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엔과 세계평화 (2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흥순, 편 조한승, 편 정우탁, 편 박재영, 저 오영달, 저 이서항, 저 이신화, 저
서명 / 저자사항
유엔과 세계평화 / 박흥순, 조한승, 정우탁 엮음
발행사항
서울 :   APCEIU :   오름,   2013  
형태사항
536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총서 ;2
ISBN
9788977784116
일반주기
부록: 1. 유엔헌장(국·영문), 2. 세계인권선언(국·영문), 3. 유엔 조직 및 주요기구 외  
필자: 박재영, 박흥순, 오영달, 이서항, 이신화, 정우탁, 조한승  
기획: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서지주기
참고문헌(p. 361-380)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82314
005 20151020154831
007 ta
008 131216s2013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7784116 ▼g 93340
035 ▼a (KERIS)BIB000013353035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41.2 ▼2 23
085 ▼a 341.2 ▼2 DDCK
090 ▼a 341.2 ▼b 2013z1 ▼c 2
245 0 0 ▼a 유엔과 세계평화 / ▼d 박흥순, ▼e 조한승, ▼e 정우탁 엮음
246 1 1 ▼a United Nations and world peace
260 ▼a 서울 : ▼b APCEIU : ▼b 오름, ▼c 2013
300 ▼a 53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총서 ; ▼v 2
500 ▼a 부록: 1. 유엔헌장(국·영문), 2. 세계인권선언(국·영문), 3. 유엔 조직 및 주요기구 외
500 ▼a 필자: 박재영, 박흥순, 오영달, 이서항, 이신화, 정우탁, 조한승
500 ▼a 기획: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504 ▼a 참고문헌(p. 361-380)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2S1A5B4A01035996)
700 1 ▼a 박흥순, ▼e▼0 AUTH(211009)95921
700 1 ▼a 조한승, ▼e▼0 AUTH(211009)93661
700 1 ▼a 정우탁, ▼e▼0 AUTH(211009)79152
700 1 ▼a 박재영, ▼e
700 1 ▼a 오영달, ▼e
700 1 ▼a 이서항, ▼e
700 1 ▼a 이신화, ▼e
900 1 0 ▼a Park, Heung-soon, ▼e
900 1 0 ▼a Cho, Han-seung, ▼e
900 1 0 ▼a Chung, U-tak,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2 2013z1 2 등록번호 111710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2 2013z1 2 등록번호 1117368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2 2013z1 2 등록번호 1117417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제기구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총론과 각론 총 10권으로 구성된 국제기구 총서 시리즈가 기획되었다. 본서는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두 번째 책이다.

오늘날 유엔의 역할이 활성화되고 한국의 외교에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서, 여러 측면에서 자연스럽게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현실이다. 대유엔 외교를 통하여 한국의 이익을 제고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외교부의 관련 부서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왔다. 학계나 전문가 그룹에서도 유엔 관련 주제의 심층적 연구나 한국 및 국제사회의 유엔정책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육에서도 유엔의 의제나 활동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고 폭넓은 이해를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서, 유엔 관련 전공이나 교양과목이 증가하고 모의유엔회의, 동아리활동 등 학생활동의 참여도 증가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유엔 혹은 국제기구 분야의 교육 및 강의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서 국제기구에 관하여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할 수 있는 관련 서적의 발간 필요성을 논의하여 왔다. 2012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및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APCEIU)의 주도로 발간하고자 하는 국제기구 총서 시리즈는 국제기구 전반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해 총론 1권과 각론 9권, 총 10권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머리말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우탁(엮은이)

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연구분야: 국제기구, 국제개발협력, 국제이해교육

조한승(엮은이)

미국 미주리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단국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소장 역임 현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흥순(엮은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발간사 / 정우탁 = 5
머리말 / 박흥순 ; 조한승 = 7
제1장 유엔의 기원, 발전, 역할과 국제사회 / 박흥순 = 19
 Ⅰ. 서론 = 21
 Ⅱ. 유엔의 창설 및 발전 역사 = 24
 Ⅲ. 유엔체제의 현황 개요 = 33
 Ⅳ. 유엔, 유엔학과 국제정치이론의 이해 = 51
 Ⅴ. 유엔, 국제사회의 미래와 세계평화 = 66
 Ⅵ. 결론: 유엔의 이해와 연구를 위한 과제 = 74
제2장 유엔의 구조와 과정 / 박재영 = 85
 Ⅰ. 서론 = 87
 Ⅱ. 유엔의 구성요소와 지위 = 88
 Ⅲ. 유엔의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 94
 Ⅳ. 유엔의 의사결정 = 104 
 Ⅴ. 유엔의 재정 = 117
 Ⅵ. 유엔과 다른 기구와의 관계 = 123
 Ⅶ. 결론 = 130
제3장 세계안보와 유엔의 역할 / 이신화 = 135
 Ⅰ. 서론 = 137
 Ⅱ. 유엔의 '안보역할'과 안보이슈 = 138
 Ⅲ. 유엔 안보역할 확대의 성과와 한계 = 152
 Ⅳ. 결론 = 165
제4장 인권, 환경, 개발과 유엔의 역할 / 오영달 = 171
 Ⅰ. 서론 = 173
 Ⅱ. 유엔과 인권보호 = 174
 Ⅲ. 유엔과 지구환경보호 = 185
 Ⅳ. 유엔과 개발 = 200 
 Ⅴ. 결론 = 220
제5장 유엔과 비정부기구 / 정우탁 = 225
 Ⅰ. 서론 = 227
 Ⅱ. NGO의 개념과 분류 = 229
 Ⅲ. NGO의 기능 = 233
 Ⅳ. NGO의 발전과정 및 유엔과의 관계 변화와 그 요인 = 235
 Ⅴ. 유엔과 NGO의 관계 = 239
 Ⅵ. 결론 = 257
제6장 유엔 개혁의 주요 쟁점과 도전과제 / 조한승 = 261
 Ⅰ. 서론 = 263
 Ⅱ. 유엔 개혁의 배경과 전개 과정 = 265
 Ⅲ. 유엔 개혁의 주요 논의 = 283
 Ⅳ. 유엔 개혁의 도전과제 = 302 
 Ⅴ. 결론 = 309
제7장 유엔과 한국, 그리고 세계평화 / 이서항 = 315
 Ⅰ. 서론 = 317
 Ⅱ. 유엔과 한국의 관계: 유엔의 한국문제 개입과 관계 전개 = 320
 Ⅲ. 새로운 국제환경의 부상: 유엔의 기회와 도전 = 332
 Ⅳ. 21세기 한국의 유엔외교: 성과와 평가 = 345
 Ⅴ. 결론: 세계평화를 향한 한국의 유엔외교의 과제 = 352
참고문헌 = 359
부록 
 【부록 1】유엔헌장(국ㆍ영문) = 383
 【부록 2】세계인권선언(국ㆍ영문) = 450
 【부록 3】유엔 조직 및 주요기구 = 464
 【부록 4】역대 유엔 사무총장 명단 및 재임기간 = 471
 【부록 5】유엔 사무국 조직도 = 473
 【부록 6】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구성표(상임, 비상임) = 474
 【부록 7】유엔 주요 회원국가 예산 분담 현황 = 475
 【부록 8】유엔 PKO 활동 현황 = 477
 【부록 9】인권, 환경, 개발 관련 주요 국제회의 및 국제협약 = 481
 【부록 10】UN 인턴십 및 채용정보 = 482
 【부록 11】지역별 유엔 협의체 = 494
 【부록 12】유엔기구의 한국 관련 결의안 목록(안전보장이사회, 총회) = 510
 【부록 13】한국의 ODA 현황 = 516
색인 = 521
필자 소개(가나다 순) = 53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