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57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92325 | |
005 | 20140319130310 | |
007 | ta | |
008 | 140318s2013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0324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312412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01 ▼2 23 |
085 | ▼a 401 ▼2 DDCK | |
090 | ▼a 401 ▼b 2013z6 | |
100 | 1 | ▼a 조숙환 ▼0 AUTH(211009)111436 |
245 | 1 0 | ▼a 언어와 인지 이야기 / ▼d 조숙환 지음 |
246 | 1 1 | ▼a Language and congnition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16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155-15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 2013z6 | Accession No. 1117144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가 말을 듣고, 읽고, 쓰고, 상대방의 표정을 읽으면서 어떻게 이해하고 습득하게 되는지에 대해 다룬 책이다. 오관을 이용하여 말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인지하며, 태어나 모국어를 접하면서 모국어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알게 되는지에 대해 탐구해 본다.
사실, 말은 어디에나 있는 물과 공기 같다고 할 수도 있다. 말이 없는 상황은 상상하기도 힘들다. 심지어, 침묵 속에서도 우리는 서로 소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이미 얼굴 표정과 울음소리 등으로 자기표현을 하기 시작한다. 세 돌도 안 되어 아이는 어떤 주제이건 상관없이 친구, 가족들과 큰 어려움 없이 어느 정도 성숙한 말솜씨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나오는 대로 받아 매일 세수하고 음식을 하면서 실제로 물에 대한 얘기를 거의 하지 않고 지내듯이, 우리는 인간의 언어가 어떻게 생겼는지, 어떻게 습득되는지, 어떻게 처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누는 일이 거의 없다. 너무 흔하고 당연한 일로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인간의 언어와 인지의 세계는 신기하고 신비로운 모습으로 가득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가령, 인간은 태어나 몇 시간도 안 되어 말소리와 노래소리, 기적소리 등 말소리가 아닌 다른 소리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한다. 말소리가 들리면 화자의 눈이나 얼굴 표정으로 시선을 돌리지만, 창 밖에서 들려오는 차량 소음, 발자국소리 등 여러 다른 소리에는 담화자보다는 바깥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또한, 우리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언어생활을 한다. 누군가를 만나면, 상대방이나 다른 사람을 통해 의사소통을 요청 받거나 하지 않아도 주변의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대화를 어떻게 할지의 여부에 대해 거의 반자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우리는 대화하는 동안 말의 내용에 대해서는 간혹 의식할 때가 있지만, 말의 구조나 형태를 의식적으로 분석하며 대화하지 않는다. 상대 담화자의 말은 고사하고 내가 방금 한 말도 내용은 기억해도 동일한 단어와 문법구조로 토씨 하나 틀림없이 재현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이러한 현상만 보아도 우리는 언어의 형태에 대해 거의 의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 책에서 우리는 우리가 말을 듣고, 읽고, 쓰고, 상대방의 표정을 읽으면서 어떻게 이해하고 습득하게 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오관을 이용하여 우리는 말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인지하며, 태어나 모국어를 접하면서 모국어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알게 되는지에 대해 탐구해 보려고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차례 = 8 1장 인지과학의 과제와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 13 1. 인지과학의 과제 = 13 2. 패러다임의 전환 : 1960년대 이전과 이후 = 16 3.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 현대언어학의 과제 = 20 2장 언어와 인지의 보편성(universality)과 특정성(specificity) = 25 1. 언어와 인지의 보편성(universality) = 26 2. 언어와 인지의 특정성(specificity) = 28 3장 통사구조의 보편성(universality) = 31 1. 보편문법 = 31 2. 통사구조의 귀환성(recursion)과 의존성(dependency) = 33 4장 '경험'과 초기 언어습득 = 37 1. '경험'의 역할 = 39 2. Bloomfield(1933)와 Burrhus F. Skinner(1957) = 42 3. Chomsky(1959, 1988, 1995) = 46 4. 언어 발달 과정과 언어습득이론 = 49 5장 '보편성'과 형태-통사구조 습득 = 57 1. 시제어미 습득에 대한 최근 가설 = 60 2. 과거시제 의미의 습득 = 62 3. 동사어미 형태 및 통사적 분석 = 68 6장 '비행기' 접기와 말소리 처리 = 79 1. 비행기 접기 규칙 = 79 2. 말소리 규칙 = 81 7장 문법관계 = 87 1. 문법성 판단 능력 = 87 2. 내적 언어(I-language)의 선험성과 생산성 = 88 3. 구조적 의존성과 통사적 이동 = 92 8장 생각과 언어구조 = 95 1. 다양한 생각과 표현 = 95 2. 개념화의 보편성 = 97 3. 생각과 언어구조 : 의미구조의 보편성 = 99 9장 인간의 언어와 두뇌 = 105 1. 두뇌와 언어 = 105 2. 두뇌의 단원성(modularity) = 107 10장 유전가설 = 113 1. KE 가족 = 116 2. FOXP2 유전자 = 117 11장 환경과 언어유전자 = 121 1. 환경 속의 '인간' = 121 2. 니스벳(Richard Nisbett) = 124 3. 유전적 언어 장애 '자폐증'(autistic spectrum disorder) = 126 4. 두뇌의 지엽화(localization) = 131 12장 사회와 문화의 체계 = 133 1. 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 = 133 2. 문화의 보편문법 = 138 3. 사회적 체계와 인간본성의 매개변항화 = 140 13장 마음의 진화 = 141 1. 문화 능력의 선험성 = 141 2. 사회적 지각 = 143 3. 사회적 이해의 개념적 토대 = 145 4. 마음이론(theory of mind) = 150 참고문헌 = 155 찾아보기 =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