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00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795708 | |
005 | 20140429132544 | |
007 | ta | |
008 | 140327s2014 ulkd 000c kor | |
020 | ▼a 9788968661129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3436764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9 ▼2 23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4z1 | |
100 | 1 | ▼a Mankiw, N. Gregory ▼0 AUTH(211009)111440 |
245 | 1 0 | ▼a 거시경제학 해법 / ▼d N. Gregory Mankiw 지음 ; ▼e 이병락 옮김 |
246 | 1 | ▼i 판권기표제: ▼a Mankiw의 거시경제학 해법 |
246 | 1 9 | ▼a Macroeconomics : ▼b solutions manual to accompany Mankiw ▼g (8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 |
300 | ▼a 252 p. : ▼b 도표 ; ▼c 26 cm | |
500 | ▼a 이 책은 N. Gregory Mankiw 교수의 『거시경제학』(제8판)에 있는 '복습용 질문', '문제와 응용', '추가문제와 응용'에 대한 풀이를 수록한 것임 | |
700 | 1 | ▼a 이병락, ▼e 역 ▼0 AUTH(211009)55064 |
900 | 1 0 | ▼a 맨큐, N. 그레고리,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117160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117169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2123067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6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117160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117169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0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4z1 | 등록번호 12123067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6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거시경제학 해법> 제8판에서는 ‘복습용 질문’, ‘문제와 응용’, ‘추가문제와 응용’에 대한 풀이를 수록한 것이다. 특히 이번에 새로이 포함된 제20장 “금융제도:기회 및 위험”에 대한 풀이를 추가하였다. 독자들이 자신들의 풀이를 스스로 점검해 보도록 하는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각 장을 숙독한 후 전반적인 이해 사항을 점검하고 핵심내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와 응용’ 및 ‘추가문제와 응용’은 기본적인 개념과 논리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숙지한 내용에 기초하여 각자 먼저 문제의 실마리를 찾고 답을 구한 후 이 책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책은 N. Gregory Mankiw 교수의 『거시경제학』(제8판)에 있는 ‘복습용 질문’, ‘문제와 응용’, ‘추가문제와 응용’에 대한 풀이를 수록한 것이다. 특히 이번에 새로이 포함된 제20장 “금융제도:기회 및 위험”에 대한 풀이를 추가하였다.
이 책은 독자들이 자신들의 풀이를 스스로 점검해 보도록 하는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따라서 문제를 풀어 보기 전에 먼저 이 해법집을 참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복습용 질문’은 각 장에서 다룬 내용 중 핵심적인 사항을 질문한 것으로 교과서를 참조하여 쉽게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장을 숙독한 후 전반적인 이해 사항을 점검하고 핵심내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와 응용’ 및 ‘추가문제와 응용’은 기본적인 개념과 논리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숙지한 내용에 기초하여 각자 먼저 문제의 실마리를 찾고 답을 구한 후 이 책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그레고리 맨큐(지은이)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Robert M. Beren 석좌교수이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1980년에 A.B.를 취득하였다. MIT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1985년부터 하버드대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였으며, 1987년에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하버드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거시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베스트셀러인 『경제학원론』(Cengage 출판사 간행)을 저술하였다. Mankiw 교수는 학술 및 정책 토론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거시경제학 전반에 걸쳐 있으며, 가격조정, 소비자행태, 금융시장, 금융 및 재정 정책, 경제성장 등이 포함된다. 하버드대학교에 근무하는 것 이외에도,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연구원, Brookings Panel on Economic Activity 회원, Urban Institute 이사, Congressional Budget Office 고문, 보스턴 및 뉴욕 Federal Reserve Bank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President’s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의장으로 재임하였다.
이병락(옮긴이)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교수 역임 주요 저서 및 역서  국제경제학(1999, 2007, 시그마프레스) 경기전망지표(1999, 시그마프레스) 무역실무(2008, 시그마프레스) 계량경제학(2003, 2010, 2020, 시그마프레스) 거시경제학 해법(2004, 2007, 2010, 2014, 2016, 2020, 2023, 시그마프레스) 미시경제학(2004, 2010, 2015, 2022, 시그마프레스) 문제 풀며 정리하는 미시경제학(2011, 2015, 시그마프레스) 통계학(2014, 2022, 시그마프레스)

목차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 1 제2장 거시경제학의 자료 = 5 제3장 국민소득 : 생산과 분배 = 13 제4장 화폐제도 : 정의 및 역할 = 31 제5장 인플레이션 : 원인, 결과, 사회적 비용 = 39 제6장 개방경제 = 47 제7장 실업 = 69 제8장 경제성장 Ⅰ : 자본축적과 인구증가 = 77 제9장 경제성장 Ⅱ : 기술, 경험 그리고 정책 = 91 제10장 경제 변동 입문 = 105 제11장 총수요 Ⅰ : IS-LM 모형의 도출 = 115 제12장 총수요 Ⅱ : IS-LM 모형의 응용 = 127 제13장 개방경제에 관한 재논의 : 먼델-플레밍 모형과 환율제도 = 153 제14장 총공급과 인플레이션 및 실업의 단기적 상충관계 = 179 제15장 총수요 및 총공급의 동태 모형 = 193 제16장 소비자 행태의 이해 = 207 제17장 투자이론 = 223 제18장 안정화정책 = 231 제19장 정부부채 및 재정적자 = 237 제20장 금융제도 : 기회 및 위험 = 243 제21장 경기순환이론의 발전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