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10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찬호
서명 / 저자사항
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 김찬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4  
형태사항
324 p. : 삽화 ; 21 cm +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ISBN
9788932025551
일반주기
딸림자료표제: 모멸감 : 현악 사중주를 위한 열개의 단상 / 유주환 작곡  
000 00775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95754
005 20140514151904
007 ta
008 140410s2014 ulka 000c kor
020 ▼a 9788932025551 ▼g 03300
035 ▼a (KERIS)BIB000013436395
040 ▼a 211044 ▼c 211044 ▼d 211009 ▼d 244002
082 0 4 ▼a 302 ▼2 23
085 ▼a 302 ▼2 DDCK
090 ▼a 302 ▼b 2014z2
100 1 ▼a 김찬호 ▼0 AUTH(211009)9521
245 1 0 ▼a 모멸감 : ▼b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 ▼d 김찬호 지음
260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14
300 ▼a 324 p. : ▼b 삽화 ; ▼c 21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500 ▼a 딸림자료표제: 모멸감 : 현악 사중주를 위한 열개의 단상 / 유주환 작곡
740 2 ▼a 모멸감 : 현악 사중주를 위한 열개의 단상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1171600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212301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513205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1171600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212301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2 2014z2 등록번호 1513205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인과 한국 사회를 빚어내는 일상의 문법을 추적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이번에는 ‘감정’으로 삶과 사회를 읽어냈다. “감정은 이성보다 근본적이고 강력하다. 그것은 부수적이고 지엽적인 잉여가 아니라, 중대한 인간사를 좌우하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 『모멸감』에서 ‘감정’을 사회적인 지평에서 분석하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이해해야 함을 역설한다.

일부러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마음의 습관은 인간 사회를 순조롭게 작동하게 하지만, 그 질서가 인간을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사회를 보는 논리』 『문화의 발견』 『돈의 인문학』 등의 저서를 출간하며 일상에 주목해온 그간의 작업과도 일맥상통한다. 생생한 현장 연구와 학자로서의 전문적인 식견, 친근하고도 유려한 글쓰기로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로 자리매김해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모멸감’을 키워드로 한국인의 마음 풍경과 한국 사회의 다양한 양상을 낱낱이 해부한다.

[모멸감 ː 나의 존재 가치가 부정당하거나 격하될 때 갖는 괴로운 감정;
한국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감정의 응어리]

악플, 왕따, 감정노동, 갑을관계…… 모멸 권하는 한국 사회를 해부한다!

「짝」 카톡, “카메라가 따라다녀… 인격적 모멸감 느껴”
“주민 센터 갈 때마다 구걸하러 가는 느낌에 모멸감”
허지웅 악플 심경 고백, “멸치 이야기 자주 들어! 모멸감 느껴진다”
대구 여대생 아버지, “경찰 핀잔에 모멸감 느꼈다”
“모멸감 느껴”… 내년 향해 치닫는 민주 장외투쟁 시계바늘

최근 뉴스에 자주 등장한 기사 제목이다. 비단 뉴스뿐 아니라 드라마나 영화를 비롯해 우리의 일상 곳곳에서 ‘모멸감’이란 단어는 자주 쓰인다. 출퇴근길 도로 위에서 주고받는 거친 언사, 학교나 회사에서 겪는 크고 작은 모욕, 수화기 너머에서 혹은 생면부지의 낯선 사람들로부터, 심지어 가까운 지인이나 가족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평범한 일상에서 ‘모멸감’은 빈번하게 경험된다.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모멸감―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은 한국인의 일상에 만연한 ‘모멸감’의 실체를 인문학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국내서로, ‘모멸감’을 키워드 삼아 한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조명하면서 한국인의 삶과 마음의 문법을 추적한다. 한국에서 모멸감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경험되고 그 본질은 무엇인가. 무엇 때문에 모욕을 주고받는가. 한국의 사회와 일상의 구석구석에서 크고 작은 모욕이 이어지는 데는 어떠한 역사적 배경이 있는가. 모멸감을 딛고 일어서는 힘은 어디에 있는가. 못난 사람들도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은 어떻게 열릴까.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문학.심리학 문헌을 비롯해 뉴스 기사, TV 드라마나 영화에서 오가는 대사, 수많은 문학작품 등에서 수집한 적실한 실례와 일상생활에서 맞닥뜨리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들어가며 흥미진진한 논의를 전개해간다. 책의 저자인 사회학자 김찬호가 타진하고 있는 이 새로운 시도는 독자들에게 ‘감정’의 차원에서 우리 사회를 조망하고 성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일상의 문법을 추적해온 김찬호 교수, ‘감정’으로 삶과 사회를 읽다!
그동안 꾸준히 한국인과 한국 사회를 빚어내는 일상의 문법을 추적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이번에는 ‘감정’으로 삶과 사회를 읽어냈다. “감정은 이성보다 근본적이고 강력하다. 그것은 부수적이고 지엽적인 잉여가 아니라, 중대한 인간사를 좌우하는 핵심이”기 때문. 저자는 이 책 『모멸감』에서 ‘감정’을 사회적인 지평에서 분석하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이해해야 함을 역설한다. 일부러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마음의 습관은 인간 사회를 순조롭게 작동하게 하지만, 그 질서가 인간을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사회를 보는 논리』 『문화의 발견』 『돈의 인문학』 등의 저서를 출간하며 일상에 주목해온 그간의 작업과도 일맥상통한다. 생생한 현장 연구와 학자로서의 전문적인 식견, 친근하고도 유려한 글쓰기로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로 자리매김해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모멸감’을 키워드로 한국인의 마음 풍경과 한국 사회의 다양한 양상을 낱낱이 해부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가혹한 입시 경쟁, 인터넷에 범람하는 악플, 최근 새롭게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감정노동, 유행어처럼 쓰이는 갑을관계…… 저자는 이러한 정황 이면에 한국인의 낮은 자존감에서 비롯되는 모멸감이 사회 곳곳에 만연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는 모욕의 실체를 규명하고 모멸감을 성찰하는 언어가 빈곤하다. 이렇듯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는 모멸감은 흔히 ‘정서적인 원자폭탄’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을 끝없는 바닥으로 추락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폭력으로 발화하기도 한다. 그것은 ‘화’ ‘분노’ ‘우울’ 등의 감정과 달리 객관화하기 힘든 속성을 지닌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그 어둡고 복잡한 마음자리를 들여다볼 것을 권한다. 개인의 심리나 일상의 차원에서 벌어지는 경험을 성찰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 시선을 사회적 지평으로까지 확대, 분석한다.

우리는 왜 서로 모멸감을 주고받는가

모멸은 ‘업신여기고 얕잡아봄,’ 모멸감은 ‘모멸스러운 느낌’으로 풀이된다. 모멸감은 나의 존재 가치가 부정당하거나 격하될 때 갖는 괴로운 감정이며 인간 내면의 가장 깊숙한 곳을 파괴한다. 많은 경우 모멸은 다른 모멸로 이어지면서 자괴감과 수치심을 확대 재생산하고, 거기에서 비롯되는 분노는 자기나 타인에 대한 폭력으로도 표출된다. 저자 김찬호는 한국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감정의 응어리로 ‘모멸감’을 지목하며, 한국 사회에 만연한 모멸의 흔적을 다양한 각도에서 추적, 조명한다.
「프롤로그」에서는 감정이 개인의 내밀한 영역이면서 사회적으로 작동함을 밝히고 감정의 차원에서 인간의 문화를 새롭게 구상할 것을 제안한다. 1장에서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모멸감이 지니는 기본적인 속성을 해명하며, 그것이 삶과 인간관계를 어떻게 왜곡하고 폭력화하는지를 여러 사례를 통해 살피고 있다. 특히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멸감이 경험되는 양상을 노동 세계에 맞춰 들여다본다.
2장에서는 한국 사회의 정서적 지형을 조감하면서 모멸감이 만연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분석한다. 조선 시대에 형성된 귀천의식과 신분적 우열 관념은 외형을 달리한 채 끈질기게 지속되어왔고, 산업사회 및 소비사회와 맞물려 사람들 사이에 피곤한 경쟁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의 위신을 확인하려는 문화 역시 강한 관성으로 남아 있는 데 반해, 개인을 감싸주고 인정하는 공동체는 급격하게 붕괴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크고 작은 모멸감이 가중되고, 훼손된 자아를 보상받으려는 집단 콤플렉스가 공격적인 민족주의와 편협한 인종주의로도 나타난다.
3장에서는 인간세계에 나타나는 모멸의 존재 방식을 일곱 개의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다. 사람 사이에 격을 나누고 가치를 매기는 현실, 사람 자체를 본질적으로 위계화하며 거기에 사회적인 명예나 실존의 가치까지 결부시키는 일은 우리 사회에서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의미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모멸감이 얼마나 씁쓸하게 경험되는지를 여러 사례와 인용, 그리고 저자의 경험을 통해 짚어본다.

모멸감을 뛰어넘어 인간을 존엄하게 하는 삶에 관한 탐색!

저자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서 모멸감이 보다 날카롭게 경험되는 데는, 조선 시대에 형성된 귀천의식과 신분적 우열 관념이 자의적으로 청산되지 못한 상태에서 급격하게 추진된 산업화와 급변한 사회 환경이 역사적 배경에 있다고 분석한다. 그와 맞물려 모든 가치가 ‘돈’으로 매겨지는 자본주의 사회의 도래가 다른 한 축을 이룬다. 바로 정치.사회제도와 경제력 간의 불균형, 삶의 형태와 의식 사이의 부정합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 때문에 한국 사회 곳곳에서 악플, 왕따, 감정노동, 갑을관계 등 모멸 권하는 현상이 벌어진다. 돈 벌면서 받은 멸시를 돈 쓰면서 풀고, 누군가에게 당한 모욕을 다른 누군가에게 앙갚음하고, 아무도 대놓고 비웃지 않지만 스스로 열패감에 젖어든다. 은근히 깔보는 마음을 느끼고, 스스로에게도 그러한 시선에 동의하며 자격지심에 빠져든다.
그렇다면 모멸감을 뛰어넘어 인간을 존엄하게 하는 삶은 어떻게 가능할까. 못난 사람도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은 어떻게 열릴 수 있을까. 저자는 이 책의 4장과 5장을 통해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첫째는 구조적인 차원의 접근으로 한국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압축적으로 경험하며 ‘기적’이라 불릴 만한 놀라운 발전을 일궈냈지만, 여전히 우리 삶은 퍽퍽하기만 하다. 절대 빈곤, 실업 등을 비롯해 최소한의 품위를 갖출 수 없다는 것, 자신이 무능하고 쓸모없는 존재라는 생각은 엄청난 모멸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궁극적으로 정치의 몫으로 수렴되고, 그것을 추진하기 위한 사회운동의 과제가 제기된다. 둘째는 문화적인 차원의 접근이다. 학력이나 외모, 경제력, 피부색, 나이 등 외형적인 차이를 절대화하면서 멸시하는 문화와 사회 풍토를 바꿔가야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을 넘어 느끼는 단계로까지 나아가는 ‘모욕 감수성’을 제안한다. 셋째는 개인적 차원이다. 아무리 사회와 제도가 정비되더라도 모멸감을 아예 느끼고 살지 않기란 불가능하다. 또한 삶의 자리에 모멸이 차고 넘치는 까닭은 스스로의 품위를 잃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타인을 쉽게 모욕하는 풍토는 사회적으로 형성된다. 이 책에서 저자는 모멸감에 취약한 심성에 대해 저마다 일정 부분씩 책임져야 한다고 말한다. 존중과 자존의 문화는 여럿이 만드는 것이면서, 그 출발과 귀결의 지점은 결국 각자의 내면에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또 한 가지 새로운 시도는 바로 ‘음악’이다. 작곡가 유주환 선생이 텍스트를 바탕으로 마음이 머물게 된 열 군데 대목을 골라 모두 열 개의 곡을 썼다(QR코드로 연결, 유튜브로 감상 가능 https://youtu.be/doG76EJbDPU). 음악사적으로도 불안이나 분노, 고독이나 초조함, 슬픔이나 기쁨 등을 주제로 한 곡은 많지만, 수치심이나 모멸감을 다룬 곡은 거의 없다고 한다. 인문사회과학 서적과 음악과의 이 만남은 새로운 시도라는 참신함과 더불어 독자들이 텍스트를 읽고 향유하는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찬호(지은이)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사회학을 전공했고 일본의 마을 만들기를 현장 연구하여 박사논문을 썼다. 대학에서 문화인류학과 교육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부센터장을 지낸 바 있고, 현재 교육센터 마음의씨앗 부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모멸감』 『눌변』 『생애의 발견』 『사회를 보는 논리』 『도시는 미디어다』 『문화의 발견』 『휴대폰이 말하다』 『교육의 상상력』 『돈의 인문학』 『인류학자가 자동차를 만든다고?』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작은 인간』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공역), 『학교와 계급 재생산』(공역) 등이 있다.

유주환()

작곡가, 음악 이론가. 연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두 번의 개인작품 발표회를 비롯한 활동으로 국내외 단체로부터 다양한 음악상을 수상했다. 대학에서 음악 이론과 음악 역사에 관해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 바깥의 시민대학에서 현대음악, 서양 전통음악의 이해에 관해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퀵서비스 관현악법』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관현악을 위한 산조』 『피아노와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바리톤과 앙상블을 위한 ‘입속의 검은 입’』 『현악 사중주 제3번』 『피아노 삼중주 제3번』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 4
프롤로그 : 감정의 사회적 문법
 1. 나도 모르는 나 = 23
 2. 감정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 30
 3. 한국인의 마음 풍경 = 37
1장 모멸감, 한국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감정의 응어리
 1. 수치심의 두 얼굴 = 47
 2. 모멸, 수치심을 일으키는 최악의 방아쇠 = 59
 3. 치욕과 폭력의 악순환 = 69
 4. 부끄러움과 부러움의 자본주의 = 83
 5. 미소 뒤의 분노, 감정노동 = 91
2장 한국 사회와 모멸의 구조
 1. 언어에 반영된 한국인의 정서 지형 = 103
 2. 귀천에 대한 강박 = 112
 3. 신분제의 붕괴, 신분의식의 지속 = 120
 4. 위계 서열과 힘의 우열 = 129
 5. 공동체의 붕괴, 집단주의의 지속 = 138
 6. 인종주의와 콤플렉스 = 146
3장 모멸의 스펙트럼
 1. 인간 이하로 취급 _ 비하 = 163
 2. 열등한 존재로 구분 짓기 _ 차별 = 169
 3. 비웃고 깔보고 _ 조롱 = 175
 4. 대놓고 또는 은근히 밀어내기 _ 무시 = 180
 5. 시선의 폭력에서 섣부른 참견까지 _ 침해 = 187
 6. 불쌍한 대상으로 못 박기 _ 동정 = 192
 7. 문화의 코드 차이 _ 오해 = 198
4장 인간적인 사회를 향하여
 1. 품위를 잃지 않도록 = 209
 2. 문제는 감수성이다 = 215
 3. 물리적 쾌적함, 생리적 청결함 = 225
 4. 화폐의 논리를 넘어선 세계 = 232
 5. 소수자들의 연대와 결속 = 241
 6. 환대의 시공간 = 250
5장 생존에서 존엄으로 
 1.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 265
 2. 누가 나를 모욕한다 해도 = 273
 3. 감정의 주인이 되려면 = 284
 4. 행복감은 우월감이 아니다 = 293
맺음말 = 302
음악과 감정 / 유주환
 1. 음악에 나타난 감정의 흔적 = 309
 2. 현악 사중주를 위한 열 개의 단상, 모멸감이 나오기까지 = 316
연주자 약력 = 322

관련분야 신착자료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
Bail, Christopher (2023)
Bernstein, William J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Shifman, Limo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