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8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786322 | |
005 | 20140212141656 | |
007 | ta | |
008 | 140210s2004 ulka b 000c kor | |
020 | ▼a 8984992674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09651436 | |
040 | ▼a 249002 ▼c 249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70.1/95 ▼2 23 |
085 | ▼a 070.195 ▼2 DDCK | |
090 | ▼a 070.195 ▼b 2004z1 | |
100 | 1 | ▼a Barkin, Steve Michael, ▼d 1945- |
245 | 1 0 | ▼a 미국 텔레비전 뉴스 : ▼b 미국방송의 사회문화사 / ▼d 스티브 M. 바킨 지음 ; ▼e 김응숙 옮김 |
246 | 1 9 | ▼t American television news : ▼b the media marketplace and the public interest.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04 | |
300 | ▼a xvii, 299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508 |
440 | 0 0 | ▼a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총서 ; ▼v 31 |
504 | ▼a 참고문헌 : p. 292-299 | |
536 | ▼a 이 책은 방송위원회가 조성 및 관리 운영하는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발간했음 | |
650 | 0 | ▼a Television broadcasting of news ▼z United States |
700 | 1 | ▼a 김응숙, ▼e 역 ▼0 AUTH(211009)22241 |
900 | 1 0 | ▼a 바킨, 스티브 M.,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195 2004z1 | 등록번호 1117121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국 방송의 사회 문화사라는 맥락에서 지난 25년간의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오늘날 미국 텔레비전 뉴스에 대한 개관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지난 20년간의 변화 자체와 이러한 변화가 시청 공중의 상당수 성원들 사이에, 그리고 산업에 불러일으킨 관심사를 들려준다. 마지막 장에는 텔레비전의 사회적 책임에 관해, 그리고 공익에 봉사하려는 전자 저널리스트들의 노력이 의미 있고 오래 지속될 것인지 혹은 열의 없이 그저 자기 잇속만 차리는 것인지에 관한 논쟁을 펼친다.
이 책은 미국 방송의 사회 문화사라는 맥락에서 지난 25년간의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제1장 ‘새 시대의 전자 저널리즘’은 오늘날 미국 텔레비전 뉴스에 대한 개관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지난 20년간의 변화 자체와 이러한 변화가 시청 공중의 상당수 성원들 사이에, 그리고 산업에 불러일으킨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다.
제2장 ‘초기: 상업주의 윤리’는 미국 방송에 대한 규제 틀과 재정구조가 만들어진 과정을 검토한다.
제3장인 ‘네트워크 지배의 시대’에서는 텔레비전 뉴스가 미국 공공 생활의 중심에 도달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여기서는 네트워크 뉴스가 당시 수행한 공공 서비스에 대한 기대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인다.
제4장 ‘<60분>과 뉴스 매거진’은 1968년에 첫 방송을 탄 획기적인 CBS 프로그램의 경제적 문화적 영향을 검토한다.
제5장 ‘타블로이드 텔레비전과 토크의 세계’는 공중과 저널리즘 종사자에게 윤리적이고 전문적인 질문을 제시하기 위해 뉴스 및 뉴스 관련 편성내용을 검토한다.
제6장 ‘경성 뉴스-연성 뉴스’는 특별히 네트워크 뉴스의 논조와 소재가 변화하기 시작했을 때인 1980년대에 CBS 뉴스국의 변화를 살펴본다.
제8장 ‘CNN의 영향’은 CNN의 역사를 추적하고 24시간 뉴스 채널의 효과를 평가한다.
제9장 ‘유명인사에 대한 뉴스’는 유명인사, 오락, 그리고 부자들의 생활로 시청자들을 끊임없이 매혹시키는 문화적 현상을 검토한다.
제10장과 11장은 새로운 텔레비전 환경에서 지역 및 전국 뉴스의 전망을 요약하고 있다. 제12장은 텔레비전의 사회적 책임에 관해, 그리고 공익에 봉사하려는 전자 저널리스트들의 노력이 의미 있고 오래 지속될 것인지 혹은 열의 없이 그저 자기 잇속만 차리는 것인지에 관한 논쟁으로 되돌아간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스티브 M. 바킨(지은이)
콜롬비아 대학교 저널리즘 스쿨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매릴랜드 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는데, ‘미디어, 자아, 그리고 사회’라는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다. 바킨은 '매스 커뮤니케이션 리뷰 연감(Mass Communication Review Yearbook)'(Sage, 1985/1986)의 공동 편집자이며 '캠페인 아젠다의 형성(The Formation of Campaign Agendas)'(Earlbaum, 1991)의 공저자이다. 이 책은 미국과 영국의 정당 정치와 캠페인 뉴스 보도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그는 ABC 가맹사로 애틀랜타에 소재한 WSB에서 기자와 편집자로 근무했으며, 오하이오의 전국 공영 라디오에서는 진행자 겸 프로듀서로, 그리고 '워싱턴 스타(Washington Star)', '볼티모어 선(Baltimore Sun)',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Philadelphia Inquirer)'의 편집자로 일한 경험이 있다. 바킨은 매릴랜드 대학교 동창회보인 '칼리지 파크(College Park)'의 초대 편집자였다. 현재 부인과 함께 매릴랜드 주 콜롬비아에서 살고 있다.
김응숙(옮긴이)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의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에서 특별연구원으로 일했다. 한국방송개발원 책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언론심리학부 교수로 일한다. 저서로 『소비문화 이데올로기 분석』(1998), 『텔레비전과 공중』(2000)이 있고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지역방송”(2002), “증언과 고백의 세계; 텔레비전의 사사화와 치료 윤리”(2004)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목차 저자 머리말 = 7 감사의 글 = 10 옮긴이 머리말 = 13 Ⅰ. 방송과 뉴스 문화 = 1 1. 새 시대의 전자 저널리즘 = 3 TV 뉴스의 문화적 역할 = 8 네트워크 딜레마 = 12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전망 = 14 다가오는 문제들 = 16 2. 초기 : 상업주의 윤리 = 25 라디오의 도입 = 25 회사와 상업방송 = 29 텔레비전 뉴스와 상업주의 윤리 = 32 초기의 텔레비전 방송 = 40 머로우의 비상과 추락 = 42 머로우와 텔레비전 뉴스 문화 = 49 3. 네트워크 지배의 시대 = 51 케네디 암살 = 51 베트남 = 56 워터게이트 = 59 앵커맨의 우세 = 59 Ⅱ. 텔레비전 뉴스의 지각 변동 = 69 4. 〈60분〉과 뉴스 매거진 = 71 담배 소동 = 84 5. 타블로이드 텔레비전과 토크의 세계 = 88 토크, 토크, 토크 = 107 토크의 세계 = 110 학자들의 성찬 : 뉴스에 관해 말하기 = 112 6. 경성 뉴스 ― 연성 뉴스 = 117 크롱카이트에서 래더까지 = 117 밴 고든 소터 : 새로운 유형의 뉴스 중역 = 119 새로운 종류의 뉴스방송 = 120 다큐멘터리의 소멸 = 124 7. 프라임 타임 뉴스가치 = 127 뉴스 매거진으로의 회귀 = 127 가열된 경쟁 = 130 NBC의 시련 = 131 비난 속의 〈데이트라인〉 = 140 취향과 윤리에 관한 질문 = 143 서사(narrative)의 레퍼토리 = 144 뉴스 매거진 편집 과정 = 150 뉴스 매거진 저널리즘의 영향 = 153 8. CNN의 영향 = 156 CNN의 출발 = 159 CNN 진화하다 = 167 MSNBC = 168 폭스 뉴스 채널 = 170 CNN의 반응 = 174 9. 유명인사에 관한 뉴스 = 176 유명인사 저널리즘 : 〈엔터테인먼트 투나잇〉 사례 = 176 유명인사 저널리즘의 시대 = 180 텔레비전과 유명인사에 관한 뉴스 = 183 유명인사로의 저널리스트 = 189 유명인사 뉴스에 대한 문화적 비판 = 197 Ⅲ. 디지털 시대의 공공 서비스 = 203 10. 지역뉴스 = 205 지역뉴스는 정말 그렇게 나쁜가? = 205 '시민 저널리즘'을 위한 논의 = 212 지역사회의 구심성 = 215 지역뉴스와 위성 혁명 = 218 내부자의 눈으로 본 뉴스룸 = 231 11. 네트워크 뉴스와 새로운 환경 = 234 수용자의 감소 = 234 거대 미디어 시대 = 238 빅 미디어가 나쁜 것인가? = 242 시장에 의해 움직이는 저널리즘 = 247 1976년 대 1996년 = 251 네트워크 뉴스의 미래 = 253 2001년 9월 11일의 교훈 = 254 12. 전자 저널리즘과 공익 = 260 방송의 공공 서비스 모델 = 260 그 밖의 유럽 방송제도 = 261 새로운 규제 환경 = 262 인터넷 = 265 공공 서비스의 변천사 = 268 결론 = 273 참고문헌 = 292 저자 소개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