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6n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794681 | |
005 | 20140402103640 | |
007 | ta | |
008 | 140402s2014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68661624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9 ▼2 23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4 | |
100 | 1 | ▼a Blanchard, Olivier ▼q (Olivier J.) ▼0 AUTH(211009)25259 |
245 | 1 0 | ▼a 거시경제학 / ▼d Olivier Blanchard, ▼e David R. Johnson 지음 ; ▼e 최희갑 옮김 |
246 | 1 9 | ▼a Macroeconomics ▼g (6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4 | |
300 | ▼a xvi, 672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7 cm | |
500 | ▼a 색인과 부록수록 | |
650 | 0 | ▼a Macroeconomics |
700 | 1 | ▼a Johnson, David R., ▼e 저 ▼0 AUTH(211009)112653 |
700 | 1 | ▼a 최희갑, ▼e 역 ▼0 AUTH(211009)134802 |
900 | 1 0 | ▼a 블랜차드, 올리버, ▼e 저 |
900 | 1 0 | ▼a 존슨, 데이비드 R.,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69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81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81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212293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69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81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117181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9 2014 | Accession No. 1212293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올리비에 블랜차드(지은이)
프랑스인으로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직업 생활의 대부분을 보냈다. 1977년 MIT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그는 1982년 하버드대학교에서 MIT로 돌아왔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경제학과장을 역임했다. 2008년에는 IMF의 연구부서를 이끌었고, 2015년 10월부터 워싱턴 소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에서 Fred Bergsten Senior Fellow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또한 MIT의 Robert M. Solow 명예교수로 남아 있다. 그는 통화정책의 역할에서부터 투기거품의 속성, 노동시장의 성격과 실업의 결정요인, 과거 공산국가의 이행, 글로벌 위기의 배경까지 다양한 거시경제 문제를 연구해 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여러 국가 및 국제기구와 협력했다. 그는 피셔(Stanley Fischer)와 함께 저술한 대학원 교과서를 포함해 많은 책과 논문을 저술했다. 그는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와 NBER Macroeconomics Annual의 편집장, AEJ Macroeconomics의 설립 편집장이었다. 또한 Econometric Society의 회원이자 위원이며,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의 부회장직을 역임했고, American Academy of Sciences의 회원이다.
데이비드 존슨(지은이)
존슨(David Johnson)은 윌프리드로리에대학의 경제학과 교수이며, C. D. Howe 연구소의 교육정책 연구위원이다. 존슨 교수의 전문분야는 거시경제학, 국제금융 그리고 최근에는 교육의 경제학에 있다.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그의 업적은 캐나다의 국제채무, 미국 이자율의 캐나다 이자율에 대한 영향, 캐나다와 미국 간의 환율 결정을 포함한다. 그가 2005년에 저술한 Signposts of Success는 온타리오 지역의 초등학교 시험성적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2006년에 Donner 상과 Purvis 상을 수상하였다. 아울러 그는 캐나다를 포함한 세계 전역에 걸친 통화정책의 일부분이 되어 있는 인플레이션 타케팅 정책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그가 주로 교육하는 분야는 거시경제학이다. 그는 블랜차드와 함께 Macroeconomics(캐나다 판)를 저술하였다. 존슨 교수는 토론토대학에서 학사학위, 웨스턴온타리오대학에서 석사학위를 그리고 하버드대학에서 1983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는데, 블랜차드 교수가 그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였다. 그는 Bank of Canada를 위해 자문을 해 왔고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케임브리지대학을 방문했으며, 더 최근에는 캐나다-미국 풀브라이트 학자이자 방문석좌교수로 UC 샌타바버라를 방문하였다. 존슨 교수는 아내인 수전(경제학과 교수)과 함께 온타리오 주 워털루에서 살고 있으며 슬하에 두 자녀를 두고 있다. 존슨 교수는 경제학 연구나 교육에서 벗어나 있을 때 주로 하키 경기를 하며 겨울에는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즐기고 여름에는 스컬링을 즐긴다. 최근 존슨 교수는 통상적인 활동을 완전히 벗어나, 온타리오 주의 방과후 청소년 학교인 Logos 프로그램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희갑(옮긴이)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금융연구소를 거쳐 2005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연구활동에 전념했으며, 현재는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논문으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외환위기와 소득분배의 양극화’, ‘불확실성과 기업의 투자활동’, ‘인플레이션과 상대가격 변동성’, ‘소비, 경기변동과 소비자태도’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경제론: 성취와 유산 그리고 도전』, 『불확실성을 경영하라』, 『상생의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서론 제01장 세계 여행 = 3 1.1. 위기 = 4 1.2. 미국 = 7 1.3. 유로 지역 = 10 1.4. 중국 = 14 1.5. 앞으로의 논의 = 16 부록 : 거시경제 데이터의 출처 = 19 제02장 책으로의 여행 = 21 2.1. 총산출 = 22 2.2. 실업률 = 28 2.3. 인플레이션율 = 32 2.4. 산출, 실업, 인플레이션율: 오쿤의 법칙과 필립스 곡선 = 36 2.5.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 = 38 2.6. 책으로의 여행 = 39 부록: 실질 GDP의 구축, 연쇄 지수 = 46 제2부 단기 제03장 재화시장 = 51 3.1. GDP의 구성 = 52 3.2. 재화에 대한 수요 = 54 3.3. 균형산출의 결정 = 57 3.4. 투자와 저축의 일치: 재화시장의 균형에 대한 또 다른 사고 방법 = 66 3.5. 정부는 전능한가? 경고 = 69 제04장 금융시장 = 75 4.1. 통화에 대한 수요 = 76 4.2. 이자율의 결정 Ⅰ = 80 4.3. 이자율의 결정 Ⅱ = 86 4.4. 균형을 살펴보는 두 가지 방법 = 94 제05장 재화시장과 금융시장 : IS-LM 모형 = 101 5.1. 재화시장과 IS 관계 = 102 5.2. 금융시장과 LM관계 = 107 5.3. IS관계와 LM관계의 결합 = 110 5.4. 정책 조합의 활용 = 116 5.5. IS-LM 모형은 현실을 얼마나 잘 설명할까? = 121 부록: 이자율 규칙으로서 LM관계의 다른 유도 방법 = 127 제3부 중기 제06장 노동시장 = 131 6.1. 노동시장의 개관 = 132 6.2. 실업률 변화 = 135 6.3. 임금의 결정 = 138 6.4. 가격결정 = 143 6.5. 자연실업률 = 144 6.6. 어디로 가는가? = 149 부록: 임금 및 가격설정 관계와 노동수요 및 노동공급 = 153 제07장 재화ㆍ금융ㆍ노동시장의 통합 : AS-AD 모형 = 155 7.1. 총공급 = 156 7.2. 총수요 = 159 7.3. 단기 균형과 중기 균형 = 162 7.4. 통화팽창의 파급효과 = 165 7.5. 재정적자의 감소 = 170 7.6. 유가의 상승 = 173 7.7. 결론 = 180 제08장 필립스 곡선, 자연실업률 그리고 인플레이션 = 186 8.1.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그리고 실업 = 187 8.2. 필립스 곡선 = 189 8.3. 요약과 경고 = 198 부록: 총공급 관계에서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그리고 실업 간의 관계로 = 210 제09장 글로벌 금융 위기 = 212 9.1. 주택문제부터 금융 위기까지 = 213 9.2. 정책의 사용과 한계 = 220 9.3. 회복의 지연 = 228 제4부 장기 제10장 경제성장에 관한 사실들 = 239 10.1. 생활수준의 측정 = 240 10.2. 1950년 이래 부국에 있어서의 경제 성장 = 244 10.3. 시간과 공간을 넓혀서 본 결과 = 248 10.4. 성장에 대한 사고법: 입문 = 251 제11장 저축, 자본축적 그리고 산출 = 259 11.1. 산출과 자본의 상호작용 = 260 11.2. 저축률 변화의 효과 = 263 11.3. 현실적인 감을 잡기 = 272 11.4. 물적자본과 인적자본 = 279 부록: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와 정상상태 = 285 제12장 기술진보와 성장 = 287 12.1. 기술진보와 성장률 = 288 12.2. 기술진보율의 결정요인 = 295 12.3. 성장 경험의 재검토 = 299 부록: 기술진보 측정치의 구축 = 306 제13장 기술진보 :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 = 308 13.1. 단기에 있어 생산성, 산출 그리고 실업 = 312 13.2. 생산성과 자연실업률 = 313 13.3. 기술진보, 교반 그리고 분배효과 = 319 13.4. 제도, 기술진보 그리고 성장 = 324 제5부 기대 제14장 기대 : 기초적 수단 = 335 14.1.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336 14.2. 명목 및 실질이자율과 IS-LM 모형 = 342 14.3. 통화 증가율, 인플레이션, 명목 및 실질 이자율 = 343 14.4. 기대현재할인가치 = 351 부록: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을 이용한 기대 현재할인가치의 유도 = 359 제15장 금융시장과 기대 = 361 15.1. 채권가격과 채권 수익률 = 362 15.2. 주식시장과 주가의 변화 = 372 15.3. 버블, 패드 그리고 주가 = 379 제16장 기대, 소비 그리고 투자 = 389 16.1. 소비 = 390 16.2. 투자 = 398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 407 부록: 정태적 기대하에서 이윤의 기대현재가치의 유도 = 413 제17장 기대, 산출 그리고 정책 = 414 17.1. 기대와 의사결정: 전체적 개요 = 415 17.2. 통화정책, 기대 그리고 산출 = 419 17.3. 재정적자 감축 기대 그리고 산출 = 425 제6부 개방경제 제18장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개방 = 439 18.1. 재화시장의 개방 = 440 18.2. 금융시장의 개방 = 449 18.3. 결론과 조망 = 458 제19장 개방경제에서의 재화시장 = 462 19.1. 개방경제에서 IS 관계 = 463 19.2. 균형산출과 무역수지 = 466 19.3. 국내 수요 또는 외국 수요의 증가 = 468 19.4. 평가절하, 무역수지 그리고 산출 = 473 19.5. 동학의 검토: J-곡선 = 477 19.6. 저축, 투자 그리고 무역수지 = 479 부록: 마셜-러너 조건의 유도 = 487 제20장 산출, 이자율 그리고 환율 = 489 20.1. 재화시장의 균형 = 490 20.2. 금융시장의 균형 = 491 20.3.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통합 = 497 20.4. 개방경제에서 정책의 파급효과 = 498 20.5. 고정환율 = 502 부록: 고정환율, 이자율 그리고 자본이동성 = 510 제21장 환율제도 = 513 21.1. 중기 = 514 21.2. 고정환율제하에서의 환율 위기 = 519 21.3. 변동환율제하에서의 환율변동 = 524 21.4. 환율제도의 선택 = 528 부록 1: 고정환율제하에서의 총수요의 유도 = 539 부록 2: 실질환율과 국내외 실질이자율 = 540 제7부 정책에 대한 검토 제22장 정책에 대한 제약 = 545 22.1. 불확실성과 정책 = 546 22.2. 기대와 정책 = 551 23.3. 정치와 정책 = 556 제23장 재정정책 : 요약 = 567 23.1. 재정정책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과 현 위치 = 568 23.2. 정부의 예산제약: 재정적자, 부채, 지출, 조세 = 569 23.3. 리카디안 동등성, 경기조정 재정적자 그리고 전비조달 = 576 23.4. 고부채의 위험 = 582 제24장 통화정책 : 정리 = 595 24.1. 통화정책 : 학습한 내용 = 596 24.2. 최적 인플레이션율 = 598 24.3. 통화정책의 설계 = 604 24.4. 위기가 낳은 도전 = 611 제25장 후기 : 거시경제학 이야기 = 621 25.1. 케인스와 대공항 = 622 25.2. 신고전파 종합 = 622 25.3. 합리적 기대가설 비판 = 626 25.4. 2009년 위기까지의 거시경제학 발전 = 630 25.5. 위기가 준 거시경제학에 대한 첫 교훈들 = 634 부록 = 639 부록 1 : 국민소득 및 생산계정에 대한 소개 = 639 부록 2 : 수학적 기초 = 646 부록 3 : 계량경제학의 소개 = 652 용어해설 = 657 찾아보기 = 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