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새) 한국정부론 개정 3판

(새) 한국정부론 개정 3판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태룡 金泰龍, 저 권해수 權海秀, 저 김영민 金榮敏, 저 김종성 金鍾晟, 저 박재욱 朴在郁, 저 배득종 裵得鍾, 저 신희권 申熙權, 저 안희정 安希貞, 저 이승종 李勝鍾, 저 이종열 李鍾烈, 저 채원호 蔡源互, 저 하태수 河泰洙, 저
서명 / 저자사항
(새) 한국정부론 / 김태룡 [외] 공저
판사항
개정 3판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2014  
형태사항
469 p. : 도표 ; 25 cm
ISBN
9788976444653
일반주기
공저자 : 권해수, 김영민, 김종성, 박재욱, 배득종, 신희권, 안희정, 이승종, 이종열, 채원호, 하태수  
서지주기
참고문헌(p. 437-456)과 색인수록
000 01219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785128
005 20140203142156
007 ta
008 140128s2014 ulkd b 001c kor
020 ▼a 9788976444653 ▼g 93350
035 ▼a (KERIS)BIB000013361182
040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64 ▼d 211009
082 0 4 ▼a 351.519 ▼2 23
085 ▼a 351.53 ▼2 DDCK
090 ▼a 351.53 ▼b 2014
245 2 0 ▼a (새) 한국정부론 / ▼d 김태룡 [외] 공저
250 ▼a 개정 3판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4
300 ▼a 469 p. : ▼b 도표 ; ▼c 25 cm
500 ▼a 공저자 : 권해수, 김영민, 김종성, 박재욱, 배득종, 신희권, 안희정, 이승종, 이종열, 채원호, 하태수
504 ▼a 참고문헌(p. 437-456)과 색인수록
700 1 ▼a 김태룡 ▼g 金泰龍, ▼e▼0 AUTH(211009)53120
700 1 ▼a 권해수 ▼g 權海秀, ▼e▼0 AUTH(211009)130854
700 1 ▼a 김영민 ▼g 金榮敏, ▼e▼0 AUTH(211009)106084
700 1 ▼a 김종성 ▼g 金鍾晟, ▼e▼0 AUTH(211009)59101
700 1 ▼a 박재욱 ▼g 朴在郁, ▼e▼0 AUTH(211009)1873
700 1 ▼a 배득종 ▼g 裵得鍾, ▼e▼0 AUTH(211009)139687
700 1 ▼a 신희권 ▼g 申熙權, ▼e▼0 AUTH(211009)80025
700 1 ▼a 안희정 ▼g 安希貞, ▼e▼0 AUTH(211009)102723
700 1 ▼a 이승종 ▼g 李勝鍾, ▼e▼0 AUTH(211009)57902
700 1 ▼a 이종열 ▼g 李鍾烈, ▼e▼0 AUTH(211009)43832
700 1 ▼a 채원호 ▼g 蔡源互, ▼e▼0 AUTH(211009)57090
700 1 ▼a 하태수 ▼g 河泰洙, ▼e▼0 AUTH(211009)47457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14 등록번호 111711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태룡(지은이)

상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한국행정학회 회장 (전) 서울행정학회 회장 (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편집위원장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 3판 머리말 = 3
개정판 머리말 = 5
초판 머리말 = 7
제1장 정부란 무엇인가? = 17
 제1절 정부에 대한 시각 = 17
  1. 정부에 대한 생각 = 17
  2. 정부란 무엇인가? = 22
  3. 정부를 어떻게 볼 것인가? = 27
 제2절 정부의 형태 = 43
  1. 국가 권력의 분포에 따른 정부 형태 = 44
  2. 권력 분립 원리의 적용 방식에 따른 정부 형태 = 45
 제3절 정부에 대한 접근 방법 = 54
  1. 전통적 연구 방법 = 55
  2. 행태론적 연구 방법 = 60
  3. 정치경제론적 연구 방법 = 67
 제4절 한국 정부에 대한 시각과 접근 = 76
  1. 한국 정부에 대한 시각 = 77
  2. 한국 정부에 대한 접근 = 80
제2장 한국 정부의 환경과 형성 = 85
 제1절 한국 정부를 둘러싼 환경 = 85
  1. 한국 정부 형성기의 환경 = 86
  2. 한국 정부 산업화기의 환경 = 94
  3. 한국 정부 민주화기의 환경 = 110
 제2절 한국 정부의 형성 과정 = 153
  1. 한국 정부의 형성기 = 153
  2. 한국 정부의 산업화기 = 173
  3. 한국 정부의 민주화기 = 180
제3장 한국 정부의 제도와 상호작용 = 187
 제1절 한국 정부의 규모 및 크기 = 187
 제2절 한국 정부의 제도 = 189
  1. 중앙정부 제도 = 190
  2. 지방정부 제도 = 203
 제3절 정부기구 간 상호 관계 = 207
  1. 행정부와 입법부의 상호 관계 = 208
  2. 행정부와 사법부의 상호 관계 = 224
  3. 입법부와 사법부의 상호 관계 = 231
  4.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상호 관계 = 234
제4장 한국 정부와 참여자 = 249
 제1절 한국 정부와 시민 = 249
  1. 정부와 시민 참여 = 250
  2. 한국 정부와 시민 참여 = 256
  3. 한국 시민 참여의 성공 요건과 한계 = 266
 제2절 한국 정부와 시민조직 = 270
  1. 정부와 이익집단 = 270
  2. 정부와 시민단체 = 277
 제3절 한국 정부와 정당 = 292
  1. 정부와 정당 = 292
  2. 한국 정부와 정당 = 309
 제4절 한국 정부와 언론 = 315
  1. 정부와 언론 = 315
  2. 한국 정부와 언론 = 325
제5장 한국 정부와 정책 = 341
 제1절 정책을 보는 시각 = 341
  1. 정책 과정적 접근 = 341
  2. 정책 내용적 접근 = 343
 제2절 한국 정부와 정책 과정 = 344
  1. 한국 정부 형성기의 정책 과정 = 345
  2. 한국 정부 산업화기의 정책 과정 = 351
  3. 한국 정부 민주화기의 정책 과정 = 358
 제3절 한국 정부와 정책 내용 = 368
  1. 한국 정부 형성기의 정책 내용 = 368
  2. 한국 정부 산업화기의 정책 내용 = 374
  3. 한국 정부 민주화기의 정책 내용 = 389
제6장 한국 정부와 미래 = 417
 제1절 미래 예측의 난제 = 417
  1. 미래 예측의 효용 = 417
  2. 미래 예측의 전제 = 418
 제2절 한국 정부의 미래와 대응 = 419
  1. 한국 정부의 미래 = 419
  2. 한국 정부의 대응 = 430
참고 문헌 = 437
찾아보기 = 45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