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중음악의 이해

대중음악의 이해 (3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창남, 편 이정엽, 저 김병오, 저 이동연, 저 신현준, 저 차우진, 저 서정민갑, 저 최지선, 저 이준희, 저 이영미, 저 박애경, 저 양재영, 저 장유정, 저
서명 / 저자사항
대중음악의 이해 / 김창남 엮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2  
형태사항
37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462
ISBN
9788946054622
일반주기
지은이: 김창남, 이정엽, 김병오, 이동연, 신현준, 차우진, 서정민갑, 최지선, 이준희, 이영미, 박애경, 양재영, 장유정  
색인수록  
000 01171camcc2200409 c 4500
001 000045787572
005 20140218145338
007 ta
008 140217s2012 ggka 001c kor
020 ▼a 9788946054622 ▼g 93300
035 ▼a (KERIS)BIB000012921487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781.63/09519 ▼2 23
085 ▼a 781.630953 ▼2 DDCK
090 ▼a 781.630953 ▼b 2012z4
245 0 0 ▼a 대중음악의 이해 / ▼d 김창남 엮음
246 1 1 ▼a Understanding popular music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300 ▼a 372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462
500 ▼a 지은이: 김창남, 이정엽, 김병오, 이동연, 신현준, 차우진, 서정민갑, 최지선, 이준희, 이영미, 박애경, 양재영, 장유정
500 ▼a 색인수록
700 1 ▼a 김창남, ▼e▼0 AUTH(211009)64088
700 1 ▼a 이정엽, ▼e
700 1 ▼a 김병오, ▼e
700 1 ▼a 이동연, ▼e
700 1 ▼a 신현준, ▼e
700 1 ▼a 차우진, ▼e
700 1 ▼a 서정민갑, ▼e
700 1 ▼a 최지선, ▼e
700 1 ▼a 이준희, ▼e
700 1 ▼a 이영미, ▼e
700 1 ▼a 박애경, ▼e
700 1 ▼a 양재영, ▼e
700 1 ▼a 장유정,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630953 2012z4 등록번호 1117123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1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창남, 이영미 등 1세대 대중음악 연구자에서 차우진, 최지선 등 젊은 필진까지 현재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내로라하는 저자들이 우리나라의 역사와 상황에 맞는 대중음악 교재를 만들어보자는 의도로 의기투합해 내놓은 대중음악 개론서이다.

그동안 대중음악에 관한 개론서가 번역되어 소개되거나 한국의 대중음악사를 학술적으로 정리한 책들은 있었지만, 대중음악 전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갈증을 채우기에는 조금씩 부족함이 있었다. 한 곡의 노래를 우리가 듣기까지, 그 과정에 자리하고 있는 산업적.구조적 기반에서 역사적.사회적 맥락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엮었다.

“대중음악에 체계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대중음악과 사회의 역학 관계에서 파생하는 경제적.미학적.정치적.사회적 문제들을
함께 맞닥뜨리며 고민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대중음악의 ‘강남 스타일’에 접근하는 길잡이

싸이의 노래 '강남 스타일'이 폭발적인 유튜브 조회수를 자랑하며 케이팝(K-POP) 열풍에 기름을 붓고 있다. 한국의 노래가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러한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케이팝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구조적 상황을 아우르는 좀 더 입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대중음악이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고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이 책 <대중음악의 이해>는 한국 대중음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지적 여정의 길잡이 역할을 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내공 충만한 열세 명의 필자, 대중음악을 해부하다
한국 대중음악에 관해 이야기할 때 빠진다면 섭섭해 할 열세 명의 필자가 모였다. 음악 산업과 기술 분야, 월드 뮤직, 트로트, 발라드, 포크, 힙합, 댄스음악 등 각 필자가 자기 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하고 분석했던 대중음악의 안과 밖, 겉과 속, 과거와 현재를 명쾌하고도 쉽게 풀어 썼다. 역사적 흐름에 대한 객관적 요약과 주목할 만한 사건들에 대한 명쾌한 분석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 대중음악을 이루고 있는 낱낱의 요소와 더불어 지형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의 마지막에 독자가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볼 책과 음반.노래의 목록을 소개하고, 책 뒤에는 대중음악 관련해 참고할 만한 인터넷 사이트를 정리해 대중음악을 체계적으로 공부하려는 이들을 배려했다.

대중음악의 이해를 위하여
한국에서 대중음악은 오랫동안 지적인 관심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얼마 되지 않은 일이고 대중음악을 진지한 교양적 대상으로 간주하는 강좌가 개설된 대학도 많지 않다. 대중음악 연구는 다양한 학문적 패러다임이 교차하는 매우 복합적이며 폭넓은 영역이다. 그것은 음악이나 예술, 혹은 문화의 영역일 뿐 아니라 정치의 공간이며 경제의 대상이고, 기술과 지리, 젠더와 세대의 문제가 교차하는 사회적 영역이다. 대중음악에 대해 기본적으로 이해하려면 이런 다양한 논점을 복합적으로 사유해야 한다. 그 시작은 이 책을 읽는 것이다.

∥주요내용

이 책은 총론 '대중음악 공부하기'를 제외하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문제들을 다루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공간, 세대, 정치, 성 등 대중음악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논점들을 살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서 현재까지 한국 대중음악의 변화 과정에서 등장한 다양한 장르의 역사를 논한다.
제1부에서는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의 과정을 큰 틀에서 바라본다. 대중음악의 산업적 성격과 생산 시스템의 문제, 테크놀로지의 문제, 그리고 대중음악의 수용 과정에 대한 문제가 그것이다.
제2부는 대중음악을 중요한 사회적 논점들과의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다. 대중음악을 구성하는 공간과 장소의 지리적 맥락, 대중음악의 가장 중요한 변화와 갈등의 지점인 세대의 문제, 대중음악을 둘러싼 정치적 역학과 기능 그리고 대중음악과 성 정치학 등의 주제들이다.
제3부는 한국 대중음악의 주요 장르의 성격과 역사를 다룬다. 각기 다른 시대적 맥락에서 태어나 변화해오면서 현재 한국 대중음악의 주요 얼개를 구성하는 장르들인 트로트와 신민요, 스탠더드 팝과 발라드, 포크와 록, 소울과 힙합, 그리고 댄스음악에 대해 살폈다.

∥지은이

김창남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문화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 실천>, <대중문화의 이해>, <김민기>(편저), <노래 1, 2, 3, 4>(편저), <대중음악과 노래운동 그리고 청년문화>(편저) 등이 있다.

이정엽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문화 연구를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지은 책으로는 <얼트 문화와 록 음악 1>(공저), <얼트 문화와 록 음악 2>(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마이클 조던, 나이키, 지구 자본주의>가 있다.

김병오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서 음악사를 전공했다. 현재 라디오관악FM 이사, 전주대학교 객원교수이며 다큐멘터리와 애니메이션의 OST 작업 및 포크 음악을 토대로 전통음악과의 퓨전을 추구하는 창작 작업을 병행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소리의 문화사>가 있고, <한국의 첫 음반 1907>, <화평정대>, <바닥소리 1집> 등 국악 음반 제작에 엔지니어 및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이동연
중앙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메타비평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상지대학교 겸임교수,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2005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에 재직 중이다.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사)문화사회연구소 소장,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아이돌>(엮음), <문화자본의 시대>, <대안문화의 형성> 등이 있다.

신현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에서 음악산업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다. 1993년부터 대중음악에 관한 평론을 여러 매체에 기고했고, 2003년 이후에는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2006년 이후 학술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 의 편집위원을, 2008년 학술저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차우진
안산 한양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IT회사와 잡지사에서 근무했다. 2001년부터 음악웹진 ≪웨이브([weiv])≫에서 활동 중이고 ≪씨네21≫, ≪한겨레21≫, ≪나일론≫, ≪보그≫, ≪빅이슈≫ 등의 주간지, 월간지에 칼럼을 연재 중이다. <한국의 인디레이블>(공저), <아이돌>(공저), 그리고 <청춘의 사운드>를 썼다.

서정민갑
음악운동단체에서 일하며 음악 글쓰기를 시작했다. 2004년부터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광명음악밸리축제의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대중음악웹진 ≪가슴≫ 편집인과 대중음악웹진 ≪보다≫의 기획위원을 맡았고 2006년~2008년까지 ‘민중가요 기본콘텐츠 수집사업’을 기획/진행했다. 2009년~2010년에는 펜타포트 페스티벌 평가연구를 진행했으며 콘서트, <권해효와 몽당연필> 콘서트 등 공연 기획/연출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네이버, 다음, ≪보다≫, ≪재즈피플≫, ≪100Beat≫, ≪미디어 오늘≫ 등에 기고 중이다.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을 수료했다.

최지선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서울대학교 미학과 대학원(석사수료)에서 공부했다. 음악웹진 ≪웨이브([weiv])≫ 필진으로 대중음악 평론가로 활동 중이며, 여러 매체에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오프 더 레코드, 인디 록 파일>(공저),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및 <한국 팝의 고고학 1970>(공저), <한국의 영화음악: 1955~1980> 등이 있다.

이준희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역사를 쓰는 사람, 노래로 세상을 보는 사람. 한국 고전 대중음악 전공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관련 논저를 발표해왔다. <남인수 전집> 등 음반을 기획·제작했고, KBS <가요무대> 등 방송 프로그램에 관여하고 있다. 옛 가요 사랑 모임 ‘유정천리’의 총무이며 대중음악 및 대중문화 강의를 이끄는 시간강사이기도 하다.

이영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후 연극 평론가, 대중예술 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삼십 대 중반부터 10여 년간 한국종합예술학교 한국예술연구소에 몸담았으며, 김창남, 노동은 교수와 함께 1980년대 초반부터 대중가요 읽기에 앞장선 1세대 대중가요 평론가로 평가받는다.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한국대중가요사>, <세시봉, 서태지와 트로트를 부르다> 등을 펴냈다.

박애경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시조의 통속화 양상을 다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문헌과 현장을 오가며 한국 노래 문화 전반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요,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 고전시가의 근대적 변전과정 연구>, <현대사회와 구비문학>(공저), <근대의 노래와 아리랑>(공저) 등이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재영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석사과정), 그리고 뉴욕시립대학교(CUNY) 인류학과 대학원(박사과정)에서 수학했다. 힙합을 비롯해 대중음악과 문화를 주제로 매체 기고와 연구 작업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힙합 커넥션: 비트, 라임 그리고 문화>, <입 닥치고 춤이나 춰>(공저) 등이 있으며, 현재 성공회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장유정
현재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9년 인천문화재단 플랫폼문화비평상 음악 부문을 수상 후, 대중음악 연구와 평론을 병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오빠는 풍각쟁이야 - 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다방과 카페, 모던 보이의 아지트> 등이 있다. 음원 제작자이자 가수로 활동하면서 <근대가요 다시 부르기>(디지털 싱글 앨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창남(엮은이)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80년대부터 문화평론가로 활동하며 월간 ≪말≫, ≪사회평론≫ 등 여러 잡지의 기획위원과 편집위원을 지냈고,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장, (사)우리만화연대 이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와 문화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장, (사)더불어숲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나의 문화편력기』, 『신영복 평전』(공저), 『한국 대중문화사』 등의 책을 썼고,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 일상, 대중』, 『문화 이론 사전』 등의 집필과 번역에 참여했으며, 『김민기』, 『대중음악의 이해』, 『노래운동론』, 『대중음악과 노래운동, 그리고 청년문화』, 『아름다운 인생의 승부사들』, 『통하면 아프지 않다』, 『가는 길이 내 길이다』, 『상상력으로 미래를 연습하다』 등 여러 책을 엮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3
01 대중음악 공부하기 = 7
 1. 노래 그리고 대중음악 = 7
 2. 대중음악 담론의 주요 경향 = 12
 3. '대중음악의 이해'를 위하여 = 20
 4. 좀 더 진지하게, 좀 더 입체적으로 = 31
제1부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 
 02 대중음악과 산업 = 37
  1. 대중음악, 일상, 산업적 매개 = 37
  2. 대중음악의 문화경제학 = 39
  3. 음악 산업과 미디어 = 47
  4. 음악 산업의 소유 구조 = 53
 03 대중음악과 테크놀로지: 축음기에서 MP3까지 = 63
  1. 레코드의 전사(前史) = 65
  2. 축음기의 탄생 = 69
  3. SP에서 LP로, 레코드의 경쟁 = 74
  4. 테이프의 보활 = 77
  5. 디지털의 시대 = 84
 04 대중음악과 수용자 = 94
  1. 대중음악 수용자의 정의와 분류 = 94
  2. 대중음악 수용자의 변천과 생활방식 = 99
  3. 팬덤의 문화세계 = 107
  4. 대중음악 수용자의 미래 = 115
제2부 대중음악과 사회, 주요 논점들 
 05 대중음악과 지리, 공간, 장소 = 121
  1. 대중음악과 지리 = 121
  2. 음악의 지리적 분류 및 불평등 = 123
  3. 글로벌과 로컬, 그리고 리저널(regional) = 130
  4. 아시안 팝과 케이팝 = 138
  5. 대중음악의 지역적 장소감 = 147
 06 대중음악과 세대 = 152 
  1. 어떤 음악은 왜 쉽게 잊히지 않을까 = 152
  2. 1970년대: 청년문화의 위기와 포크 = 154
  3. 1980년대: 슈퍼스타 조용필, 그리고 도시적 삶 = 157
  4. 1990년대: '신인류'의 탄생과 취향의 공동체 = 162
  5. 2000년대: 미디어 영향력의 증대와 취향의 순환구조 = 168
 07 대중음악과 정치 = 177 
  1. 들어가며 = 177
  2. 대중음악, 정치를 표현하다 = 179
  3. 정치, 대중음악에 개입하다 = 196
 08 대중음악과 여성 = 204 
  1. 여성 음악, 젠더와 섹슈얼리티 = 204
  2. 음악 산업 속의 여성 = 206
  3. 여성 음악(인)의 전형들 = 211
  4. 여성 음악(인)의 돌파 = 223
  5. 복합적이고도 다층적인 = 232
제3부 대중음악의 주요 장르와 역사 
 09 한국 대중음악의 출발: 트로트와 신민요 = 239 
  1. 1930년대 초반 이전 한국 대중음악의 양식 = 240
  2. 트로트의 형성 = 242
  3. 트로트의 확장 = 246
  4. 트로트의 변질 = 252
  5. 신민요의 부침(浮沈) = 256
 10 한국식 팝의 형성과 변화: 스탠더드 팝과 발라드 = 262 
  1. 팝, 그 쉽고도 복잡한 명칭과 흐름 = 262
  2. 식민지 시대 재즈송은 재즈가 아니다 = 267
  3. 1960년대 스탠더드 팝과 미국식 대중가요의 주류 안착 = 272
  4. 섬세한 사랑노래, 1980년대 이후 발라드 = 278
  5. 팝의 세계전유방식 = 281
 11 한국 포크와 록의 연대기 = 285 
  1. '청년'이라는 기호와 포크, 록 = 285
  2. 한국 록, 한국 포크의 형성과정 = 287
  3. 언더그라운드의 암중모색 = 296
  4. 인디문화의 형성과 전개 = 303
  5. 포크와 록 그리고 '주류'와의 관계 맺기 = 308
 12 한국의 흑인음악: 소울, 그리고 힙합 = 312 
  1. 소울: 본격적인 '한국식'흑인음악 = 312
  2. 힙합/랩: 흑인음악 혹은 흑인음악문화 = 319
  3. 흑인음악 수용의 문화적 의미 = 327
 13 보는 음악, 몸의 음악: 댄스음악 = 335
  1. 댄스음악의 기원과 범주 = 335
  2. 서양 춤의 유입과 댄스음악의 징후 = 338
  3. 디스코의 수용과 댄스음악의 장르화 = 341
  4. 신세대 음악과 아이돌 그룹의 출현 = 345
  5. 아이돌 그룹의 저변화와 한류 = 348
  6. 아이돌 그룹의 세대교체와 난맥상 = 351
  7. 댄스음악의 위상과 전망 = 355
대중음악 관련 참고 사이트 = 362
찾아보기 = 3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