 = 91 1. 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과 ESL 교육과정 = 92 1.1. 영어 학습자(ELL)의 개념 = 94 1.2. 자국어 교육과정과 ESL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 97 1.3. 자국어 교육과정의 특징 = 102 1.4. ESL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 124 2. 미국의 ESL 교육과정, WIDA = 136 2.1. WIDA의 개발 배경 = 136 2.2. WIDA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구성 요소 = 138 2.3. 모델수행지표(MPIs)와 구성 요소 = 145 3. 일본의 JSL 교육과정 = 149 3.1. JSL 교육과정 개발 배경과 교육 현황 = 150 3.2. JSL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 153 3.3. 토픽형과 교과지향형 = 155 3.4. JSL 교육과정의 특성과 시사점 = 159 4. 유럽공통참조기준 = 162 4.1. 유럽공통참조기준의 개발 배경과 특징 = 162 4.2. 유럽공통참조기준의 등급 체계 = 165 5. 한국어 교육과정 = 167 5.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 168 5.2. 초ㆍ중ㆍ고등학교 한국어(KSL) 교육과정 = 172 6. 미국, 일본, 한국 교육과정의 비교 = 178 04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요구 분석 = 180 1.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분석 = 181 1.1.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 181 2.2.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 현장 참관 = 184 2.3.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분석 = 186 2. 다문화 배경 학생용 한국어 교재 분석 = 200 2.1. 다문화 배경 학생용 한국어 교재 현황 = 202 2.2. 분석 대상 선정 및 분석 기준 설정 = 208 2.3. 교재 분석 결과 = 212 3.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 관점에서의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 223 3.1.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와 목표 = 225 3.2.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성격 = 228 4.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요구 분석 = 239 4.1. 설문 조사 방법과 표본 구성 = 240 4.2. 설문 조사 내용과 결과 분석 = 245 4.3. 서술형 응답 및 면담 결과 분석 = 275 05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 292 1.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와 원리 = 293 1.1.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상 = 296 1.2.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원리 = 298 2.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 319 2.1.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 320 2.2.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문식성의 개념 설정 = 320 2.3. 한국어 교육과정의 범주(scope) 설정 = 327 2.4. 한국어 교육과정의 위계(sequence) 설정 = 336 3.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방안 = 340 06 결론 = 344 참고문헌 = 345 참고 자료 =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