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서양미술사에 첫발을 내딛는 당신에게 : 인문 속의 회화, 회화 속의 인문 = 5
이 책을 두 배로 즐기는 법 - 명화에 대한 왕초보의 발칙한 상상 = 8
나만의 컬렉션
나의 초상화가
나의 화가 손님
나의 그림 여행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 소개 - 서양 미술사 편, 화가 편 = 16
1장 고대와 중세미술, 인문의 뿌리를 만나다
01. 이집트 벽화 속 사람들은 왜 옆얼굴만 보여줄까? = 19
이집트 벽화의 사람들은 왜 독특할까?
「네바문의 정원」에서 오리는 왜 옆모습일까?
신 앞에 보여주는 내 삶의 프로필
늪지의 새 사냥
피카소와 이집트 미술이 만나다
이집트인들은 왜 정형화된 패턴으로 그렸을까?
덤앤덤 _ 고대 이집트 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신들 = 29
02. 그리스 조각상에서 인문정신을 만나다 = 30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중세의 이콘과 뭐가 다른가?
라오콘에 나타난 그리스적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그리스 미술, 이집트 미술과 뭐가 다를까?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왜 걸작인가?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은 왜 중간이 불룩할까?
덤앤덤
그리스 미술은 어디에서 영향을 받았을까? - 에게해의 3대 고대문명 = 40
그리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초간단 역사 = 41
헬레니즘-그리스 문화의 세계화 = 43
03. 로마 건축,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 44
콜로세움, 제국의 집단 정체성이 모이는 곳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물의 제국, 건축의 제국
덤앤덤 _ 로마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초간단 역사 = 54
04. 그리스·로마의 미술과 인문정신은 어떻게 변질되었나? = 56
독재자, 하지만 인간에 주목하다
공화정의 몰락, 미화가 발생하다
로마제국의 재앙, 미화를 넘어 신화로 향하다
중세시대로 가는 입구, 신성만이 남다
덤앤덤
로마제국은 왜 서로마와 동로마로 나누어졌을까? = 62
중세 천년을 버틴 힘, 봉건제와 기독교 = 63
05. 중세의 이콘은 왜 표정이 없을까? = 66
서양의 중세, 무엇이 다른가?
중세 이콘, 그림 구경부터 합시다
중세 이콘은 왜 표정이 없을까?
스토리가 미(美)의 자리를 대신하다
덤앤덤
이황의 초상화와 중세 이콘 = 72
김천 직지사의「십우도」와 중세 이콘 = 72
중세의 미술양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 73
06. 14세기 사람들은 조토의 그림을 보고 왜 놀랐을까? = 78
새로운 미술이 왜 등장했는가?
「애도」는 중세 이콘과 무엇이 달라졌나?
「유다의 키스」에는 여러 장면이 들어 있다고?
덤앤덤 _ 십자군 전쟁은 르네상스의 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 84
2장 르네상스 미술, 인문정신을 열다
07. 르네상스 미술은 왜 14세기에 일어났을까? = 86
천년의 중세적 질서는 왜 무너지기 시작했나?
르네상스는 왜 겨우 인구 5만명의 도시에서 발생했나?
메디치 가문의 위대한 로렌초
그림의 주제와 화법이 왜 다양해졌을까?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는 왜 과학자였을까?
르네상스 그림은 왜 호화롭고 생생할까?
08. 15세기 사람들은 마사초의 그림에 왜 깜짝 놀랐을까? = 92
마사초의「성모자상」, 무엇이 다르지?
「성삼위일체」는 조화와 균형미를 어떻게 표현했을까?
「성삼위일체」는 왜 6m 앞에서 봐야 하지?
나의 오늘은 너희들의 내일이 되리라
09. 보티첼리의 그림은 왜 아름답다고 느껴질까? = 98
'동방박사의 경배'라고? 메디치 가에 경배를!
「비너스의 탄생」은 무엇이 다른가?
보티첼리의「봄」은 무엇이 독특한가?
우리는 왜 마사초는 모르지만 보티첼리는 알까?
덤앤덤 _ 만테냐는 왜 예수의 몸을 줄여 그렸을까? = 109
10. 다빈치의 모나리자는 왜 걸작인가? = 110
너무나 르네상스적인 인물
「최후의 만찬」은 왜 걸작이라고 하는가?
다빈치는 왜「모나리자」에 14년이나 매달렸을까?
프랑스와 영국의「암굴의 성모」는 무엇이 다른가?
덤앤덤 _ 2차원의 화면에 어떻게 깊이를 넣을까? = 122
11. 우리는 미켈란젤로의 그림에서 왜 숭고를 느끼는가? = 124
완벽을 지향한 고독하고 괴팍한 화가
열정과 숭고함이 충만한 세계-천지창조
거대한 스케일의 인간 군상들-최후의 심판
「피에타」의 예수는 몸이 왜 저렇게 길까?
「다비드」의 손은 왜 저렇게 클까?
12. 라파엘로는 왜 르네상스의 전형이라고 하나? = 134
우아한 삶, 우아한 아름다움
「아테네 학당」은 왜 걸작인가?
라파엘로의「성모자상」은 왜 이렇게 우아할까?
3장 북유럽 르네상스, 일상에서 인문을 발견하다
13. 얀 반 에이크, 극사실주의로 일상을 담아내다 = 144
북유럽의 르네상스, 무엇이 달랐을까?
얀 반 에이크는 왜 '북유럽 회화의 아버지'인가?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은 왜 유명할까?
「롤랭 수상의 성모」는 무엇이 특별한가?
14. 15세기의 보스는 왜 무의식의 발견자로 불리는가? = 152
기괴함의 거장
공상과 환상이 뒤섞인 세계
15. 뒤러의 자화상, 무엇이 독특한가? = 158
뒤러는 왜 '자화상의 아버지'라고 불릴까?
뒤러의 판화는 왜 유럽을 들썩이게 했을까?
16. 일상과 자연, 독특한 회화 세계, 피테르 브뢰헬 = 162
북유럽 회화는 무엇이 달라졌나?
브뢰헬의「바벨탑」은 무엇이 특이한가?
농가의 일상을 그린 따뜻한 민속화
최고의 겨울풍경-눈 속의 사냥꾼
4장 바로크, 로코코 미술, 드라마를 연출하다
17. 뒤틀린 마니에리스모 양식은 뭐가 아름답다는 거지? = 172
마니에리스모 양식은 왜 나타났을까?
십자가에서 내리심
「목이 긴 성모」는 왜 뒤틀려 있을까?
18. 무대 위의 극적인 연출자, 카라바조 = 176
인간성의 극단에 서다
「의심하는 토마」는 왜 명작일까?
병든 바쿠스, 신에서 인간으로 내려오다
엠마오에서의 저녁식사
기괴한 자화상-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19. 빛나는 색채와 에너지, 루벤스를 만나다 = 186
루벤스의 그림은 왜 전 유럽에서 인기가 있었을까?
십자가에서 내려지는 예수
강렬한 관능미-삼손과 데릴라
20. 렘브란트, 자화상으로 자서전을 쓰다 = 192
니콜라스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
「야경꾼」, 집단 초상화가 왜 역사화처럼 보일까?
돌아온 탕자
자화상으로 자서전을 쓰다
21. 벨라스케스는 왜 '화가 중의 화가'라고 할까? = 198
교황 이노센트 10세-냉정한 화가의 눈
화가들은 왜 벨라스케스의「시녀들」에 열광하는가?
거울을 보는 비너스-매혹적인 뒤태와 모호한 시선
22. 젠틸레스키의 유디트는 왜 분노하는가? = 204
23. 베르메르, 한번 보면 잊혀지지 않는 이미지 = 208
편지를 읽는 푸른 옷의 여인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우유를 따르는 여인-고요하고 엄숙한 일상
24. 로스차일드 가는 왜 프라고나르의 그림을 사들였을까? = 214
로코코, 밝고 화려한 장식성
키테라 섬의 순례-신화적 공간으로 미화하다
그네-인생의 찰나를 즐기다
25. 영국 화가 윌리엄 호가스는 왜 자신을 드라마 작가라고 했을까? = 218
시대를 대표하는 유능한 풍자화가
「유행 결혼」연작은 왜 인기가 있었을까?
5장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미술, 인문을 던지다
26. 다비드는 왜 이미지 정치의 달인으로 불렸을까? = 224
권력지향적인 삶이 그림에 미친 영향은?
나폴레옹을 왜 건장하게 그렸을까?
신고전주의는 왜 과장된 그림을 그렸을까?
「마라의 죽음」은 왜 우리를 착잡하게 만드는가?
1799년, 프랑스인들은「사비니 여인의 중재」에 왜 열광했나?
27. 이상적 아름다움을 찾던 앵그르, 왜 거북할까? = 232
미(美)는 선(善)이자 진리이다
오달리스크의 등은 왜 저렇게 길까?
앵그르는 왜 열쇠구멍 속으로 본 터키탕을 그렸을까?
28. 고야는 왜 근대미술의 창시자라고 하나? = 236
흘러간 신고전주의 작품을 하나 보죠
낭만주의는 왜 등장했을까?
마지막 궁정화가이자 최초의 근대화가
1808년 5월 3일-현실의 좌절을 다루다
옷 벗은 마야-근대의 당당한 눈빛
자식을 삼키는 사투르누스-표현주의·초현실주의로 향하다
29. 제리코는 그로테스크한 주제를 어떻게 다루었나? = 244
30. 터너의 풍경화는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 246
위대한 풍경화가 - 자연이 그림의 전면에 등장하다
노예선 - 장대한 자연과 소용돌이치는 색채
눈보라 - 눈보라와 색채가 휘몰아친다
31. 들라크루아의 그림에서 색은 어떻게 움직이나? = 252
색채의 미술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6장 리얼리즘 미술을 권하다
32. 쿠르베는 왜 최초의 리얼리스트라고 하나? = 256
안녕하세요? 쿠르베 씨
화가의 작업실
「오르낭의 매장」은 왜 비난을 받았을까?
체질하는 사람들, 돌 깨는 사람들
33. 도미에는 왜 근대 생활의 화가라고 할까? = 264
권력의 폭력과 부르주아의 속물적 근성을 꼬집다
삼등열차 안의 리얼한 풍경
34. 밀레의 그림은 왜 불온작품으로 찍혔을까? = 268
살롱은「씨 뿌리는 사람」을 왜 꺼렸을까?
「이삭 줍는 사람들」이 목가적인 풍경화로 보이나요?
우리는 왜「만종」에서 영원성과 경건함을 느끼는가?
35. 일리야 레핀은 왜 러시아 최고의 화가라고 할까? = 274
인텔리겐치아와 이동파
볼가 강의 배 끄는 인부들
쿠르스크 현의 십자가 행렬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
7장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에 빠지다
36. 인상주의는 왜 지금도 사랑받을까? = 284
37. 마네는 왜 '근대성의 발명자'라고 하나? = 288
파리의 댄디, 변화의 포문을 열다
「풀밭 위의 점심」, 무엇이 외설인가?
「올랭피아」는 회화의 전통과 질서를 어떻게 파괴했나?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38. 모네, 이 얼마나 놀라운 눈인가! = 297
인상: 해돋이
모네는 인상주의 그 자체였다
「양산을 든 여인」의 머리카락과 하늘
새로운 시도, 연작 시리즈
수련, 인상주의의 모든 것
39. 르느와르는 왜 행복한 그림만 그렸을까? = 303
행복하고 따뜻한 그림에 대한 열정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
선상 파티의 점심
40. 우리는 왜 드가의 구도에 감탄하는가? = 308
드가가 근대인의 다양한 생활을 담을 수 있었던 까닭
구도의 미학을 찾아서
다림질하는 여인들
압생트를 마시는 사람
덤앤덤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에 예술적 영감을 준 일본의 우키요에 = 314
피사로의「서리 내린 밭에 불을 지피는 젊은 농부」 = 317
41. 쇠라는 몽환적인 공기를 어떻게 만들었나? = 319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신인상주의의 독특한 걸작
42. 우리는 왜 반 고흐에게 매료되는가? = 322
영혼의 화가, 슬픔은 작은 시작이다
「탕기 영감의 초상」이 보여주는 것은?
별이 빛나는 밤에-별은 알 수 없는 매혹으로 빛나고
아를의 반 고흐의 방과 해바라기
43. 고갱은 왜 원시를 꿈꾸었나? = 328
색채야말로 생명이다
44. 세잔은 왜 현대회화를 열었다고 하는가? = 332
서양미술사의 혁명적 변화를 예고하다
새로운 미학, 미(美)의 본질을 바꾸다
프로방스의 산-자연의 원형을 찾아가다
목욕하는 사람들-현대 추상화로 다리를 놓다
8장 현대미술에서 다시 인문을 만나다
45. 클림트의 황금빛 그림은 왜 인기가 있을까? = 340
발가벗긴 황금빛 에로티시즘을 만나다
부르크 극장의 관객석에 사람들이 몰린 까닭은?
「철학」,「의학」,「법학」은 빈 대학에서 왜 거부당했을까?
키스-빛나는 황금빛 에로티시즘
황홀경에 빠진 다나에
온 세계에 보내는 입맞춤-베토벤 프리즈
생명의 나무-영원을 약속하는 황금빛 나무
46. 모딜리아니의 사람들은 왜 눈동자가 없을까? = 350
몽마르트의 보헤미안, 공허를 남기고 사라지다
왜 눈동자가 없을까?
간결하고 절제된, 새로운 미
47. 뭉크는 현대인의 흔들리는 실존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 357
절규-나와 자연을 뚫고 나오는 소리
뭉크의「절규」는 왜 현대를 여는 작품인가?
뭉크는 죽음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48. 마티스는 왜 부인을 야수처럼 그렸을까? = 366
마티스의 배 속에는 태양이 들어 있다
마티스 부인의 초상-나는 그림을 그렸을 뿐이다
붉은 방|춤-단순한 색과 형태, 힘찬 율동감
마티스와 피카소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49. 피카소는 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인가? = 374
피카소의 그림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아비뇽의 처녀들」은 무엇이 특별한가?
「게르니카」는 왜 걸작인가?
들라크루아의「키오스 섬의 학살」과 비교하기
그림은 약 100년 동안 얼마나 달라졌을까?
50. 프리다 칼로의 그림은 왜 우리를 눈물짓게 하는가? = 386
혁명
운명
승화
51. 다양한 현대미술을 만나보죠 = 396
뒤샹
몬드리안
잭슨 폴락
르네 마그리트
로이 리히텐슈타인
Hummanitas&Arts = 403
찾아보기 =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