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부학

교부학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robner, Hubertus R. 하성수, 역
서명 / 저자사항
교부학 / H. R. 드롭너 ; 하성수 옮김
발행사항
칠곡군 :   분도출판사,   2001   (2003)  
형태사항
728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신학 텍스트 총서 ;2.2
원표제
Lehrbuch der Patrologie
ISBN
8941901243 8941901510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Fathers of the church Christian literature, Early -- Textbooks
000 00897n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95279
005 20140423093432
007 ta
008 140404s2001 gbka 001c kor
020 ▼a 8941901243 ▼g 94230
020 1 ▼a 8941901510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270.1 ▼2 23
085 ▼a 270.1 ▼2 DDCK
090 ▼a 270.1 ▼b 2001
100 1 ▼a Drobner, Hubertus R. ▼0 AUTH(211009)135577
245 1 0 ▼a 교부학 / ▼d H. R. 드롭너 ; ▼e 하성수 옮김
246 1 9 ▼a Lehrbuch der Patrologie
260 ▼a 칠곡군 : ▼b 분도출판사, ▼c 2001 ▼g (2003)
300 ▼a 728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신학 텍스트 총서 ; ▼v 2.2
500 ▼a 색인수록
650 0 ▼a Fathers of the church
650 0 ▼a Christian literature, Early ▼v Textbooks
700 1 ▼a 하성수, ▼e▼0 AUTH(211009)93102
900 1 0 ▼a 드롭너, H. R.,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2001 등록번호 5110179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들에 대한 전문적 연구를 위한 자료집이자 일차적인 참고서다. 교부학 연구의 기본적인 문헌 정보가 망라되어 있다. 주요 지은이들과 작품들이 초대 그리스도교 문헌사의 정치적.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를 돕기 위하여 (2000년까지 출간된) 참고문헌 목록,편집본, 보조자료, 참고문헌을 실었다.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사전 항목, 각론서, 주석서, 편찬서, 일반 연구서와 개별 주제를 다른 연구서를 분류.수록했다. 지도와 도표는 일목요현한 개관에 도움을 줄 것이다. 한마디로 이 책은, 교부학에 관심을 가진 읽는 이들에게 충실한 문헌적 길라잡이 구실을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H.R. 드롭너(지은이)

파더본대학 신학부의 교회사 및 교부론 교수이며,로마 아우구스티아눔의 초빙 교수로 교부론을 가르치고 있다. 전공 분야는 아우구스티누스와 니싸의 그레고리우스이며, 교부 고고학에 관한 많은 글을 발표하였다. 지은책으로 <교부학>이 있다.

하성수(옮긴이)

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한 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부학 전공으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9년 현재 한국교부학연구회 선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수원가톨릭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수도자신학원에서 교부학과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역서와 저서로는 폴리카르푸스의 『편지와 순교록』(분도출판사 2000), 드롭너의 『교부학』(분도출판사 2001), 헤르마스의 『목자』(분도출판사 2002), 『그리스어 문법』(분도출판사 2005, 공저)과 『내가 사랑한 교부들』(분도출판사 2005), 다스만의 『교회사 I』(분도출판사 2007), 『교부들의 성경 주해 ? 창세기 1-11장』(분도출판사 2008), 『고대 교회사 개론』(가톨릭출판사 2008), 『교부학 인명.지명 용례집』(분도출판사 2008), 다스만의 『교회사 II/1』(분도출판사 2013), 『교부들의 성경 주해 ? 요한 복음서 11-20장』(분도출판사 2013, 공역), 『교부 문헌 용례집』(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14, 공저), 오리게네스의 『원리론』(아카넷 2014, 공역주), 다스만의 『교회사 II/2』(분도출판사 2016), 『교부들의 가르침에 나타난 자비』(『하느님 아버지처럼 자비로이』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6, 공역), 『교부들에게 배우는 삶의 지혜』(분도출판사 2017, 공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어떤 부자가 구원받는가?』(분도출판사 2018)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 5
역자의 글 = 6
지도 = 24
지명 색인 = 26
약어 목록 = 29
 1. 정기간행물과 총서 = 29
 2. 출판사의 도시명 = 46
 3. 그밖의 약어 = 46
총체적 참고문헌 목록 = 47
 1. 참고문헌 목록 = 47
 2. 사전 / 백과사전 = 48
 3. 교부론 입문서와 문헌사 개론서 = 49
 4. 편집본 총서 = 51
 5. 번역서 총서 = 54
 6. 보조자료 = 56
 7. 각론서 = 57
 8. 잡지와 연보 = 57
 9. 연구논문 총서 = 58
 10. 마이크로 필름 카드 = 60
  10.1. 편집본 = 60
  10.2. 보조자료 = 61
  10.3. 연구논문 총서 = 61
 11. 전산 데이터 베이스 = 61
  11.1. 참고문헌 목록 = 61
  11.2. 편집본 = 61
  11.3. 보조자료 = 62
 12. 인터넷 주소 = 62
서론 전문 분야로 "교부론"
 1. 아버지(父)의 개념 = 63
 2. 교부 - 교회학자 - 교회저술가 = 64
 3. 교부론 - 교부학 - 문헌사 = 66
제1부 사도시대의 문헌과 사도시대 이후의 문헌
 서론 : 그리스도교 문헌의 생성 = 71
  1. 구전과 문헌 이전의 형태 = 71
  2. 사도시대 문헌의 문학 유형 = 73
 제1장 : 성서의 외경 = 77
  1. 서론 : 경전의 형성 = 77
   1.1. 신약성서 = 77
   1.2. 구약성서 = 82
  2. 복음서 = 85
   2.1. 문학 장르 = 85
   2.2. 「야고보의 원原 - 복음」 = 88
   2.3. 콥트어 「토마 복음」 = 91
   2.4. 「사도들의 편지」 = 92
   2.5. 「니고데모 복음」 = 93
  3. 사도행전 = 96
   3.1. 문학 장르 = 96
   3.2. 「베드로 행전」 = 98
   3.3. 「바울로 행전」 = 100
  4. 편지 = 102
   4.1. 문학 장르 = 102
   4.2. 「바르나바의 편지」 = 103
  5. 묵시록 = 105
   5.1. 문학장르 = 105
   5.2. 「헤르마스의 목자」 = 108
   5.3. 그리스도교 여예언자(시빌라)들의 신탁 = 111
 제2장 : 사도시대 이후의 문헌 = 115
  1. 서론 = 115
  2. 편지 = 117
   2.1. 「클레멘스의 첫째 편지」 = 117
   2.2.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우스의 편지」 = 119
   2.3.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의 편지」 = 123
  3. 공동체 본문 = 126
   3.1. 「파피아스의 단편」 = 126
   3.2. 「디다케」 = 127
  4. 가장 오래된 설교 : 이른바 「클레멘스의 둘째 편지」 = 129
  5. 그리스도교 최초의 시 : 「솔로몬의 송가」 = 130
제2부 박해시대의 문헌(2세기 중엽 ∼ 4세기 초)
 서론 = 135
 제3장 : 그리스어 문헌 = 141
  1. 서론 : 그리스도교의 그리스어 = 141
  2. 그리스 호교가 = 143
   2.1.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낸 호교서」 = 148
   2.2. 순교자 유스티누스 = 151
    2.2.1. 「첫째 호교서」 = 153
    2.2.2. 「둘째 호교서」 = 154
    2.2.3. 「유다인 트리폰과의 대화」 = 155
   여론餘論 1 : 고대와 그리스도교의 대화록 = 156
   2.3. 시리아인 타티아누스 = 158
    2.3.1. 「그리스인들에 대한 연설」 = 159
    2.3.2. 「디아테사론」 = 160
   2.4. 아테나고라스 = 162
    2.4.1. 「호교서」 = 163
    2.4.2. 「부활론」 = 165
  3. 사르데스의 멜리토 : 「과월절 설교」 = 166
  4. 순교 보고서 = 169
   4.1. 행전 = 171
    4.1.1. 「유스티누스 행전」 = 171
    4.1.2. 「쉴리움의 순교자들 행전」 = 174
    4.1.3. 「치프리아누스 행전」 = 175
   4.2. 순교록과 수난기 = 177
    4.2.1. 「폴리카르푸스 순교록」 = 177
    4.2.2. 「비엔과 리용 공동체의 편지」 = 179
    4.2.3. 「페르페투아와 펠리치타스 수난기」 = 181
  5. 이단 문헌과 반이단 문헌 = 183
   5.1. 서론 : 고대교회의 정통신앙과 이단 = 183
   5.2. 이단적 사조 = 185
    5.2.1. 영지주의 = 185
     5.2.1.1. 나그 함마디의 영지주의 도서관 = 186
     5.2.1.2. 바실리데스 = 189
     5.2.1.3. 발렌티누스 = 191
    5.2.2. 마르치온 = 193
    5.2.3. 몬타누스주의 = 195
    5.2.4. 단원론單原論 = 197
   5.3. 정통신앙 답변서 = 198
    5.3.1. 리용의 이레네우스 = 198
     5.3.1.1. 「이단 논박」 = 200
     5.3.1.2. 「에피데익시스」 = 203
    5.3.2. 로마의 히폴리투스 = 204
     5.3.2.1. 「모든 이단에 대한 논박」 = 207
     5.3.2.2. 「사도전승」 = 207
  6. 그리스도교 학파의 기원 = 209
   6.1. 알렉산드리아의 필로 = 213
   6.2.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215
    6.2.1. 「이교인들에 대한 권고」 = 217
    6.2.2. 「교육자」 = 217
    6.2.3. 「양탄자」 = 218
   6.3. 오리게네스 = 220
    6.3.1. 성서주석 작품 = 223
    6.3.2. 영성신학 = 227
    6.3.3. 「원리론」 = 227
    6.3.4. 「첼수스 논박」 = 229
    6.3.5. 오리게네스 논쟁 = 231
 제4장 : 라틴 문헌의 발달 = 233
  1. 서론 : 그리스도교의 라틴어 = 233
  2. 최초의 라틴어 성서 번역서 = 235
  3. 테르툴리아누스 = 237
   3.1. 「이교인들에게」와 「호교론」 = 240
   3.2. 「영혼론」 = 243
   3.3. 「이단자들에 대한 항고」 = 245
   3.4. 「마르치온 논박」 = 246
   3.5. 「프락세아스 논박」 = 249
  4. 미누치우스 펠릭스 = 250
  5. 카르타고의 치프리아누스 = 253
   5.1. 「배교자들에 관하여」 = 257
   5.2. 「교회의 일치」 = 258
   5.3. 「서간집」 = 260
   여론餘論 2 : 고대와 그리스도교의 편지 = 262
    1) 일상 편지 = 262
    2) 문학적 편지 = 264
    3) 그리스도교의 편지 = 266
    4) 고대의 편지 이론 = 269
  6. 노바티아누스 = 270
   「삼위일체론」 = 271
  7. 락탄티우스 = 272
   「종교적 제도집」과 「종교적 제도집의 개요」 = 274
제3부 정점으로 올라가는 제국교회의 문헌(4세기 초 ∼ 430년)
 서론 : 4세기 역사의 개요 = 283
  1. 정치사 = 283
   1.1. 서론 : 신성 로마제국의 이념 = 284
    1.1.1. 콘스탄티누스 대제(306 / 324 ∼ 337년) = 288
    1.1.2. 콘스탄티누스의 아들들(337 ∼ 361년) = 290
     1.1.2.1. 공동 통치 시기(337 ∼353년) = 290
     1.1.2.2. 일인 통치자인 콘스탄티우스 2세(353 ∼ 361년) = 290
    1.1.3. "배교자" 율리아누스(361 ∼ 375년)와 요비아누스(363 ∼ 364년) = 292
    1.1.4. 발렌티니아누스(364 ∼ 375년)와 발렌스(364 ∼ 378년) = 293
    1.1.5. 테오도시우스 대제(379 / 388 ∼ 395년) = 294
  2. 교회사 = 296
   2.1. 총대주교좌 = 298
    2.1.1. 알렉산드리아 = 298
    2.1.2. 안티오키아 = 299
     2.1.2.1. 에우스타티우스(324 ∼ 327년경)에서 에우독시우스(359년)까지 = 299
     2.1.2.2. 멜레티우스 분열 = 300
    2.1.3 콘스탄티노플 = 302
    2.1.4 로마 = 304
   2.2. 교회회의 = 308
    2.2.1. 안티오키아 교회회의(341년)까지 = 309
    2.2.2. 세르디카 교회회의(343년) = 312
    2.2.3. 안티오키아(344년)에서 시르미움 교회회의(351년)까지 : 포티누스주의 = 312
    2.2.4. 안티오키아(352년)에서 시르미움 교회회의(357년)까지 = 313
    2.2.5. 안치라(358년)와 리미니 / 셀레우치아 이중 교회회의(359년) = 314
    2.2.6. 알렉산드리아 교회회의(362년) = 315
  3. 신학 = 316
   3.1. 비유사파(= 안호모이스파 ; 아리우스파, 신아리우스파, 에우노미우스파) = 317
   3.2. 동일본질파(= 호모우시오스파, 니체아파) = 319
   3.3. 유사본질파(= 호모이우시오스파 ; 에우세비우스파, 절충적 아리우스파) = 320
   3.4. 유사파(= 호모이스파) = 322
 제5장 : 아리우스주의의 첫 번째 국면 = 323
  1. 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 = 323
   1.1. 서론 : 에우세비우스 이전의 연대기와 역사신학 = 326
   1.2. 역사서 = 328
    1.2.1. 「연대기」 = 328
    1.2.2. 「교회사」 = 329
    1.2.3. 「콘스탄티누스의 생애」 = 331
   1.3. 성서와 성서주석 작품 = 334
   1.4. 호교서 = 335
  2. 아리우스 = 338
  3. 니체아 공의회(325년) = 342
   3.1. 신경 = 345
   3.2. 부활축일 교령 = 348
   3.3. 규범규정 = 349
   3.4. 교회회의 서간 = 350
  4. 아타나시우스 = 350
   작품 = 356
  5. 프와티에의 힐라리우스 = 359
   5.1. 「삼위일체론」 = 364
   5.2. 성서주석 작품 = 367
 제6장 : 아리우스주의의 두 번째 국면과 아폴리나리우스주의 = 371
  1. 라오디체아의 아폴리나리우스 = 371
   1.1. 작품 = 373
   1.2. 그리스도론 = 374
  2. "세 명의 위대한 카파도키아 사람" = 376
   2.1. 서론 : 이들의 가계와 중요성 = 376
   2.2. 대 바실리우스 = 378
    2.2.1. 「에우노미우스 논박」 = 383
    2.2.2. 「성령론」 = 384
    2.2.3. 편지 = 385
   2.3.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390
    2.3.1. 작품, 철학, 신학 = 392
    2.3.2. 영향과 연구사 = 396
   2.4. 나지안즈의 그레고리우스 = 397
    2.4.1. 시 = 401
    2.4.2. 연설 = 402
    2.4.3. 편지 = 404
  3.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년) = 405
   3.1. 신경 = 407
   3.2. 교의서간과 규범규정 = 410
 제7장 : 사목자, 성서주석가, 금욕가 = 413
  1. 예루살렘의 치릴루스 = 413
   1.1. 「교리문답」 = 414
   여론餘論 3 : 그리스도교의 입교 = 417
  2. 콘스탄티아(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 = 421
   2.1. 「정박자」 = 424
   2.2. 「약상자」 = 424
  3. 암브로시우스 = 426
   3.1. 성서주석 작품 = 434
   3.2. 교리문답 작품 = 436
   3.3. 찬가 = 437
  4.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 = 439
   신학과 성서주석 = 440
  5.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 443
   5.1. 성서주석 = 444
   5.2. 신학 = 446
   5.3. 「교리문답」 = 448
  6.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449
   6.1. 「사제직」 = 456
   6.2. 「기둥강해」 = 457
   6.3. 「세례 교리문답」 = 458
  7. 콘코르디아(아퀼레이아)의 루피누스 = 460
  8. 히에로니무스 = 463
   8.1. 성서 번역서 = 472
   8.2. 「유명인사록」 = 473
   8.3. 「서간집」 = 474
 제8장 : 수도修道 문헌과 성인전 문헌 = 479
  1. 서론 = 479
  2. 수도규칙서 = 481
   2.1. 파코미우스 = 482
    2.1.1. 「파코미우스 규칙서」 = 483
    2.1.2. 편지 = 484
   2.2. 「대 바실리우스 규칙서」 = 486
   2.3.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서 = 489
    2.3.1 「규칙서」 = 490
    2.3.2. 「수도자들의 노동」 = 493
  3. 수도 문헌 = 494
   3.1.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 494
   3.2. 메소포타미아의 시메온(마카리우스) = 498
   3.3. 요한 카시아누스 = 501
    3.3.1. 「공주 수도생활의 제도집」 = 503
    3.3.2. 「교부들의 담화」 = 504
    3.3.3. 영성신학 = 504
  4. 성인들의 생애와 역사 = 505
   「안토니우스의 생애」 = 507
  5. 여행기 = 510
   「에게리아의 여행기」 = 511
 제9장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 515
  1. 서론 = 515
  2. 전기, 저술활동,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특징 = 518
   2.1. 개종하기 전까지 = 518
    2.1.1. 소년기와 교육 = 518
    2.1.2. "참된 철학"을 찾아서 : 가장과 마니교도 = 520
    2.1.3. 로마와 밀라노에서 수사학자 : 회의론자와 플라톤주의자 = 522
    2.1.4. 철학과 그리스도교 = 525
   2.2. 세례에서 사제서품까지 = 526
    2.2.1. 카시치아쿰에서 그리스도교적 생활의 안식과 세례 준비 = 526
    2.2.2. 타가스테의 수도 공동체 = 527
    2.2.3. 히포에서 사제서품 = 528
   2.3. 히포의 사제와 주교 = 529
    2.3.1. 사목자, 교회정치가, 신학자, 금욕가 = 529
    2.3.2. 논쟁과 신학 = 531
     2.3.2.1. 마니교 : 악은 어디에서 오는가? = 531
     2.3.2.2. 도나투스주의 : 교회론과 성사론 = 532
     2.3.2.3. 펠라기우스주의 : 은총론과 예정론 = 535
      2.3.2.3.1. 펠라기우스 = 535
      2.3.2.3.2. 에클라눔의 율리아누스 = 538
      2.3.2.3.3. 하드루메툼과 마실리아의 수도자들 = 540
     2.3.2.4. 아리우스주의 = 542
     2.3.2.5. 레포리우스 : "선-네스토리우스주의" 사건 = 543
    2.3.3. 후계자 선출과 사망 = 544
  3. 주요 작품과 신학 = 545
   3.1. 「고백록」 = 545
   3.2. 성서주석과 성서 이해 = 547
   3.3. 그리스도론과 구원론 = 550
   3.4. 「삼위일체론」 = 552
   3.5. 「신국론」 = 555
   3.6. 「교리요강」과 「그리스도교 교양」 = 557
   작품 목록(연도, 편집본, 번역서, 참고문헌) = 560
제4부 고대 후기부터 중세 초기까지의 전환기 문헌(430년경 ∼ 8세기 중엽)
 서론 = 577
 제10장 : 5세기의 신학 논쟁 = 581
  1. 네스토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루스, 에페소 공의회(431년) = 581
   1.1. 네스토리우스의 작품과 신학 = 586
   1.2. 공의회 문서 = 589
   1.3.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루스의 작품과 신학 = 590
  2. 치루스의 테오도레투스 = 595
   2.1. 성서주석 작품 = 597
   2.2. 「에라니스테스」와 테오도레투스의 그리스도론 = 599
   2.3. 「교회사」 = 601
  3. 대 레오 = 602
   「플라비아누스에게 보낸 교의서간」과 레오의 그리스도론 = 608
  4. 칼체돈 공의회(451년) = 610
   4.1. 신경 = 612
   4.2. 규범규정과 교회회의 서간 = 614
 제11장 : 라틴 서방교회의 문헌 = 617
  1. 마르세이유의 살비아누스 = 617
   「하느님의 주재」 = 619
  2. 보에티우스 = 621
   「철학의 위안」 = 625
  3. 카시오도루스 = 628
   작품과 영향 = 631
  4. 누르시아의 베네딕도 = 633
   「규칙서」 = 637
  5. 대 그레고리우스 = 641
   5.1. 「욥기의 도덕」 = 648
   5.2. 「사목규칙」 = 649
   5.3. 「대화」 = 651
   5.4. 「서간 목록」 = 653
  6. 투르의 그레고리우스 = 654
   「프랑크족의 역사」와 「기적에 관한 책」 = 655
  7. 세빌라의 이시도루스 = 658
   「어원학」과 「명제」 = 660
 제12장 : 그리스 동방교회의 문헌 = 663
  1. 성서주석서 선집 = 663
  2. 가假 -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 666
   작품과 신학 = 667
  3. 고백자 막시무스 = 670
   작품과 신학 = 674
  4. 다마스쿠스의 요한 = 676
   「성화상에 관한 연설」 = 679
제5부 그리스도교 동방교회의 문헌
 서론 = 685
  1. 시리아어 문헌 = 686
   1.1. 아프라하트 = 691
   1.2. 에프렘 = 695
  2. 콥트어 문헌 = 699
   아트리페의 셰누테 = 702
  3. 에티오피아어 문헌 = 704
  4. 아르메니아어 문헌 = 707
  5. 게오르기아어 문헌 = 710
  6. 아랍어 문헌 = 711
  7. 고대 슬라브어 문헌 = 713
색인 = 7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