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34camcc2200445 c 4500 | |
001 | 000045782296 | |
005 | 20140114192752 | |
007 | ta | |
008 | 131227s2013 ulk 000c kor | |
020 | ▼a 9788959336531 ▼g 94340 | |
020 | 1 | ▼a 9788959336524 (세트) |
035 | ▼a (KERIS)REW000000197879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352.2309519 ▼2 23 |
085 | ▼a 352.230953 ▼2 DDCK | |
090 | ▼a 352.230953 ▼b 2012 ▼c 2 | |
245 | 0 0 | ▼a 한국대통령 통치구술사료집. ▼n 2, ▼p 전두환 대통령 / ▼d 허화평 [외] 구술 ; ▼e 박명림 [외] 채록 및 편집 ; ▼e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편 |
260 | ▼a 서울 : ▼b 선인, ▼c 2013 | |
300 | ▼a 421 p. ; ▼c 23 cm | |
440 | 0 0 | ▼a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국가관리사료총서 ; ▼v 12 |
500 | ▼a "전두환 대통령 연표" 수록 | |
500 | ▼a 구술: 이종찬, 김만제, 남재희, 이정빈, 배양일 | |
500 | ▼a 채록 및 편집: 권자경, 윤민재, 장훈각, 박용수, 전상숙 | |
536 | ▼a 이 사업은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음 | |
600 | 1 4 | ▼a 전두환 ▼g 全斗煥, ▼d 1931- |
700 | 1 | ▼a 허화평, ▼e 구술 |
700 | 1 | ▼a 이종찬, ▼e 구술 |
700 | 1 | ▼a 김만제, ▼e 구술 |
700 | 1 | ▼a 남재희, ▼e 구술 |
700 | 1 | ▼a 이정빈, ▼e 구술 |
700 | 1 | ▼a 배양일, ▼e 구술 |
700 | 1 | ▼a 박명림, ▼e 편 |
700 | 1 | ▼a 권자경, ▼e 편 |
700 | 1 | ▼a 윤민재, ▼e 편 |
700 | 1 | ▼a 장훈각, ▼e 편 |
700 | 1 | ▼a 박용수, ▼e 편 |
700 | 1 | ▼a 전상숙, ▼e 편 |
710 | ▼a 연세대학교. ▼b 국가관리연구원, ▼e 편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230953 2012 2 | 등록번호 1117105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국가관리사료총서 시리즈 12권. 1980년대 권력의 중심에서 발생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나 지금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치적 갈등과 대립의 현장, 그리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사료집은 제5공화국에 참여한 당사자들의 기억에 기초한 내용들을 편집한 것이며, 당시 참여자들의 사고와 인식을 수십 년이 지난 오늘날의 시점에서 담고 있다.
전두환 대통령 통치구술사료집은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지원사업 “한국 대통령리더십과 국가관리(state governance)”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이 사업은 역대 대통령리더십과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국정운영에 대한 연구, 관련 문서 사료수집, 그리고 관련 인사들에 대한 구술인터뷰 작업을 포함한다.
이 구술사료집은 1980년대 권력의 중심에서 발생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나 지금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치적 갈등과 대립의 현장, 그리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사료집은 제5공화국에 참여한 당사자들의 기억에 기초한 내용들을 편집한 것이며, 당시 참여자들의 사고와 인식을 수십 년이 지난 오늘날의 시점에서 담고 있다. 엄밀한 객관적인 중립성의 입장에서 당시를 평가하는 일은 연구자 등 전문가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편집을 담당한 면담자들은 구술자들의 이야기를 왜곡하거나 과잉 혹은 과소 해석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그 내용을 가급적 그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작업이 당시 집권세력의 인식과 판단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또한 구술섭외가 쉽지 않은 현실적 제약조건하에서 구술자들이 편한 마음으로 말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했다.
1980년 전두환 정부가 시작된 지 30년이 되고 1987년 민주화 이후 20년을 넘었지만, 이 구술인터뷰를 통해 전두환 정부의 정통성 관련 민감한 사안에 대한 인식은 좁혀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980년 5·18 광주에 대해 구술자들의 인식은 법질서와 공권력이 유지되지 않는 상황을 정부가 방치할 수 없었다는 일반론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12·12사건 또한 이 책 앞부분의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사안에서도 대립되는 인식이 좁혀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구술사료집은 전두환 대통령의 리더십과 전두환 정부의 국정운영 방식과 주요 사안 및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인식과 집권세력의 대응에 대한 구체적인 구술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책은 구술자들의 의미있는 중요한 발언을 담고 있다. (서론 中)
[저자소개]
· 구술
허화평 | (전)대통령 정무수석
이종찬 | (전)민정당 국회의원
김만제 | (전)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
남재희 | (전)민정당 국회의원
이정빈 | (전)대통령 정무비서관
배양일 | (전)대통령 공군연락관
· 책임
박명림 |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사료센터장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 채록 및 편집
권자경 | 강릉원주대학교 자치행정학과
윤민재 |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장훈각 |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박용수 |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전상숙 |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정보제공 :

목차
허화평 1. 개요 2. 구술 ・1차 구술 ・2차 구술 ・3차 구술 이종찬 1. 개요 2. 구술 ・1차 구술 ・2차 구술 김만제 1. 개요 2. 구술 남재희 1. 개요 2. 구술 이정빈 1. 개요 2. 구술 배양일 1. 개요 2. 구술 전두환 대통령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