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4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786582 | |
005 | 20140212114718 | |
007 | ta | |
008 | 130220s2013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0140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3095982 | |
040 | ▼a 241018 ▼c 241018 ▼d 244002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01.802 ▼2 23 |
085 | ▼a 401.802 ▼2 DDCK | |
090 | ▼a 401.802 ▼b 2013 | |
100 | 1 | ▼a 진실로 |
245 | 1 0 | ▼a 번역수업 101 / ▼d 진실로, ▼e 곽은주 지음 |
246 | 3 | ▼a 번역수업 백일 |
246 | 3 | ▼a 번역수업 일영일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294 p. : ▼b 도표 ; ▼c 23 cm | |
500 | ▼a 단계별로 익히는 번역 입문서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곽은주,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01.802 2013 | 등록번호 15131899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 청구기호 영미 401.802 2013 | 등록번호 151350756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번역의 기본 원리를 체계적으로 익히고 다양한 실례들을 분석하고 연습함으로써 처음 마주치는 번역 문제들도 합리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와 영어 간의 번역 예를 주로 다루면서 언어학 기반의 설명과 함께 전문번역가의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번역의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다루어 번역학 전공자는 물론이고 현재 번역업에 종사중인 실무번역가들에게도 유용하도록 구성하였고, 심도 깊은 내용을 담되 가능한 한 쉬운 용어로 설명하여 대학원생은 물론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도 적합하도록 하였다.
외국어 실력도 부족하고 원서를 직접 구해 읽기도 어렵던 시절에는 번역서를 읽으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나오면 자신의 무지함을 탓하곤 했다. 하지만 이제는 상당한 외국어 실력을 갖춘 독자들이 많아지고 원서도 구하기 쉬워진 까닭에 어떤 번역서가 출간되면 책 내용 자체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번역 질에 대한 평가도 함께 뒤따르는 시대가 되었다. 번역은 마치 건강과도 같아서, 건강할 때는 무관심하다가 병에 걸리고 나면 그 소중함을 깨닫고 괴로워하듯이, 번역의 질이 좋을 때는 주목을 못 받지만 번역 질이 안 좋을 때는 그 중요성이 매우 크게 느껴진다. 또한 번역 작품은 음악 연주나 연기와도 같아서 동일한 악보, 동일한 대본이라도 연주자나 배우에 따라 전혀 다른 음악과 연기가 펼쳐지듯이 번역자에 따라 번역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Forster 2001:27). 책을 고를 때 저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듯이 번역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독자들이 늘어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좋은 번역 작품을 내려면, 즉 번역을‘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물론 훌륭한 연주자가 그러하듯이 기초부터 잘 배우고 많은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 누구로부터 배워야하는가? 사실 통번역은 문명 초기부터 시작되었고, 통역 강의와 학교는 이미 12세기부터 존재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실무적 차원에서 번역과 언어실습이 이루어져 ‘학문’이라기보다는 선배 번역가들의 노하우를 전수해주는 ‘기술’적 성격이 강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야 번역을 학문적 차원에서 연구하기 시작해 이제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대학들이 번역학(Translation Studies)을 독자적 연구 주제로 인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통번역 전문대학 및 대학원 설립이 증가하고, 학부에서도 번역 과목이 인기 과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번역학이 고유한 연구 대상으로 인정받기까지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데는 번역이 여러 학문, 즉 언어학, 문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등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는 사실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심지어 번역을 예술로 간주하는 입장에서는 번역을 과학적 지식과 관련된 작용으로 정의하는 것 자체를 반대하기도 한다. 물론 “문학 번역은 언어적 작업이 아니라 문학적 작업”이어서 “시를 번역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시인이 되어야 한다”는 에드몽 카리(Cary)의 지적(이승권 역 2002:13-14)이나, “언어를 번역한다고 해서 작품이 번역되는 것은 아니”라는 메리메(Merimee ibid. 14)의 주장은 옳다. 번역에는 언어 외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번역이 기본적으로 언어를 다루는 작업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따라서 언어가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알려주는 언어학적 지식은 번역자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더불어 깊은 통찰력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언어학만으로 번역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언어학적 기반에서 번역을 논의할 때 번역상의 중요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예술적 관점에서도 질 좋은 번역 작품을 얻어낼 수 있어 “과학에 근거한 예술”(ibid. 17)을 성취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도 번역에 유용한 현대 언어학 이론의 몇몇 분야를 탐색하면서, 번역자들이 자주 부딪히는 문제들과 그 해결책들을 함께 고민하고 논하기로 한다.
이 책의 특징
수년간 번역학을 강의하면서 여러 책을 접했으나 이 신생 학문에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학생과 실무 번역가들에게 가장 유용한 책을 꼽으라면 역시 모나 베이커(Mona Baker)의 <말 바꾸기>(원제: In Other Words)다. 실제 번역에서 마주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문제들을 실제 예를 통해 보여주고 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면서 번역 전략을 제시하는 <말 바꾸기>는 번역학 입문자들에게 필독서이다. 한국독자의 편의를 위해 2005년에 번역서를 출간하여 현재 여러 대학 및 대학원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전문번역가들이 추천하는 도서이기도 하다. <말 바꾸기>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풍부한 예문이다. 이론을 제시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해당 이론에 대한 원문과 번역문의 예를 충분히 싣고 있기 때문에 독자가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실무 번역에도 곧바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원문과 번역문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가 특정 언어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언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임을 알려주는 대목이기도 하지만, 한국어 예문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국 독자들은 스스로 영어와 한국어 예를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었다. 따라서 <말 바꾸기>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한국어와 영어 간의 번역 예를 주로 다루는, 이론과 실용을 겸한 새로운 교재의 필요성을 절감한 까닭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구성 및 예문
이 책은 모나 베이커의 <말 바꾸기>의 구성을 따라 단순한 차원에서 시작하여 점차 복잡한 차원으로 진행된다. ‘등가’ 개념(1.3 참고)을 중심으로 2장에서는 개별 단어에 대응하는 번역어를 찾는 ‘단어 차원의 등가’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연어와 관용어 등 ‘단어 이상 차원의 등가’를 논한다. 4장과 5장은 ‘문법 차원의 등가’를 정보 흐름에 초점을 맞춰 각각 단어와 문장 단위에서 살펴본다.
이 책이 단어, 연어와 관용어, 문법 차원으로 나눠 구성되기는 하지만 언어가 이러한 영역들로 ‘분리’되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문법이 텍스트의 뼈라면 연어는 신경에, 그리고 어휘는 살에 해당한다는 뉴마크(Newmark 1998:213)의 비유처럼 단어, 연어, 관용어, 문법은 함께 어우러져 전체 몸인 텍스트를 구성한다. 뼈와 신경과 살을 각각 분리하여 완벽하게 분석한다고 해서 인간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처럼 텍스트를 단어와 연어 및 관용어와 문법적 요소로 분리하여 분석한다고 해서 그 텍스트에 대해 정확히 안다고, 더군다나 다른 언어로 정확히 번역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가장 명료하고 간단해 보이는 단어 영역조차 정의가 분분하며, 또한 어떤 명사의 의미와 기능은 그 단어가 나타난 문장, 더 나아가 텍스트 전체를 고려해야 정확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개별 단어 차원이 아니라 텍스트 차원에서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번역 문제와 전략을 논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텍스트 차원에서 여러 요소를 한꺼번에 고려하려면 상당한 언어학적 지식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언어학 전공자가 아닌 번역학 입문자 혹은 번역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방법보다는 현실적인 방법, 즉 언어를 단어, 연어와 관용어, 문법의 차원으로 나누고, 비교적 파악하기 쉬운 작은 단위부터 시작하여 점차 확장해 나가는 상향식 구성을 따르기로 한다. 이는 모나 베이커도 지적했듯이 언어학과 번역학의 최근 동향인 하향식, 즉 텍스트와 맥락이라는 거시 차원에서 기호라는 미시 차원으로 진행하는 연구 방식과 정반대되는 방식이다. 상향식과 하향식 둘 다 장단점이 있고, “맥락을 떠나 단어와 구를 번역하는 것은 분명 무익한 행위지만”, 그렇다고 “개별 단어나 문법 구조 같은 하위차원의 요소들이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통제, 형성하는 방식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는” 학생에게 “텍스트 차원에서 행해지는 번역 결정을 제대로 평가”하라고 기대하는 것도 무익하기는 마찬가지다(Baker 1992:6). 따라서 독자들의 이해와 논의의 편의를 위해 이 책은 번역문제와 전략을 단어, 연어와 관용어, 문법 I, 문법 II의 4개 차원으로 나누고 단어 차원부터 시작하여 점차 높은 차원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이 책의 모든 예문은 영어와 한국어로 구성되어 있다. 번역 이론을 소개하는 외국 저서들이 대부분 영어와 프랑스어, 독일어 등의 언어를 비교하고 있어 영어와 한국어 간의 번역 작업에 관심 있는 연구자 및 번역자들은 예문을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이 책의 풍부한 영어와 한국어 예는 이론 자체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실무 번역에도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진실로(지은이)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빙교수 CR 번역연구소 비상임연구원 역서 말 바꾸기?·?번역학입문(공역) 돼지다운 돼지-미치광이 농부의 흥하는 농장(공역) 레미제라블 묵상(공역) 레프트 비하인드 시리즈 (공역) 외 논문 주제구조를 고려한 영한번역 전략 영한번역에서의 신체언어 번역 전략 관계절 구문의 정보구조와 정보흐름 재현 전략 문학작품에 사용된 다언어의 효과와 재현: 케이트 쇼팽(Kate Chopin) 작 The Awakening의 프랑스어 번역을 중심으로 학부 번역수업 유형별 수업 교재 사용 현황 분석 및 번역교재 모델 제안 (공저) 외
곽은주(지은이)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한국번역학회 연구이사 역임 역서 말 바꾸기·번역학입문(공역) 라우트리지 번역학 백과사전(공역) 논문 언어학 및 번역학 관련 논문 다수

목차
목차 머리말 = 5 차례 = 9 01 서론 = 11 1.1 이 책의 특징 = 13 1.2 구성 및 예문 = 14 1.3 번역의 등가 = 16 1.4 번역학의 주요 개념들 = 19 참고문헌 = 22 02 단어 차원의 등가번역 = 23 2.1 의미장과 어휘장 = 24 2.2 어휘들의 관계와 의미 = 29 2.3 비등가의 문제 유형과 해결 전략 = 47 참고문헌 = 76 03 단어 이상 차원의 등가번역 : 연어와 관용어 = 78 3.1 연어와 관용어의 구분 = 79 3.2 연어의 등가번역 = 81 3.3 관용어의 등가번역 = 100 참고문헌 = 120 04 문법 차원의 등가번역Ⅰ: 단어 = 124 4.1 수량 표현의 등가번역 = 128 4.2 대명사의 등가번역 = 168 참고문헌 = 200 05 문법 차원의 등가번역Ⅱ : 문장 = 203 5.1 정보의 흐름과 구정보/신정보 = 205 5.2 능동태/수동태 구문의 등가번역 = 211 5.3 무생물주어 구문의 등가번역 = 241 5.4 관계절 구문의 등가번역 = 265 참고문헌 = 290 찾아보기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