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0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92230 | |
005 | 20140321093334 | |
007 | ta | |
008 | 140318s2013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0393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317629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80071 ▼2 23 |
085 | ▼a 497.80071 ▼2 DDCK | |
090 | ▼a 497.80071 ▼b 2013z2 | |
100 | 1 | ▼a 김순자 ▼0 AUTH(211009)23900 |
245 | 1 0 | ▼a 한국어교육에서의 소설 텍스트 교육 연구 / ▼d 김순자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vii, 20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학생 실태 설문 | |
504 | ▼a 참고문헌(p. 180-190)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0071 2013z2 | 등록번호 1117145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 구조, 주제의 통합적 소설 텍스트 교육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및 문학 능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 텍스트의 각 층위에 따라 소설 텍스트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그 교육방법까지 함께 제시하였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서 소통하고, 문학을 통해서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받기도 하고, 다른 문화에 관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기도 한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그 대상이 전 세계적이어서 그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문학교육을 연구하기 위하여 소설 텍스트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고, 그에 따른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소설 텍스트는 문학의 다른 갈래에 비해 언어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고, 언어가 운용되는 실제 맥락을 잘 구현하고 있으며, 언어적 소통구조를 잘 보여주는 텍스트이기 때문에 의사소통 교육에 매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고전소설도 텍스트로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으나 현대소설 텍스트에 학습자의 관심이 더 높고, 현대소설이 현재와 가까운 시기의 발화를 보여주면서 문화적 요소 또한 현실적 맥락에서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언어, 구조, 주제의 통합적 소설 텍스트 교육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및 문학 능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 텍스트의 각 층위에 따라 소설 텍스트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그 교육방법까지 함께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차례 = ⅵ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2. 연구사 검토 = 6 3. 연구 대상과 방법 = 16 1) 연구 대상 = 16 2) 연구 방법 = 22 제2장 한국어 학습자의 소설 수용 양상과 텍스트 선정 = 28 1. 설문의 목적과 대상 = 28 2. 한국문학 학습 경험과 요구 내용 = 30 3. 현대소설 학습 경험과 기대 지평 = 32 4. 소설의 언어ㆍ구조ㆍ주제에 대한 수용 양상 = 36 5. 학습자의 소설 수용 특징과 텍스트 선정 = 43 제3장 소설 텍스트 교육의 내용과 방법 = 48 1. 소설 언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48 1) 어휘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50 2) 문형과 담화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56 2. 소설 구조 교육의 내용과 방법 = 70 1) 배경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72 2) 인물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82 3) 줄거리와 플롯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92 4) 어조, 분위기, 시점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102 3. 소설 주제 교육의 내용과 방법 = 118 1) 제재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123 2) 주제 교육의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 = 126 제4장 소설 텍스트 교육의 실제 = 133 1. 텍스트의 수용 양상과 학습 목표ㆍ학습 활동의 문제점 = 133 1) 학습 목표 분석 = 136 2) 학습 활동 분석 = 140 2. 학습 목표ㆍ학습 활동의 재구성과 교수ㆍ학습의 실제 = 143 1) 소설 언어 중심 교수ㆍ학습 = 143 2) 소설 구조 중심 교수ㆍ학습 = 152 3) 소설 주제 중심 교수ㆍ학습 = 168 제5장 결론 = 176 참고문헌 = 180 부록 = 191 찾아보기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