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쓰는 간행사 = 4
책머리에 = 6
서론|낭만적 영혼의 문학 = 14
제1부 영혼이라는 에피스테메 = 39
제1장 영혼의 순례
1. 야소교와 영혼 = 40
2. 심성, 아니마, 영체 = 41
3. 불멸하는 영혼 = 47
4. 낭만주의 미학 = 57
5. 잉여와 삭감 = 61
제2장 근대적 자아의 비의
1. 영혼이라는 역어 = 66
2. 키따무라 토오꼬꾸 = 76
3. 학지광세대의 에머슨 = 82
4. 영혼의 수사학 = 93
제2부 생명담론의 권능과 기독교적 주체성 = 105
제3장 생명으로서의 문학
1. 영, 대령, 생명 = 106
2. 니시다 키따로오 = 116
3.「생명의 봄」 = 123
4. 종교와 예술 = 133
제4장 신인의 창조
1. 데까당과 이광수 = 143
2.『무정』의 생명론 = 150
3. 두개의 생명 = 163
제5장 생명과 인격
1.『흙』 = 169
2. 문화, 교양, 인격 = 173
3. 사산된 생명 = 178
4. 신인의 이데올로기 = 183
제6장 기독교적 주체성의 신화
1. 평양과 기독교 = 194
2. 대동강의 미학 = 200
3. 자연, 청년, 창가의 세계 = 209
제3부 탈생명주의 미학과 그 계보 = 219
제7장 유미주의 소설의 선구자들
1.「목숨」 = 220
2. 악, 죽음, 육체 = 230
3. 나도향의 반기독교 = 239
4. 악마적 자율성 = 250
제8장 의식의 흐름과 베르그송
1. 벨그송과 조소앙 = 255
2.「마음이 여튼 자여」 = 257
3. 제임스, 베르그송, 아인슈타인 = 263
4. 마들렌과 아달린 = 271
5.「심문」에 이르는 길 = 279
제9장 신경향파 비평의 낭만주의적 기원
1. 생활의 발견 = 285
2. 생활, 인생, 생명 = 288
3. 개인에서 민중으로 = 298
4. 탈낭만적 자아 = 304
5.「이중병자」 = 308
제10장 생명담론의 재신비화
1. 현실에서 사실로의 전회 = 314
2. 생명, 휴머니즘, 운명 = 322
3. 구경적 생의 진의 = 328
제4부 생명주의 이후의 한국문학 = 343
제11장 개성과 예술
1.「E선생」 = 344
2. 자유연애라는 추문 = 349
3. 생명, 사랑, 예술 = 355
4.『삼대』 = 362
5. 중도파의 감각 = 368
제12장 불가능한 공동체
1.『취우』의 예외성 = 372
2. 신여성이라는 문법 = 374
3. 인공치하의 서울 = 378
4. 불가능한 공동체 = 384
5. 숨겨놓은 여성들 = 392
잠정적 결론 = 398
참고문헌 = 404
찾아보기 =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