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직사회학

조직사회학 (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홍준 劉泓埈
서명 / 저자사항
조직사회학 = Sociology of organizations / 유홍준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형태사항
415 p. : 삽화 ; 24 cm
ISBN
9791155500378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1-381)과 색인수록
000 00663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95728
005 20140411115640
007 ta
008 140312s2014 ulka b AL 001c kor
020 ▼a 9791155500378 ▼g 93320
035 ▼a (KERIS)BIB000013433024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02.35 ▼2 23
085 ▼a 302.35 ▼2 DDCK
090 ▼a 302.35 ▼b 2014
100 1 ▼a 유홍준 ▼g 劉泓埈 ▼0 AUTH(211009)55080
245 1 0 ▼a 조직사회학 = ▼x Sociology of organizations / ▼d 유홍준 지음
260 ▼a 서울 : ▼b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c 2014
300 ▼a 415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71-381)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35 2014 등록번호 1117160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다양한 시각의 조직사회학적 연구 성과와 이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조직사회학 전문서.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조직사회학적 연구들이 발전하게 된 기반을 살폈다. 조직사회학의 형성에서 시작하여 고전조직이론이 등장하고 신고전조직이론의 발전을 거쳐 20세기 중반에 시스템(체계) 조직사회학이 등장하게 되는 과정과 각 발전 단계의 연구내용을 담고 있다.

2부에서는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경험연구에 기반한 조직사회학이 발전한 양상을 정리했다. 경험연구의 출발에서 시작하여 조직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주제들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내용을 담고 있다. 3부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조직사회학적 현상들을 몇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양한 시각의 조직사회학적 연구 성과와 이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조직사회학 전문서


사회학의 이론적 지향의 발전에 맞추어 전개된 다양한 시각의 조직사회학적 연구 성과들이 갖는 의의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 조직사회학자들은 조직의 성과 문제에만 집착하지 않는 입장을 견지하여 상호작용론, 갈등론, 일상생활방법론 등에 기반한 독특한 조직 분석틀을 개발해왔다. 따라서 이 저서도 경영·행정학의 ‘조직이론’ 저서와는 구분되는 ‘조직사회학’ 전문서를 목표로 한 것이기에, 조직성과나 관리기법 등에 관한 응용 측면의 논의를 가능한 배제하고 순수 학문적인 논의에 강조를 두었다.
저자가 조직사회학을 강의해 오면서, 경영학이나 행정학 분야에서는 무수히 많은 조직 관련 서적들이 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학 분야에서는 마땅한 전문서가 없는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해 집필에 착수했다. 그 성과물인 이 책의 출간은 이러한 현실을 비추어볼 때 매우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책의 구성
제1부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조직사회학적 연구들이 발전하게 된 기반을 살폈다. 조직사회학의 형성에서 시작하여 고전조직이론이 등장하고 신고전조직이론의 발전을 거쳐 20세기 중반에 시스템(체계) 조직사회학이 등장하게 되는 과정과 각 발전 단계의 연구내용을 담고 있다.
1장 조직과 조직사회학의 발전에서는 조직의 개념과 유형, 조직사회학이 경영학이나 행정학의 조직연구들과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지, 현대 조직사회학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은 어떤 경로를 밟아왔는지, 조직을 연구하는 사회학의 방법론은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2장은 고전조직이론의 등장에 대해 다루는데, 베버(Weber)의 관료제론,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현대 경영학과 행정학의 기반이 된 공식관리론, 마르크시즘에 기반한 급진적 조직이론의 내용과 한계점을 정리한다.
3장은 신고전조직이론의 발전을 주제로 하는데, 메이요(mayo)에서 시작된 인간관계론 연구가 리더십이론이나 사회심리학적 동기이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발전되어 갔는지를 정리하고, 또 이러한 연구경향이 현대의 직무만족 연구에 미친 영향을 정리한다.
4장은 조직을 체계로 보는 시스템 조직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을 정리하기 위해 우선 기능주의 체계론을 정리하고, 이것이 시스템 조직사회학으로 어떻게 발전하였으며, 그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제2부에서는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경험연구에 기반한 조직사회학이 발전한 양상을 정리했다. 경험연구의 출발에서 시작하여 조직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주제들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내용을 담고 있다.
5장 조직구조 연구와 상황조건론에서는 경험적 조직연구의 등장 배경과 상황조건론 관점이 무엇인지를 정리하면서, 당시 경험적 조직연구의 주요 연구과제였던 조직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6장 기술론과 규모론의 조직연구에서는 초기 경험적 조직연구의 핵심으로 등장한 기술결정론과 규모결정론 간의 논쟁을 비교해서 정리하고, 이 두 가지 대립되는 관점이 어떻게 수렴되어갔으며 결과적으로 현대 조직사회학에 어떤 의미를 제공했는지를 정리한다.
7장은 상호작용론의 관점에 기반한 조직사회학을 주제로 하는데, 행위조직이론이 어떻게 발전되어갔는지를 정리하고, 또 이러한 연구 경향이 조직문화론에 미친 영향을 정리한다.
8~10장은 20세기 후반부에 조직사회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관심으로 부각되었던 구체적인 연구주제들을 정리하고 있다. 8장에서는 조직목표와 조직전략에 대해 살펴보았고, 9장은 조직 환경을 둘러싼 이론적 관점들과 주요 연구성과를 정리하였으며, 10장에서는 1970년대 중반 이후 다시 재기되었던 네오마르크스주의 갈등론적 조직사회학을 정리했다.
제3부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조직사회학적 현상들을 몇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11장의 현대 조직사회학의 이론적 논점에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정리한다.
12장은 조직의 설계와 평가와 연관된 보다 응용적인 주제를 정리한다. 현대 경영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조직설계와 관련하여 대표적인 이슈를 정리하고, 더불어 최근 일부에서 논의되는 미래 조직의 유형에 대한 정리를 시도한다.
13장에서는 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라 변해가는 현대 조직의 양상을 정리한다. 정보화의 진전이 기업의 조직구조 개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른 부분의 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홍준(지은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부룩)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학부대학 학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조직사회학』, 『직업사회학』, 『신경제사회학』(공저), 『현대중국사회』(공저), 『산업사회학』(공저), 『사회문제』(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중국사회계층』, 『현대중국경제사회조사』, 『사회조사방법론』(공역), 『소비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직업 지위 지수」, 「Occupational Structure in China and Its HRD Policy Implications」, 「잡매칭(job matching)이 청년층 노동시장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직무 만족과 이직 의사의 행태학적 결정 요인」, 「한국 제약 산업의 시장 구조에 대한 신경제사회학적 분석」, 「조직 구조의 결정 요인 분석」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제1부 조직사회학의 발전 기반 
 1장 조직과 조직사회학의 발전 = 14
  1. 조직이란 무엇인가 = 15
  2. 조직사회학과 경영ㆍ행정 조직이론의 차이점 = 26
  3. 조직사회학 연구의 개괄적 흐름 = 28
  4. 조직사회학 연구 방법 = 34
 2장 고전조직이론의 등장 = 36
  1. 베버의 이념형적 관료제론 = 37
  2.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 55
  3. 경영ㆍ행정학의 공식관리론 = 60
  4. 급진적 조직이론 = 63
 3장 신고전조직이론의 발전 = 68
  1. 인간관계론 연구 = 69
  2. 리더십 이론의 발전 = 74
  3. 사회심리학적 동기이론 = 85
  4. 직무만족 연구에 미친 영향 = 91
 4장 시스템 조직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 = 96
  1. 구조기능주의 시스템 이론 = 97
  2. 조직 시스템 이론의 발전과 한계 = 102
  3. 조직유형론의 등장 = 111
제2부 경험적 조직연구의 출발  
 5장 조직구조 연구와 상황조건론 = 128
  1. 경험적 조직연구의 등장 배경 = 130
  2. 상황조건론 = 131
  3. 조직구조 연구 = 134
 6장 기술론과 규모론의 조직연구 = 153
  1. 기술론의 조직연구 = 155
  2. 규모론의 조직연구 = 163
  3. 기술론과 규모론 조직연구의 함의 = 170
  4. 현대사회의 기술과 조직 = 173
  7장 행위와 과정으로서의 조직 = 182
  1. 상호작용 과정으로서의 조직 = 185
  2. 행위조직이론 = 189
  3. 일상생활방법론의 조직사회학 = 196
  4. 조직문화론의 발전 = 200
 8장 목표와 전략 추구자로의 조직 = 207
  1. 조직과 목표 = 209
  2. 조직과 전략 = 222
 9장 조직과 조직 환경 = 235
  1. 조직 환경이란 무엇인가 = 236
  2. 경험적 조직 환경 연구 = 242
  3. 조직과 환경에 대한 관점 = 248
  4. 현대 조직의 환경관리 = 252
 10장 권력과 통제의 장으로서의 조직 = 258
  1. 조직 권력과 통제에 대한 시각 = 261
  2. 갈등론의 조직연구 = 262
  3. 네오마르크시스트 노동과정론 = 277
제3부 현대사회의 조직 현상
 11장 현대 조직사회학의 이론적 논점 = 294
  1. 조직과 노동시장론 연구 = 295
  2. 신경제사회학적 조직연구 = 308
  3. 비교 조직사회학 = 312
 12장 현대 조직의 설계와 평가 = 319
  1. 조직설계 = 320
  2. 직무재설계 = 326
  3. 기업혁신론과 혁신 기법 = 328
  4. 조직평가 = 338
 13장 정보사회와 현대 조직 = 344
  1. 정보화의 진전과 기업 조직개편 = 345
  2. 정보기술 활용과 기업활동의 변화 = 352
  3. NGO 조직의 발전 = 357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82

관련분야 신착자료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
Bail, Christopher (2023)
Bernstein, William J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Shifman, Limo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