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운론의 원리

음운론의 원리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rubetskoi, Nikolai Sergeevich, kniaz, 1890-1938 Cantineau, J. (Jean), 1899-1956, 역 한문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운론의 원리 / N.S. 트루베츠코이 지음; [장 캉티노 프랑스어역] ; 한문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형태사항
482 p. ; 24 cm
원표제
Grundzuge der Phonologie
ISBN
9788952113948
일반주기
색인과 저자연보 수록  
일반주제명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Phonology
000 01222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85169
005 20140201141629
007 ta
008 140128s2013 ulk AK 001c kor
020 ▼a 9788952113948 ▼g 93700
035 ▼a (KERIS)BIB000013357322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fre ▼h ger
082 0 4 ▼a 414 ▼2 23
085 ▼a 414 ▼2 DDCK
090 ▼a 414 ▼b 2013
100 1 ▼a Trubetskoi, Nikolai Sergeevich, ▼c kniaz, ▼d 1890-1938 ▼0 AUTH(211009)31850
245 1 0 ▼a 음운론의 원리 / ▼d N.S. 트루베츠코이 지음; ▼e [장 캉티노 프랑스어역] ; ▼e 한문희 옮김
246 1 ▼i 프랑스어번역표제: ▼a Principes de phonologie
246 1 9 ▼a Grundzuge der Phonologie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3
300 ▼a 482 p. ; ▼c 24 cm
500 ▼a 색인과 저자연보 수록
546 ▼a 독일어로 된 원저작이 프랑스어로 번역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Phonology
700 1 ▼a Cantineau, J. ▼q (Jean), ▼d 1899-1956, ▼e
700 1 ▼a 한문희, ▼e▼0 AUTH(211009)80961
900 1 0 ▼a 트루베츠코이, N. S., ▼e
900 1 0 ▼a Трубецкой, Николай Сергеевич, ▼e
900 1 0 ▼a 캉티노, 장,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4 2013 등록번호 111711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프라하학파의 음운론 이론을 집대성한 것으로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블룸필드의 『언어』와 함께 언어학사에서 3대 고전으로 손꼽히는 저작이다. 트루베츠코이의 음운론은 곧 프라하학파의 언어학이며, 나아가서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이 책은 언어학에서 통사론과 의미론 분야는 물론, 구조주의 문학비평에도 기본 개념과 분석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음운론이 어떻게 언어학의 독자적인 새로운 분과학문으로 발돋움했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어떤 학파의 학자든 간에 트루베츠코이가 이루어낸 음운론의 기본이론을 지나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언어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은 물론 문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도 기본 필독서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이 책이 단순히 인간 언어의 음성 측면을 연구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언어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언어의 기본이 되는 음소에 관한 과학적 분석연구를 다룬,
세계 언어학사의 고전을 완역판으로 만나다


『음운론의 원리』는 프라하학파의 음운론 이론을 집대성한 것으로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블룸필드의 『언어』와 함께 언어학사에서 3대 고전으로 손꼽히는 저작이다. 트루베츠코이의 음운론은 곧 프라하학파의 언어학이며, 나아가서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이 책은 언어학에서 통사론과 의미론 분야는 물론, 구조주의 문학비평에도 기본 개념과 분석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음운론이 어떻게 언어학의 독자적인 새로운 분과학문으로 발돋움했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어떤 학파의 학자든 간에 트루베츠코이가 이루어낸 음운론의 기본이론을 지나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언어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은 물론 문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도 기본 필독서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이 책이 단순히 인간 언어의 음성 측면을 연구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언어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우리가 항상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하고 반드시 사용하는 것이 언어일진대, 언어의 기본이 되는 음소에 관한 과학적 분석 연구를 다룬 바로 이 책, 『음운론의 원리』는 언어학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그리고 일반적인 교양을 위해서도 모든 사람의 지적 호기심을 충분히 자극할 것이다.

[출판사 서평]

200여 개의 언어를 면밀히 조사하고,
방언의 음운체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다


이 책은 음성의 변별적 기능 연구인 ‘변별성 이론’과 음성의 경계를 나타내는 기능 연구인 ‘경계표시이론’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음성학과 음운론을 구별해야 하는 이유와 그 경위를 역사적으로 설명하였다. 본문 뒤에는 트루베츠코이의 논문 ?형태음운론?과 ?음운론과 언어지리학?을 수록하였다. ‘변별성 이론’ 부분에서는 기본 개념으로 변별적 음운대립을 이야기하고 음소와 변이음을 구별하였다. 트루베츠코이는 음소와 변이음을 구별하는 데 필요한 네 가지 규칙을 설정하였으며, 음소와 음소연쇄를 구별하기 위하여 단음소적 가치와 다음소적 가치를 설정하였다. 변별적 음성 특성을 모음적 특성, 자음적 특성, 운율적 특성의 세 부류로 나누고, 모음의 특성으로 조음 부위, 간극도, 공명성을, 자음의 특성으로는 조음 부위, 장애극복 양태, 공명성을 들었다. 운율적 특성에서는 음절의 중심, 음절과 모르를 다루고, 음량의 음운론적 해석을 내렸다. 그리고 운율적 차이의 특성을 분류하였다. 변별적 대립의 중화 유형에서는 문맥에 따라 결정되는 중화 유형과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중화 유형을 분류하였다. 음소결합에서는 음소를 기능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음소결합의 일반법칙 문제도 제기하였다. ‘경계표시이론’ 부분에서는 변별적 음성 기능과 경계적 음성 기능을 구분하였다. 변별적 기능이란 언어 자체에 꼭 필요한 역할로 의미단위에 대응되는 개별 복합음이 서로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반드시 구분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세심한 번역으로 만나는 언어학사의 고전

이 책을 번역한 한문희 교수는 40여 년 전에 프랑스에서 음성학과 음운론을 전공하면서 트루베츠코이의 『음운론의 원리』가 유럽 구조주의 언어학 발전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언젠가는 이 책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우리나라 연구자들이나 대학원생들이 그의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40년이 흐른 뒤 이 완역본을 내게 되었다. 역자는 세계 각국의 언어뿐만 아니라 특수한 지역의 방언까지도 음운분석의 예로 총망라된 이 책을 완역하면서, 전문적인 학술 용어는 가장 보편적인 용어로 옮기고, 새로운 용어는 한글세대에게 낯설지 않게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좀더 쉽게 돕기 위하여 전문적 학술용어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언어는 우리말로 옮긴 후 프랑스어 용어를 함께 적었으며, 생소한 언어와 혼동이 예상되는 용어, 또 부연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두 역자주를 붙였다. 이 책은 음운론에 관심을 두고 전공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음성학, 언어학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기본 내용이 담긴 책이다. 또한 프랑스어는 물론 한국어 및 다른 외국어를 깊이 탐구하는 사람들에게도 꼭 필요한 전문 도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지은이)

보통 언어학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는 또한 걸출한 사상가였고, 민족지학자였으며, 역사가였고, 철학자였다. 그는 1890년에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모스크바 대학 총장을 지낸 철학자 세르게이 트루베츠코이였다. 이러한 가족환경은 트루베츠코이의 지적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중학교 때부터 민족지학, 언어학, 역사학, 철학 등을 심도 있게 공부할 수 있었다. 트루베츠코이는 1908년에 모스크바 대학의 역사.언어학과에 입학하였고, 1912년에 비교언어학 분과를 졸업하고, 라이프치히로 가서 청년문법학파의 이론을 공부하는 등 언어학자로서 탄탄한 기반을 닦았다.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는 모스크바로 돌아와서 언어학에 관한 여러 논문들을 발표하였고, 또한 모스크바 언어학 서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신화학, 민족지학, 문화사 등을 연구함으로써 유라시아라는 주제에 접근하게 되었다. 그러나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대귀족 가문이었던 트루베츠코이는 카프카즈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가, 1920년에 마침내 러시아를 떠나 불가리아에 정착하게 되었고, 소피아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강의에 전념하였다. 그리고 바로 1920년에 그의 유명한 저서 ≪유럽과 인류≫가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이후 트루베츠코이의 연구는 크게 언어학과 문화 사상사라는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언어학 연구에서 그는 1939년에 언어학 분야에서 3대 고전의 하나로 꼽히는 ≪음운론의 원리≫를 출간하였다. 문화 사상사의 영역에서 트루베츠코이는 민족문제와 민족문화에 대해 연구하면서 점점 유라시아 연구로 경사되었으나, 정치적 성향이 짙은 극단적인 유라시아주의를 배격하고 학문적 연구에 몰두하였다. 트루베츠코이는 말년에 오스트리아의 빈으로 이주하여, 빈 대학에서 슬라브학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를 계속하였으나,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된 후에 나치의 비밀경찰들에게 박해를 받았다. 그 과정에서 그의 필사본들 가운데 상당수가 압수당했고, 결국은 소실되었다. 구밀료프(Л. Н. Гумиле?в)에 따르면 트루베츠코이가 나치 비밀경찰에게 체포되지 않았던 이유는 그가 공후 가문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트루베츠코이의 집에서는 여러 차례 난폭한 심문이 진행되었고, 이 때문에 그는 심근경색을 일으켜 결국 1938년 7월25일 향년 48세, 학자로서는 한창 나이에 숨을 거두었다.

한문희(옮긴이)

1972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졸업. 프랑스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브장송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마쳤다. 1978년 스트라스부르 마르크 블로흐 대학교에서 음성학 전공으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 1979년 귀국 후 전북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상명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장, 상명대학교 사범대학장 역임. 2013년 현재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장. 주요 역서로 『음운론』, 『일반이성문법』, 『음운론의 원리』가 있으며, 「실험음성학적인 면에서 본 한국어 모음체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프랑스어 교육」, 「한국 학습자를 위한 프랑스어 발음교육 방안」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옮긴이 해제 = 5
프라하 언어학파의 서문 = 13
앙드레 마르티네의 서문 = 15
서론
 1. 음운론과 음성학 = 24
 2. 음운론과 음성문체론 = 43
음운론 : 예비적 지적 = 62
변별성 이론 : 변별적 음성 기능의 연구
 Ⅰ. 기초 개념 = 67
  1. 변별적 음운대립 = 67
  2. 음운론적 변별단위, 음소, 변이음 = 71
  3. 음소의 정의 = 77
 Ⅱ. 음소 규정의 규칙 = 88
  1. 음소와 변이음의 구별 = 88
  2. 외국어 음소의 잘못된 평가 = 96
  3. 단음소와 음소의 연쇄 = 102
  4. 외국어 소리의 단음소적 평가 또는 다음소적 평가에 대한 오류 = 113
 Ⅲ. 변별적 대립의 논리적 분류 = 118
  1. 음소의 내용과 음소체계 = 118
  2. 대립의 분류 = 119
  3. 상관 = 141
  4. 상관속 = 144
 Ⅳ. 변별적 음성대립의 음운체계 = 150
  1. 예비적 지적 = 150
  2. 변별적 음성 특성의 분류 = 153
  3. 모음의 특성 = 158
  4. 자음의 특성 = 203
  5. 운율적 특성 = 276
  6. 비정상적 변별 요소 = 355
 Ⅴ. 변별적 대립의 중화 유형 = 338
  1. 개론 = 338
  2. 문맥 조건에 따르는 중화 유형 = 339
  3. 구조 조건에 따르는 중화 유형 = 347
  4. 중화의 혼합 유형 = 353
  5. 서로 다른 중화 유형의 작용 = 354
 Ⅵ. 음소연쇄 = 357
  1. 음소의 기능적 분류 = 357
  2. 음소결합에 작용하는 일반법칙의 문제 = 360
  3. 결합 연구방법 = 365
  4. 비정상적 음소연쇄 = 372
 Ⅶ. 음운통계 = 375
  1. 두 가지 계산 유형 = 375
  2. 문체에 따른 빈도수와 언어에 따른 빈도수 = 376
  3. 음소 빈도수 해석 = 381
  4. 실제 빈도수와 예상 빈도수 = 386
  5. 어휘의 음운통계 = 389
경계표시 이론 : 음성의 경계표시 기능 연구
 Ⅰ. 예비적 지적 = 395
 Ⅱ. 음소 경계기호와 비음소 경계기호 = 398
 Ⅲ. 단일기호와 무리기호 = 405
 Ⅳ. 긍정적 경계기호와 부정적 경계기호 = 418
  1. 부정적 음소 경계기호 = 418
  2. 부정적 비음소 경계기호 = 420
 Ⅴ. 경계기호의 이용 = 424
형태음운론 고찰 = 429
음운론과 언어지리학 = 433
트루베츠코이의 자서전적 기록 = 441
음운론에 관계되는 트루베츠코이의 주요 저서 목록 = 463
저자 연보 = 467
옮긴이 후기 = 469
용어 찾아보기 = 473
언어 찾아보기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