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문정보학의 모색

인문정보학의 모색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현
서명 / 저자사항
인문정보학의 모색 / 김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북코리아,   2012.  
형태사항
829 p. : 삽화 ; 26 cm.
ISBN
9788963242897
000 00561namcc2200205 c 4500
001 000045789246
005 20140228174535
007 ta
008 130328s2012 ulka 0 0c kor
020 ▼a 9788963242897 ▼g 93000 : ▼c \35000
035 ▼a (KERIS)BIB000013139452
040 ▼a 241002 ▼c 241002 ▼d 241002 ▼d 211009
082 0 4 ▼a 001.3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2z24
100 1 ▼a 김현
245 1 0 ▼a 인문정보학의 모색 / ▼d 김현 지음.
260 ▼a 서울 : ▼b 북코리아, ▼c 2012.
300 ▼a 829 p. : ▼b 삽화 ; ▼c 26 cm.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천원 001.3 2012z24 등록번호 192057107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현(지은이)

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국역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베이스 CD-ROM>,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등 인문지식 자원을 소재로 한 다수의 정보 시스템 개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인문지식과 정보기술의 교차로에서 = 13
 1-1 멀티플레이어의 조건
  한국학과 뉴미디어의 접목을 위한 실험 = 15
  전통과 현대의 실천적 접목 = 21
 1-2 학문과 기술, 그리고 시장의 사잇길
  한국 사상, 그 최전선에 선 젊은 지성의 모험 = 31
  스톡홀름 기행 = 71
 1-3 옛 것을 돌아보는 이유
  정보화 시대에 여전히 옛 것을 돌아보는 이유 = 84
  옌칭 한국 도서관에서의 체험과 기대 = 95
제2부 인문정보학 연구의 시발 = 103
 2-1 인문지식 정보화의 첫 번째 구상 : 동양학 자료 전산화의 구상과 과제 = 105
 2-2 고전 자료 정보화의 첫걸음
  한글 고문자 처리 시스템 = 127
  『삼국유사인득』전산 처리 과정 = 139
제3부 조선왕조실록 CD-ROM: 한국학 연구 환경의 대전환 = 145
 3-1 조선왕조실록 CD-ROM 개발 과정
  한국 고전적 전산화의 성과와 과제 = 147
  『조선왕조실록』전산화를 위한 마크업 규칙 = 167
 3-2 조선왕조실록 CD-ROM의 영향
  CD-ROM을 타고 들어간 500년 조선 여행 = 191
  조선왕조실록 CD-ROM의 효용 = 204
 3-3 조선왕조실록 CD-ROM 후속 사업의 자취
  조선왕조실록 CD-ROM 간행사 = 215
  원전 조선왕조실록 CD-ROM = 222
제4부 인문정보학 연구개발의 산실 서울시스템, 그리고 이웅근 회장 = 227
 4-1 이웅근 회장을 회고하며 : 故 이웅근 회장, 그를 기억하는 이유 = 229
 4-2 문화와 산업의 접합점을 찾아
  미래산업과 전통문화 = 237
  멀티미디어의 향방 = 245
 4-3 학술 자료 정보화 기술 개발
  고전 자료 정보화 기술 = 253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 편찬을 위한 과제 = 270
 4-4 정보기술인의 단상
  컬럼:『동아일보』이생각저생각 = 281
  컬럼:『조선일보』一事一言 = 286
제5부 세계와 소통하는 기술: 지식 정보 네트워크 = 291
 5-1 과학기술 정보 시스템 개발 연구
  KISTI에서의 나의 연구 방향 = 293
  과학기술 정보 시스템 개발 사업 = 296
  과학기술 정보 유통 사업의 수행 성과와 발전 과제 = 310
 5-2 인문학을 위한 응용 방법의 모색
  역사정보 시스템의 기술적 과제 = 314
  한국의 전자도서관과 전자책 출판 = 322
  Unicode CJK IME = 335
제6부 인문정보학의 모색 = 363
 6-1 인문정보학이라는 이름, 그리고 그것의 함의
  인문정보학에 관한 구상 = 365
  디지털 정보 시대의 인문학 = 377
  인문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 387
 6-2 뉴미디어와 인문지식
  뉴미디어와 인문지식 = 405
  하이퍼텍스트와 인문지식 콘텐츠 = 409
  문화콘텐츠와 인문정보학 = 428
제7부 한국학과 인문정보학
 7-1 인문정보학 교육 프로그램 설계
  교육 및 연구 계획서 = 443
  한국학과 정보기술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448
  R&D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 492
 7-2 고문헌 자료 정보화 기술 연구
  한국 고전적 전산화의 발전 방향 = 515
  고문헌 자료 XML 전자문서 편찬 기술에 관한 연구 = 538
 7-3 한국문화와 인문정보학
  한류, 문화콘텐츠, 인문정보학 = 583
  한국의 IT: 정보기술과 한국문화 = 593
제8부 향토문화전자대전: 지역문화 콘텐츠와 인문정보학 = 615
 8-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향토문화전자대전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의 방향 = 617
  향토문화 하이퍼텍스트 구현을 위한 XML 요소 처리 방안 = 622
 8-2 지역문화 콘텐츠를 위한 GIS 응용 연구
  전자문화지도 개발을 위한 정보 편찬기술 = 655
  GIS와 지역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기술 = 668
 8-3 지역문화 디지털 콘텐츠 편찬자를 위한 기술 교육
  디지털 향토지 편찬의 기술적 환경 = 694
  디지털 향토지 콘텐츠 접근 방법의 설계와 구현 = 716
  지역문화 디지털 콘텐츠 편찬 노하우의 공유를 위해 = 747
제9부 내일을 위한 과제 = 753
 9-1 문화콘텐츠: 인문지식 향유의 새로운 트렌드 : 정보기술 플랫폼, 그곳에서의 인문지식 = 755
 9-2 우리의 관심을 아시아로 : 아시아 문화유산의 디지털화 프로그램 및 협력 방안 = 780
 9-3 하이퍼미디어: 인문지식의 새로운 형식을 찾아서 : "무엇이 나를 하늘에 오르게 했는가?" = 815

관련분야 신착자료

강태규 (2023)
Miller, Peter 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