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문의 바다에 빠져라. 2 : 서양미술사 (5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진기
서명 / 저자사항
인문의 바다에 빠져라. 2, 서양미술사 / 최진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스마트북스,   2014  
형태사항
416 p. : 천연색삽화 ; 25 cm
총서사항
인문의 바다 시리즈 ;3
ISBN
9788996634294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8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86323
005 20140213094700
007 ta
008 140210s2014 ulka 001c kor
020 ▼a 9788996634294 ▼g 03100
035 ▼a (KERIS)BIB000013362866
040 ▼a 211036 ▼c 211036 ▼d 211036 ▼d 211009
082 0 4 ▼a 001.3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2z17 ▼c 2
100 1 ▼a 최진기 ▼0 AUTH(211009)87627
245 1 0 ▼a 인문의 바다에 빠져라. ▼n 2, ▼p 서양미술사 / ▼d 최진기 지음
260 ▼a 서울 : ▼b 스마트북스, ▼c 2014
300 ▼a 416 p. : ▼b 천연색삽화 ; ▼c 25 cm
440 0 0 ▼a 인문의 바다 시리즈 ; ▼v 3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117121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310486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51322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117121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310486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3 2012z17 2 등록번호 151322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마이스쿨'에서 인기리에 방송 중인 최진기의 「서양미술사」 강의가 드디어 책으로 출간되었다. 그는 우리가 ‘서양’을 간과하고 바로 ‘미술’로 들어가기 때문에 서양미술의 깊은 맛을 느끼지 못한다며, 그 시대의 정신, 역사와 철학, 신화와 문화 등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인문지식을 그림 이야기 속에 씨줄과 날줄로 정교하게 배치했다. 그래서 그와 함께 그림을 읽다 보면 저절로 그 시대와 인간을 이해하게 된다. 또 표준화되어 닳아버린 ‘나의 원초적 개성’을 발견하는 기쁨까지 덤으로 누릴 수 있다.

저자 최진기 씨는 복잡다단한 세상사를 단순하고 힘찬 메시지로 정리하는 데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러 겹의 베일에 싸이고 난마처럼 얽힌 역사와 철학도 그의 입을 통하면, 동서(東西)와 고금(古今)이 한 쾌에 꿰여 뇌리에 각인된다.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 사람들의 생각과 종교는 그들의 미술에 어떻게 표현되었을까?”, “르네상스와 바로크, 로코코는 어떤 시대정신의 발화물이었을까?”, “18, 19세기 세계를 휩쓴 혁명과 좌절의 역사는 왜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리얼리즘, 인상주의로 연결되었을까?” 등 인간과 회화의 역사가 흥미진진하게 한 타래 동아줄처럼 엮이면서 정리된다.

“그림 속으로 인문이 들어왔다!”
한 장의 그림 속에 역사, 철학, 신화, 문화까지……인문과 회화가 만나다
최진기 스타일의 ‘몰입형’ 서양미술사 입문서

1. 그림 속으로 인문이 들어왔다
“그림을 읽다 보면 저절로 그 시대와 인간을 이해하게 돼요”

「오마이스쿨」에서 인기리에 방송 중인 최진기의 「서양미술사」 강의가 드디어 책으로 출간되었다. 그는 우리가 ‘서양’을 간과하고 바로 ‘미술’로 들어가기 때문에 서양미술의 깊은 맛을 느끼지 못한다며, 그 시대의 정신, 역사와 철학, 신화와 문화 등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인문지식을 그림 이야기 속에 씨줄과 날줄로 정교하게 배치했다. 그래서 그와 함께 그림을 읽다 보면 저절로 그 시대와 인간을 이해하게 된다. 또 표준화되어 닳아버린 ‘나의 원초적 개성’을 발견하는 기쁨까지 덤으로 누릴 수 있다.

2. 회화의 역사, 인간의 역사
“역사와 철학, 그림이 한 쾌에 꿰어지네요”

이 책의 저자 최진기 씨는 복잡다단한 세상사를 단순하고 힘찬 메시지로 정리하는 데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러 겹의 베일에 싸이고 난마처럼 얽힌 역사와 철학도 그의 입을 통하면, 동서(東西)와 고금(古今)이 한 쾌에 꿰여 뇌리에 각인된다.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 사람들의 생각과 종교는 그들의 미술에 어떻게 표현되었을까?”, “르네상스와 바로크, 로코코는 어떤 시대정신의 발화물이었을까?”, “18, 19세기 세계를 휩쓴 혁명과 좌절의 역사는 왜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리얼리즘, 인상주의로 연결되었을까?” 등 인간과 회화의 역사가 흥미진진하게 한 타래 동아줄처럼 엮이면서 정리된다.

3. 숨은 재미, 명화들의 비교
“아, 이 그림이 그런 의미였어?”

“피카소의 그림 속에 이집트의 미술이 있고, 라오콘의 조각상에 그리스의 인문정신이 살아 있다!”, “인상주의 미술은 일본의 우키요에로부터 예술적 영감을 받았다.”
미술은 늘 일직선으로 뒤를 돌아보지 않고 발전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는 과거와 대화했고, 서양은 동양과 대화했고, 화가는 내면과 대화했다. 또 같은 주제를 그려도 젠틸레스키와 카라바조, 클림트의 유디트는 서로 확연히 달랐다.
미술은 그 시대정신의 표현이며, 근대 이후 화가에게 미술은 자기표현이다. 그리고 관람객인 우리에게 미술은 ‘나 자신을 찾아가는 여행’이다. ‘인문 속의 회화, 회화 속의 인문!’ 최진기와 함께하면 서양미술사도 쉽고 재미있고 명쾌하다.

독자들의 목소리

미술관에 가면 항상 멀뚱히 보고만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아이와 함께 그림 이야기를 나눌 자신이 생겼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 임동준

미술과 인문공부를 한꺼번에!
역사, 철학, 신화, 문화 등 인문지식도 함께 쑥쑥 느는 책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이민정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진기(지은이)

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대한민국 초일류 강사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를 나왔다. 철학부터 역사, 경제, 사회 전반을 아우르며 어느 한 곳에 매몰되지 않는 최진기만의 시각으로 명강연을 선보이며 대중에게 사랑받아 왔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오마이스쿨 대표 강사로 활동하면서 강의와 집필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베스트셀러 『한 권으로 정리하는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해 스테디셀러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인문의 바다에 빠져라(1, 2권)』『최진기의 뒤죽박죽 경제상식』 『최진기와 함께 읽는 21세기 자본』외 다수가 있다. 최진기의 경제학·인문학 강의는 오마이스쿨(www.ohmyschool.org)에서 볼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서양미술사에 첫발을 내딛는 당신에게 : 인문 속의 회화, 회화 속의 인문 = 5 
이 책을 두 배로 즐기는 법 - 명화에 대한 왕초보의 발칙한 상상 = 8
 나만의 컬렉션
 나의 초상화가
 나의 화가 손님
 나의 그림 여행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 소개 - 서양 미술사 편, 화가 편 = 16
1장 고대와 중세미술, 인문의 뿌리를 만나다
 01. 이집트 벽화 속 사람들은 왜 옆얼굴만 보여줄까? = 19
  이집트 벽화의 사람들은 왜 독특할까?
  「네바문의 정원」에서 오리는 왜 옆모습일까? 
  신 앞에 보여주는 내 삶의 프로필
  늪지의 새 사냥
  피카소와 이집트 미술이 만나다
  이집트인들은 왜 정형화된 패턴으로 그렸을까?
  덤앤덤 _ 고대 이집트 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신들 = 29
 02. 그리스 조각상에서 인문정신을 만나다 = 30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중세의 이콘과 뭐가 다른가?
  라오콘에 나타난 그리스적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그리스 미술, 이집트 미술과 뭐가 다를까?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왜 걸작인가?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은 왜 중간이 불룩할까?
  덤앤덤
   그리스 미술은 어디에서 영향을 받았을까? - 에게해의 3대 고대문명 = 40
   그리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초간단 역사 = 41
   헬레니즘-그리스 문화의 세계화 = 43
 03. 로마 건축,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 44
  콜로세움, 제국의 집단 정체성이 모이는 곳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물의 제국, 건축의 제국
  덤앤덤 _ 로마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초간단 역사 = 54
 04. 그리스·로마의 미술과 인문정신은 어떻게 변질되었나? = 56
  독재자, 하지만 인간에 주목하다
  공화정의 몰락, 미화가 발생하다
  로마제국의 재앙, 미화를 넘어 신화로 향하다
  중세시대로 가는 입구, 신성만이 남다
  덤앤덤 
   로마제국은 왜 서로마와 동로마로 나누어졌을까? = 62
   중세 천년을 버틴 힘, 봉건제와 기독교 = 63
 05. 중세의 이콘은 왜 표정이 없을까? = 66
  서양의 중세, 무엇이 다른가?
  중세 이콘, 그림 구경부터 합시다
  중세 이콘은 왜 표정이 없을까?
  스토리가 미(美)의 자리를 대신하다
  덤앤덤 
   이황의 초상화와 중세 이콘 = 72
   김천 직지사의「십우도」와 중세 이콘 = 72
   중세의 미술양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 73
 06. 14세기 사람들은 조토의 그림을 보고 왜 놀랐을까? = 78
  새로운 미술이 왜 등장했는가?
  「애도」는 중세 이콘과 무엇이 달라졌나?
  「유다의 키스」에는 여러 장면이 들어 있다고?
  덤앤덤 _ 십자군 전쟁은 르네상스의 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 84
2장 르네상스 미술, 인문정신을 열다
 07. 르네상스 미술은 왜 14세기에 일어났을까? = 86
  천년의 중세적 질서는 왜 무너지기 시작했나?
  르네상스는 왜 겨우 인구 5만명의 도시에서 발생했나?
  메디치 가문의 위대한 로렌초
  그림의 주제와 화법이 왜 다양해졌을까?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는 왜 과학자였을까?
  르네상스 그림은 왜 호화롭고 생생할까?
 08. 15세기 사람들은 마사초의 그림에 왜 깜짝 놀랐을까? = 92
  마사초의「성모자상」, 무엇이 다르지?
  「성삼위일체」는 조화와 균형미를 어떻게 표현했을까?
  「성삼위일체」는 왜 6m 앞에서 봐야 하지?
  나의 오늘은 너희들의 내일이 되리라
 09. 보티첼리의 그림은 왜 아름답다고 느껴질까? = 98
  '동방박사의 경배'라고? 메디치 가에 경배를!
  「비너스의 탄생」은 무엇이 다른가?
  보티첼리의「봄」은 무엇이 독특한가?
  우리는 왜 마사초는 모르지만 보티첼리는 알까?
  덤앤덤 _ 만테냐는 왜 예수의 몸을 줄여 그렸을까? = 109
 10. 다빈치의 모나리자는 왜 걸작인가? = 110
  너무나 르네상스적인 인물
  「최후의 만찬」은 왜 걸작이라고 하는가?
  다빈치는 왜「모나리자」에 14년이나 매달렸을까?
  프랑스와 영국의「암굴의 성모」는 무엇이 다른가?
  덤앤덤 _ 2차원의 화면에 어떻게 깊이를 넣을까? = 122
 11. 우리는 미켈란젤로의 그림에서 왜 숭고를 느끼는가? = 124
  완벽을 지향한 고독하고 괴팍한 화가
  열정과 숭고함이 충만한 세계-천지창조
  거대한 스케일의 인간 군상들-최후의 심판
  「피에타」의 예수는 몸이 왜 저렇게 길까?
  「다비드」의 손은 왜 저렇게 클까?
 12. 라파엘로는 왜 르네상스의 전형이라고 하나? = 134
  우아한 삶, 우아한 아름다움
  「아테네 학당」은 왜 걸작인가?
  라파엘로의「성모자상」은 왜 이렇게 우아할까?
3장 북유럽 르네상스, 일상에서 인문을 발견하다
 13. 얀 반 에이크, 극사실주의로 일상을 담아내다 = 144
  북유럽의 르네상스, 무엇이 달랐을까?
  얀 반 에이크는 왜 '북유럽 회화의 아버지'인가?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은 왜 유명할까?
  「롤랭 수상의 성모」는 무엇이 특별한가?
 14. 15세기의 보스는 왜 무의식의 발견자로 불리는가? = 152
  기괴함의 거장
  공상과 환상이 뒤섞인 세계
 15. 뒤러의 자화상, 무엇이 독특한가? = 158
  뒤러는 왜 '자화상의 아버지'라고 불릴까?
  뒤러의 판화는 왜 유럽을 들썩이게 했을까?
 16. 일상과 자연, 독특한 회화 세계, 피테르 브뢰헬 = 162
  북유럽 회화는 무엇이 달라졌나?
  브뢰헬의「바벨탑」은 무엇이 특이한가?
  농가의 일상을 그린 따뜻한 민속화
  최고의 겨울풍경-눈 속의 사냥꾼
4장 바로크, 로코코 미술, 드라마를 연출하다
 17. 뒤틀린 마니에리스모 양식은 뭐가 아름답다는 거지? = 172
  마니에리스모 양식은 왜 나타났을까?
  십자가에서 내리심
  「목이 긴 성모」는 왜 뒤틀려 있을까?
 18. 무대 위의 극적인 연출자, 카라바조 = 176
  인간성의 극단에 서다
  「의심하는 토마」는 왜 명작일까?
  병든 바쿠스, 신에서 인간으로 내려오다
  엠마오에서의 저녁식사
  기괴한 자화상-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19. 빛나는 색채와 에너지, 루벤스를 만나다 = 186
  루벤스의 그림은 왜 전 유럽에서 인기가 있었을까?
  십자가에서 내려지는 예수
  강렬한 관능미-삼손과 데릴라
 20. 렘브란트, 자화상으로 자서전을 쓰다 = 192
  니콜라스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
  「야경꾼」, 집단 초상화가 왜 역사화처럼 보일까?
  돌아온 탕자
  자화상으로 자서전을 쓰다
 21. 벨라스케스는 왜 '화가 중의 화가'라고 할까? = 198
  교황 이노센트 10세-냉정한 화가의 눈
  화가들은 왜 벨라스케스의「시녀들」에 열광하는가?
  거울을 보는 비너스-매혹적인 뒤태와 모호한 시선
 22. 젠틸레스키의 유디트는 왜 분노하는가? = 204
 23. 베르메르, 한번 보면 잊혀지지 않는 이미지 = 208
  편지를 읽는 푸른 옷의 여인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우유를 따르는 여인-고요하고 엄숙한 일상
 24. 로스차일드 가는 왜 프라고나르의 그림을 사들였을까? = 214
  로코코, 밝고 화려한 장식성
  키테라 섬의 순례-신화적 공간으로 미화하다
  그네-인생의 찰나를 즐기다
 25. 영국 화가 윌리엄 호가스는 왜 자신을 드라마 작가라고 했을까? = 218
  시대를 대표하는 유능한 풍자화가
  「유행 결혼」연작은 왜 인기가 있었을까?
5장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미술, 인문을 던지다
 26. 다비드는 왜 이미지 정치의 달인으로 불렸을까? = 224
  권력지향적인 삶이 그림에 미친 영향은?
  나폴레옹을 왜 건장하게 그렸을까?
  신고전주의는 왜 과장된 그림을 그렸을까?
  「마라의 죽음」은 왜 우리를 착잡하게 만드는가?
  1799년, 프랑스인들은「사비니 여인의 중재」에 왜 열광했나?
 27. 이상적 아름다움을 찾던 앵그르, 왜 거북할까? = 232
  미(美)는 선(善)이자 진리이다
  오달리스크의 등은 왜 저렇게 길까?
  앵그르는 왜 열쇠구멍 속으로 본 터키탕을 그렸을까?
 28. 고야는 왜 근대미술의 창시자라고 하나? = 236
  흘러간 신고전주의 작품을 하나 보죠
  낭만주의는 왜 등장했을까?
  마지막 궁정화가이자 최초의 근대화가
  1808년 5월 3일-현실의 좌절을 다루다
  옷 벗은 마야-근대의 당당한 눈빛
  자식을 삼키는 사투르누스-표현주의·초현실주의로 향하다
 29. 제리코는 그로테스크한 주제를 어떻게 다루었나? = 244
 30. 터너의 풍경화는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 246
  위대한 풍경화가 - 자연이 그림의 전면에 등장하다
  노예선 - 장대한 자연과 소용돌이치는 색채
  눈보라 - 눈보라와 색채가 휘몰아친다
 31. 들라크루아의 그림에서 색은 어떻게 움직이나? = 252
  색채의 미술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6장 리얼리즘 미술을 권하다
 32. 쿠르베는 왜 최초의 리얼리스트라고 하나? = 256
  안녕하세요? 쿠르베 씨
  화가의 작업실
  「오르낭의 매장」은 왜 비난을 받았을까?
  체질하는 사람들, 돌 깨는 사람들
 33. 도미에는 왜 근대 생활의 화가라고 할까? = 264
  권력의 폭력과 부르주아의 속물적 근성을 꼬집다
  삼등열차 안의 리얼한 풍경
 34. 밀레의 그림은 왜 불온작품으로 찍혔을까? = 268 
  살롱은「씨 뿌리는 사람」을 왜 꺼렸을까?
  「이삭 줍는 사람들」이 목가적인 풍경화로 보이나요?
  우리는 왜「만종」에서 영원성과 경건함을 느끼는가?
 35. 일리야 레핀은 왜 러시아 최고의 화가라고 할까? = 274
  인텔리겐치아와 이동파
  볼가 강의 배 끄는 인부들
  쿠르스크 현의 십자가 행렬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
7장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에 빠지다
 36. 인상주의는 왜 지금도 사랑받을까? = 284
 37. 마네는 왜 '근대성의 발명자'라고 하나? = 288
  파리의 댄디, 변화의 포문을 열다
  「풀밭 위의 점심」, 무엇이 외설인가?
  「올랭피아」는 회화의 전통과 질서를 어떻게 파괴했나?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38. 모네, 이 얼마나 놀라운 눈인가! = 297
  인상: 해돋이
  모네는 인상주의 그 자체였다
  「양산을 든 여인」의 머리카락과 하늘
  새로운 시도, 연작 시리즈
  수련, 인상주의의 모든 것
 39. 르느와르는 왜 행복한 그림만 그렸을까? = 303
  행복하고 따뜻한 그림에 대한 열정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
  선상 파티의 점심
 40. 우리는 왜 드가의 구도에 감탄하는가? = 308
  드가가 근대인의 다양한 생활을 담을 수 있었던 까닭
  구도의 미학을 찾아서
  다림질하는 여인들
  압생트를 마시는 사람
  덤앤덤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에 예술적 영감을 준 일본의 우키요에 = 314
   피사로의「서리 내린 밭에 불을 지피는 젊은 농부」 = 317
 41. 쇠라는 몽환적인 공기를 어떻게 만들었나? = 319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신인상주의의 독특한 걸작
 42. 우리는 왜 반 고흐에게 매료되는가? = 322
  영혼의 화가, 슬픔은 작은 시작이다
  「탕기 영감의 초상」이 보여주는 것은?
  별이 빛나는 밤에-별은 알 수 없는 매혹으로 빛나고
  아를의 반 고흐의 방과 해바라기
 43. 고갱은 왜 원시를 꿈꾸었나? = 328
  색채야말로 생명이다
 44. 세잔은 왜 현대회화를 열었다고 하는가? = 332
  서양미술사의 혁명적 변화를 예고하다
  새로운 미학, 미(美)의 본질을 바꾸다
  프로방스의 산-자연의 원형을 찾아가다
  목욕하는 사람들-현대 추상화로 다리를 놓다
8장 현대미술에서 다시 인문을 만나다
 45. 클림트의 황금빛 그림은 왜 인기가 있을까? = 340
  발가벗긴 황금빛 에로티시즘을 만나다
  부르크 극장의 관객석에 사람들이 몰린 까닭은?
  「철학」,「의학」,「법학」은 빈 대학에서 왜 거부당했을까?
  키스-빛나는 황금빛 에로티시즘
  황홀경에 빠진 다나에
  온 세계에 보내는 입맞춤-베토벤 프리즈
  생명의 나무-영원을 약속하는 황금빛 나무
 46. 모딜리아니의 사람들은 왜 눈동자가 없을까? = 350
  몽마르트의 보헤미안, 공허를 남기고 사라지다
  왜 눈동자가 없을까?
  간결하고 절제된, 새로운 미
 47. 뭉크는 현대인의 흔들리는 실존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 357
  절규-나와 자연을 뚫고 나오는 소리
  뭉크의「절규」는 왜 현대를 여는 작품인가?
  뭉크는 죽음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48. 마티스는 왜 부인을 야수처럼 그렸을까? = 366
  마티스의 배 속에는 태양이 들어 있다
  마티스 부인의 초상-나는 그림을 그렸을 뿐이다
  붉은 방|춤-단순한 색과 형태, 힘찬 율동감
  마티스와 피카소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49. 피카소는 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인가? = 374
  피카소의 그림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아비뇽의 처녀들」은 무엇이 특별한가?
  「게르니카」는 왜 걸작인가?
  들라크루아의「키오스 섬의 학살」과 비교하기
  그림은 약 100년 동안 얼마나 달라졌을까?
 50. 프리다 칼로의 그림은 왜 우리를 눈물짓게 하는가? = 386
  혁명
  운명
  승화
 51. 다양한 현대미술을 만나보죠 = 396
  뒤샹
  몬드리안
  잭슨 폴락
  르네 마그리트
  로이 리히텐슈타인
Hummanitas&Arts = 403
찾아보기 = 414

관련분야 신착자료

강태규 (2023)
Miller, Peter 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