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4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92231 | |
005 | 20140319173539 | |
007 | ta | |
008 | 140318s2014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4944824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80071 ▼2 23 |
085 | ▼a 497.80071 ▼2 DDCK | |
090 | ▼a 497.80071 ▼b 2014 | |
100 | 1 | ▼a 배재원 ▼0 AUTH(211009)1250 |
245 | 1 0 | ▼a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 ▼d 배재원 지음 |
260 | ▼a 서울 : ▼b 혜안, ▼c 2014 | |
300 | ▼a 226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이화연구총서 ; ▼v 19 |
500 | ▼a 부록: 한국문화 콘텐츠 서지 목록 | |
504 | ▼a 참고문헌(p. 195-214)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0071 2014 | 등록번호 1117145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연구서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화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논지를 견지하면서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문화적 접근’ 원리와 한국문화 범주 간의 ‘통합적 접근’ 원리를 도출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에 따른 실제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과 범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점도 이 책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현재 문화 교육의 목적이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치우쳐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문화 연구와 한국문화 교육을 조직적, 실제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한국문화 교육 연구에 밑그림을 그렸다는 데 이 책의 의미가 있음을 밝힌다.
한국문화 이해가 따르지 않는, 외국인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은 모래성일 뿐이다
이 책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연구서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접하는 순간 한국문화를 만나게 된다. 이는 한국어 교육의 현장이 바로 한국문화 교육의 현장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화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논지를 견지하면서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문화적 접근’ 원리와 한국문화 범주 간의 ‘통합적 접근’ 원리를 도출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에 따른 실제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과 범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점도 이 책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방향, 문화 교육 내용,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 다음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광범위하고 중층적인 문화의 개념을 인문학, 사회학, 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외국어 교육학에서 논의하는 문화의 개념도 알아보았다. 이어 현재 한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유형별 특성을 면밀히 짚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현황을 문화 교육의 위상과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의 틀 안에 묶여 있는 문화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제3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외에 또 다른 목표인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고, 이어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으로 구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의 관계를 설정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한국문화를 성취문화, 행동문화 및 관념문화로 범주화하였으며, 그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원리를 찾아내고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점들을 다시 짚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저자는 현재 문화 교육의 목적이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치우쳐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문화 연구와 한국문화 교육을 조직적, 실제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한국문화 교육 연구에 밑그림을 그렸다는 데 이 책의 의미가 있음을 밝혔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이화연구총서 발간사 = 5 책머리에 = 7 Ⅰ. 서론 = 13 Ⅱ. 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 = 31 1. 문화와 문화 교육 = 31 1) 문화의 개념과 문화에 대한 관점 = 31 2) 문화 교육의 유형과 특징 = 38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개념 = 58 1) 의사소통과 '문화' = 58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 65 3.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 = 70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위상 = 70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안 = 74 Ⅲ.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 = 87 1. 문화 교육 목표 재설정의 필요성 = 87 2.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지향하는 문화 교육의 목적 = 98 1)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 = 98 2)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의식 및 문화 교육 목적 = 101 3.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 :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간 이해 능력' = 122 1)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교육 = 122 2)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과 문화 교육 = 128 3)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간 이해 능력'의 관계 = 135 Ⅳ.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와 교육 방향 = 139 1.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과 범주 = 139 1) 문화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 = 140 2) 한국문화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 = 149 2.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 = 170 1) '상호문화적 접근' 원리 = 171 2) 한국문화 세 범주에 대한 '통합적 접근' 원리 = 178 3. 두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문화 교육 방향 = 181 1)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 182 2)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 185 Ⅴ. 결론 = 191 참고문헌 = 195 부록 : 한국문화 콘텐츠 서지 목록 = 215 찾아보기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