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85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92329 | |
005 | 20140320162701 | |
007 | ta | |
008 | 140318s201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49909059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303133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072 ▼a 181.119 ▼2 23 |
085 | ▼a 953.02072 ▼2 DDCK | |
090 | ▼a 953.02072 ▼b 2012 | |
110 | ▼a 경기문화재단. ▼b 실학박물관 | |
245 | 1 0 | ▼a 실학자들의 한국 고대사 인식 / ▼d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엮음 |
260 | ▼a 서울 : ▼b 景仁文化社, ▼c 2012 | |
300 | ▼a vii, 218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실학연구총서 ; ▼v 05 |
500 | ▼a 필자: 조인성, 송호정, 문창로, 김현숙, 채미하, 김종복 | |
500 | ▼a 부록: 1.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동사강목의 발해 관련 기사, 2. 동사강목, 발해고, 해동역사 발해 영역도 | |
504 | ▼a 참고문헌(p. 209-21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조인성, ▼e 저 |
700 | 1 | ▼a 송호정, ▼e 저 |
700 | 1 | ▼a 문창로, ▼e 저 |
700 | 1 | ▼a 김현숙, ▼e 저 |
700 | 1 | ▼a 채미하, ▼e 저 |
700 | 1 | ▼a 김종복,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072 2012 | 등록번호 1117144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간행사 = 3 실학자들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의의 - 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 조인성 1. 머리말 = 3 2. 사료로서의 순수비 = 6 3. 연구의 과정과 내용 = 9 4. 맺음말 = 16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 송호정 1. 머리말 = 21 2.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인식 = 23 3.『아방강역고』에 나타난 고조선과 한사군 인식 = 33 4. 실학자들의 연구와 근대 역사학 = 41 5. 맺음말 = 46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삼한사 연구와 의의 / 문창로 1. 논의의 방향 = 51 2. 실학 대두 이전의 삼한 인식 = 53 3. 삼한사 연구의 추이와 특징 = 60 4. 연구 성과의 계승과 의의 = 97 실학자들의 고구려사ㆍ백제사 연구 / 김현숙 1. 머리말 = 109 2. 실학자들의 고구려ㆍ백제 인식 = 111 3. 실학자들의 고구려사ㆍ백제사 연구 = 120 4. 맺음말 = 136 실학자들의 신라사 연구 방법과 그 해석 / 채미하 1. 머리말 = 141 2. 역사지리적 관점에서 서술한 신라사 = 142 3. 신라사에 대한 사실 고증 = 149 4. 실학자들의 신라사 해석 = 158 5. 맺음말 = 167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발해사 연구 성과 / 김종복 1. 머리말 = 171 2.『동사강목』과 발해사 서술의 증가 = 173 3.『발해고』와『해동역사』의 인용 자료 = 180 4. 발해 지리 고증의 심화 = 188 5. 맺음말 = 193 참고문헌 = 209 찾아보기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