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40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82465 | |
005 | 20140113171134 | |
007 | ta | |
008 | 140110s2013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8170911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18.02 ▼2 23 |
085 | ▼a 418.02 ▼2 DDCK | |
090 | ▼a 418.02 ▼b 2013z9 | |
100 | 1 | ▼a 정호정 ▼0 AUTH(211009)115448 |
245 | 1 0 | ▼a 공공번역 표준화의 모델 : ▼b 한국형 모델 개발을 위한 해외 선진사례 연구 / ▼d 정호정, ▼e 임현경 지음 |
246 | 1 1 | ▼a Public-sector translation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226 p. : ▼b 삽화 ; ▼c 24 cm | |
700 | 1 | ▼a 임현경, ▼e 저 ▼0 AUTH(211009)95924 |
900 | 1 0 | ▼a Cheong, Ho-jeong, ▼e 저 |
900 | 1 0 | ▼a Lim, Hyun-kyung,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8.02 2013z9 | 등록번호 1117104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호정(지은이)
(現)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영어 통번역학부 학부장) (現)한국통역번역학회 회장 (現)한국번역학회 번역사업이사 (現)한국통번역교육학회 편집위원 (現)전문통번역사 한국고속철도공단 상근통번역사 서울신문 기자 매일경제신문 기자 학력 통역·번역학 박사(Ph.D)/한국외대 통 번역대학원 영어교육학 석사(M.Ed.)/Univ. of Missouri, Columbia, USA 통역·번역학 석사(MA)/한국외대 통 번역대학원 사회학 학사(BA)/이화여자대학교 저서 및 역서 『국가 번역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공저) 『국제회의통역에의 초대』 (역서/한국문화사) 『Korea in the 21st Century』 (공역/ 대통령 자문기구 21세기 위원회) 『Saemaul Undong in Korea』 (역서/한국새마을운동중앙회) 『충돌 : 21세기 자동차 산업의 전망』 (역서/김영사) 논문 『Translated Text Expansion and Contraction: A Corpus-Based Study of Quantitative Target Text Changes as Reflective of Translator Mediation』 (박사학위논문) 「번역된 문화텍스트의 정보성 등가와 로마자 표기방식의 문제점 」 「How to bridge lexical gaps left as reflective of different categorization systems? 」 「번역학의 통합이론 」 등 21편
임현경(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통번역전공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 통번역학부 및 통번역대학원 한영과 강사로 근무했다. 이후 벨기에 루벤대학교에서 전문번역 및 전문용어학 관련 유럽석사를 마치고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스위스 소재 CLS Communication에서 전문용어 작업자 및 번역사로, Bain & Company Korea에서 상근 통번역사로 근무했으며, 그 외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프리랜스 통번역사로 업무를 수행했다. 저서(공저)로는 『통번역학 연구현황과 향후 전망Ⅱ』(한국문화사),『공공번역 표준화의 모델』(한국문화사)등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5 감사의 글 = 9 제1부 공공번역의 이해 Ⅰ. 공공번역의 정의와 범위 = 17 1.1 공공번역의 정의 및 특징 = 17 1.2 공공번역의 중요성 = 22 1.3 공공번역의 범위 = 24 Ⅱ. 국내 공공번역의 현주소 = 29 2.1 국내 공공번역의 문제점 = 29 2.2 공공번역 문제점의 범주화 = 31 Ⅲ. 공공번역 수급 및 수준 관리의 필요성 = 43 3.1 해외 선진사례 연구의 필요성 = 43 3.2 연구의 방식 및 배경 = 44 3.3 연구의 범위 = 46 제2부 벤치마킹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Ⅰ Ⅳ. 유럽연합의 공공번역 수요 및 위상 = 51 4.1 유럽연합의 탄생 = 51 4.2 유럽연합의 공식어 및 언어적 수요 = 52 4.3 공공번역의 필요성 및 수요 구조 = 53 4.4 유럽연합 내 공공번역 담당 기구 = 55 Ⅴ. EU 집행위원회 번역총국(DGT) = 56 5.1 기구 연혁 = 56 5.2 조직도 = 58 5.3 업무 흐름 = 63 5.4 공공번역 수준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 66 Ⅵ. EU 번역센터 = 72 6.1 기구 연혁 = 72 6.2 조직도 = 74 6.3 업무 흐름 = 76 6.4 공공번역 수준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 79 Ⅶ. EU이사회 총사무국 번역서비스부 = 85 7.1 기구 연혁 = 85 7.2 조직도 = 86 7.3 업무 흐름 = 88 7.4 공공번역 수준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자치 = 90 Ⅷ. EU의 공공번역 관리 체계 = 93 8.1 번역사 고용형태 및 직급 분류 = 93 8.2 번역사 자격요건 = 95 8.3 내주 번역사 채용 및 관리 = 95 8.4 외주 번역사 채용 및 관리 = 99 8.5 공공번역 수준 관리 현황 = 104 제3부 벤치마킹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Ⅱ Ⅸ. 캐나다 - 연방 통합단일기구를 통한 공공번역 수요 해결 = 121 9.1 캐나다의 공공번역 수요 및 관련 정책 = 121 9.2 기구 연혁 및 구조 = 122 9.3 주요 업무 = 131 9.4 공공번역 수준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 133 9.5 전문용어 표준화 = 134 Ⅹ. 호주 - 번역사 인증제로 다언어ㆍ다문화 사회 공공번역 수준 관리 = 138 10.1 호주의 공공번역 수요 및 관련 정책 = 139 10.2 번역사 선발 및 인증 관리를 통한 번역 수준 관리 = 139 10.3 공공번역 전담 국가기구 대신 NAATI를 활용 = 140 10.4 기구 연혁 = 141 10.5 조직 및 부서별 업무 = 143 10.6 업무 흐름 = 147 10.7 공공번역 수준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 153 10.8 전문용어 표준화 = 154 XI. 중국 - 국가주도형 공공번역 표준화 모델 = 155 11.1 중국의 공공번역 현황 = 156 11.2 중국 민족어문번역국 = 158 11.3 중국 국가과학기술용어심사위원회 = 162 제4부 한국형 표준화 모델 개발 및 구현을 위한 도전 XII. 국내 모델 개발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 171 12.1 해외 선진 모델 별 평가 및 시사점 = 173 12.2 제 모델의 공통적 시사점 = 182 XIII. 한국형 모델 구현을 위한 접근 = 196 13.1 단기 및 중장기적인 접근의 구분 = 196 13.2 장기적 접근: 단일전문전담기구 발족 필요 = 198 13.3 단일전문전담기구의 역할 및 조직 = 205 13.4 단기적 접근 = 213 13.5 결론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