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트렌드
Ⅰ.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소비실태 = 24
1. 디지털 기기 이용실태 = 24
1-1.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1-2. 디지털기기 이용시간
2. 디지털미디어이용실태 = 27
2-1.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2-2.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
3.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29
3-1. 이용경험
3-2. 이용기기
4.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32
4-1.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TV 시청
4-2.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영화감상
4-3.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음악감상
4-4.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독서경험
Ⅱ. 2013년 한국인의 미디어 이용실태 = 36
1. 2013년 한국인의 일상생활과 미디어 = 36
1-1. 멀티스크린 이용행태
1-2. TV 콘텐츠 이용행태
1-3. 이동시 미디어 이용행태
2.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과 미디어 이용행태 = 41
2-1. 구매의사결정 이전 단계에서의 정보획득경로
2-2. 구매의사결정 이전 단계에서의 광고접촉매체
2-3. 구매 고려/평가 단계에서의 구매영향정보
2-4. 사용경험의 구전 및 공유 채널
Ⅲ.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 46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 46
1-1. 편리성 추구
1-2. 혁신과 기능 추구
1-3. 관계지향적
1-4. 개성과 유행 추구
1-5. 디지털 애착
1-6. 디지털을 이용한 자기개발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 52
2-1. 'Family Guy'의 특징
2-2. 'Quiet'의 특징
2-3. 'Relationship&Trend Oriented'의 특징
2-4. 'Convenience Seeker'의 특징
2-5. 'Goal-oriented Digital Lover'의 특징
2-6. 'Functionals'의 특징
3.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특징 = 60
3-1. 디지털 기기 이용실태
3-2. 디지털 미디어 이용실태
3-3.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3-4.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4. 디지털과 한국인의 삶 = 62
4-1.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4-2.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Ⅳ.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광고태도 및 수용도 = 66
1. 2013년 디지털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 66
2. 디지털 미디어 광고수용지수의 변화 = 67
2-1. 인터넷광고
2-2. 모바일광고
2-3. 소셜미디어광고
제2부. 인터넷 트렌드 분석
Ⅰ. 인터넷 이용실태 = 73
1. 인터넷이용현황 = 73
1-1. 인터넷 이용률
1-2. 인터넷이용인구
2. 인터넷 이용행태 = 74
2-1. 인터넷 이용 빈도 및 시간
2-2. 인터넷 이용 장소
3. 계층별 인터넷 이용행태 = 76
3-1. 인터넷 이용용도
3-2. 커뮤니케이션 수단
3-3. 정보획득경로에서의 인터넷 비중
3-4. 인터넷 미디어 이용현황
Ⅱ. 포털서비스에 대한 이해 = 80
1. 포털서비스 이용실태 = 80
1-1. 포털서비스 이용 기기
1-2. 기기별 포털서비스 이용 시간
1-3. 기기별 포털서비스 이용 카테고리
1-4. 모바일 포털서비스 이용 방법
2. 포털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니즈 = 84
2-1. 포털서비스 중요 고려 속성
2-2. 포털서비스 이용만족도 및 개선필요영역
Ⅲ. 인터넷광고에 대한 이해 = 90
1. 온라인광고 시장규모 및 전망 = 90
1-1. 국내
1-2. 미국
2. 온라인광고의 혜택과 예산의 증가 = 94
2-1. 오프라인 대비 온라인 광고의 혜택
2-2. 온라인광고 예산의 증가 추이
3. 온라인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피로도 = 96
3-1. 오디언스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광고 유형
3-2. 스팸성 온라인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4.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 및 수용도 = 98
4-1. 인터넷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광고효과
4-2. 포털서비스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수용도
Ⅳ. 인터넷 이슈 및 트렌드 분석 = 102
1. 뉴스 미디어의 소비환경의 변화와 네이버 뉴스스탠드의 도입 = 102
1-1. 인터넷의 등장과 뉴스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
1-2. 포털사이트 중심의 뉴스 소비와 의존도의 심화
1-3. 네이버 뉴스스탠드의 도입 현황 및 전망
2. 온라인 동영상 시청의 중가와 광고효과 = 110
2-1. 온라인 동영상 시청경험 및 성장 전망
2-2. 온라인 동영상시청행태
2-3. 동영상광고 접촉실태 및 광고효과
2-4. 온라인 동영상광고 전략수립을 위한 고려사항
제3부. 모바일 트렌드 분석
Ⅰ. 스마트 기기 트렌드 분석 = 127
1. 스마트 기기 시장 규모 및 전망 = 127
1-1. 스마트 기기 출하량
1-2. 스마트 기기 가입자 추이
1-3.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트래픽 추이
2. 스마트 기기 이용실태 = 131
2-1. 스마트 기기 이용률
2-2. 스마트 기기 이용 이유
2-3. 스마트 기기 선택 시 고려요소
2-4. 스마트 기기 일평균 이용시간
2-5.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송/영상콘텐츠 이용실태
2-6.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송/영상콘텐츠 이용상황
2-7. 스마트폰 이용 후의 변화
3. Mobile Connected Device 이용실태 = 13
3-1. Mobile Connected Device별 이용동기
3-2. Mobile Connected Device별 애플리케이션 니즈
3-3. Mobile Connected Device별 인터넷 이용방법
Ⅱ. Connected Consumer에 대한 이해 = 139
1. Connected Consumer의 특징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 139
1-1. Connected Consumer의 비중
1-2. 소비자 특성별 Connected Consumer 비중
2. Connected Consumer의 디지털 기기/미디어에 대한 태도
2-1. Connected Consumer의 유선인터넷 선호 성향
2-2. Connected Consumer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선호 성향
3. Connected Consumer의 Connected Device 보유현황 = 143
4. Connected Consumer의 신기술 수용성향 = 144
5. Connected Consumer의 브랜드 인게이즈먼트 = 144
6. Connected Consumer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브랜드 인게이즈먼트 = 145
Ⅲ. 모바일광고에 대한 이해 = 147
1. 모바일광고 시장규모 및 전망 = 147
1-1. 모바일 광고 전체 및 유형별 시장규모
1-2. 모바일 광고집행액 구성비
1-3. 모바일 광고예산 전망
1-4. 모바일 광고시장의 현황과 쟁점
2. 광고주와 오디언스의 모바일광고 평가 = 158
2-1. 광고주의 평가와 선호도
2-2. 오디언스의 평가와 거부감
3. 모바일광고 태도 및 수용지수 = 162
3-1. 모바일 광고수용지수
3-2, 기기별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
3-3. 기기별 모바일광고의 구매영향력
Ⅳ. 모바일 이슈 및 트렌드 분석 = 166
1. 모바일 앱 = 166
1-1. 모바일 앱 시장 규모 및 전망
1-2. 모바일 앱을 통한 인터넷 이용현황
1-3. 리워드 앱의 등장과 전망
1-4. 모바일 앱 광고의 특징과 유형
1-5. 모바일 앱 광고수용지수
1-6. 모바일 앱 광고수용도
2. 모바일 쇼핑 = 180
2-1. 모바일 쇼핑의 개념과 특징
2-2. 모바일 쇼핑 시장현황과 전망
2-3. 모바일 쇼핑 이용실태
2-4. 쇼핑동영상의 등장과 효과
3. 모바일 결제 = 191
3-1.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개념
3-2,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및 동향
3-3. 모바일 결제서비스 전망
3-4. 모바일 결제서비스 이용현황
제4부. 소셜 미디어 트렌드 분석
Ⅰ. 소셜 미디어 시장 트렌드 분석 = 206
1. 소셜 미디어 현황 및 전망 = 206
1-1. 소셜 미디어 이용자 현황 및 전망
1-2. 소셜 미디어 플랫폼별 이용자수
1-3. 페이스북의 동향과 이슈
2.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 210
2-1. 주이용 소셜 미디어
2-2. 소셜 미디어 이용 기기
2-3. 모바일에서의 소셜 미디어 이용 비중
2-4.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2-5. 소셜 추천행동과 브랜드 성과
2-6. 한국인의 소셜지수
Ⅱ.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용능력과 성과
1.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용의 필요성 = 217
1-1. 소셜 미디어 이용 확대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패턴의 변화
1-2. 소셜 브랜딩을 통한 인게이즈먼트 형성 및 강화
2. 기업의 소셜 플랫폼 활용 목적과 도입현황 = 219
3. 기업의 의사결정과 소셜 인텔리전스 = 220
3-1. 소셜 인텔리전스의 개념
3-2. 소셜 인텔리전스로써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가치
3-3. 소셜 인텔리전스로써 소셜 미디어가 수행하는 핵심적인 기능
3-4. 소셜 인텔리전스 활용 증대를 위한 4가지 소셜 테크놀러지 방법
4. 성공적인 소셜 브랜드의 요소 = 224
5. 소셜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실시간 마케팅 = 226
6. 기업의 소셜 플랫폼 활용 전략과 과제 = 229
Ⅲ.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해 = 231
1. 소셜 미디어 광고시장 규모 및 전망 = 231
2. 페이스북 광고 = 232
2-1. 페이스북의 동영상광고 효과
2-2. 페이스북에서의 효율적인 성별 타켓팅 방법
3. 트위터광고 = 234
3-1. 트위터 광고 매출 추이
3-2. 트위터 광고에 대한 인식
4. 소셜 미디어 광고태도 및 수용지수 = 236
4-1.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4-2.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유형
4-3. 소셜 미디어 광고 노출 인식 정도
Ⅳ. 소셜커머스 트렌드 분석 = 238
1. 소셜커머스 시장동향 및 이슈 = 238
1-1. 소셜커머스 시장규모 및 전망
1-2. 소셜커머스 시장의 이슈
2. 소셜커머스이용실태 = 240
2-1. 소셜커머스 이용 및 구매 경험
2-2. 소셜커머스 이용 기기
2-3. 소셜커머스 모바일 앱 선택 의사결정 과정
2-4. 소셜커머스 브랜드 이용 현황 및 선택시 고려요소
2-5. 소셜커머스 브랜드 이용 만족도
제5부. 디지털 광고시장분석
Ⅰ. 디지털 광고집행 금액 = 250
1. 인터넷광고 시장 = 250
1-1. 국내
1-2. 전세계
2. 모바일광고 시장 = 255
2-1. 국내
2-2. 전세계
3. DOOH 광고시장 = 258
3-1. 국내
3-2. 전세계
Ⅱ. 디지털 미디어 이슈 = 259
1. 인터넷 = 259
2. 모바일 = 266
3. 소셜 미디어 = 270
4. DOOH = 272
5. IPTV = 274
Ⅲ. 디지털 광고 신상품 및 신규 매체 소개 = 276
1. 인터넷 = 276
2. 모바일 = 279
3. 소셜미디어 = 284
4. DOOH = 285
Ⅳ. 디지털광고 집행 사례 = 286
1. 인터넷 = 286
1-1. 국내
1-2. 해외
2. 모바일 = 290
1-1. 국내
1-2. 해외
3. 소셜 미디어 = 294
1-1. 국내
1-2. 해외
4. DOOH = 297
1-1. 국내
1-2. 해외
Appendix. 참고문헌 및 DMC 미디어 발행 자료소개
Ⅰ. 참고문헌
Ⅱ. 그림 목차
Ⅲ. 표 목차
Ⅳ. DMC미디어 2013년 발행 자료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