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 Wissenschaftliche Abhandlungen und Reden zur Philosophie, Politik und Geistesgeschichte VI
000 | 00000cam u2200205 a 4500 | |
001 | 000045788029 | |
005 | 20161128094430 | |
008 | 140220r20131927gw 000 0 ger d | |
015 | ▼a 13,N12 ▼2 dnb | |
020 | ▼a 3428160002 | |
020 | ▼a 9783428160006 | |
035 | ▼a (OCoLC)844054479 | |
040 | ▼a DE-604 ▼b ger ▼e rakddb ▼c DEBBG ▼d OCLCQ ▼d GWDNB ▼d KUB ▼d 211009 | |
044 | ▼a gw ▼c XA-DE-BE | |
082 | 0 4 | ▼a 323.01 ▼2 23 |
084 | ▼a 323.01 ▼2 DDCK | |
090 | ▼a 323.01 ▼b J48e | |
100 | 1 | ▼a Jellinek, Georg, ▼d 1851-1911. |
245 | 1 4 | ▼a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 ▼b Wissenschaftliche Abhandlungen und Reden zur Philosophie, Politik und Geistesgeschichte VI / ▼c von georg Jellinek ; in Dritter Auflage bearbeitet von Walter Jellinek. |
260 | ▼a Berlin : ▼b Duncker et Humblot, ▼c [2013]. | |
300 | ▼a xviii, 85 p. ; ▼c 21 cm. | |
490 | 1 | ▼a Duncker et Humblot reprints |
500 | ▼a Reprint. Originally published: Munchen : Duncker & Humblot, 1927. | |
650 | 0 | ▼a Human right. |
650 | 0 | ▼a Constitutional history ▼z United States. |
650 | 0 | ▼a Constitutional history ▼z France. |
650 | 0 | ▼a Constitutional history. |
700 | 1 | ▼a Jellinke, Walter. |
830 | 0 | ▼a Duncker et Humblot reprints.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23.01 J48e | 등록번호 1117126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게오르크 엘리네크(지은이)
1851-1911. 19세기 독일 국가학의 집대성자. 유대계 독일인으로 라이프치히 출생이며 빈·하이델베르크·라이프치히대학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하였다. 1878년 빈대학에서 교수자격논문이 통과되었으며 빈·바젤대학 교수를 거쳐 1891년 블룬칠리(J. C. Bluntschli)의 후임으로 하이델베르크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저 『일반 국가학』(김효전 옮김, 법문사, 2005)에서 신칸트학파적인 2원적인 방법론을 구사하여 게르버와 라반트 이래의 독일공법이론을 체계화하는 한편, 사회학적 국가론에도 위치를 부여하며, 이른바 국가양면설을 취하였다. 그리하여 국가학은 철저하게 2원론에 빠졌는데, 한편 법학적 방법은 켈젠에 의해서 순수법학으로 까지 순화되고(민준기 옮김, 『일반 국가학』, 1990), 다른 한편 사회학적 측면은 헬러의 『국가학』(1934; 홍성방 옮김, 1997)이 계승하였다. 또한 그의 법학적 국가관의 중심관념은 국가의 자기제약설과 국가법인설이며, 이것은 독일의 특수성을 반영한 시민적 공법이론으로서 19세기 후반의 지배적인 학설이 되고, 한국과 일본의 헌법학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