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65camcc2200373 c 4500 | |
001 | 000045779362 | |
005 | 20131223220813 | |
007 | ta | |
008 | 131220s2013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97170166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338396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658.827 ▼2 23 |
085 | ▼a 658.827 ▼2 DDCK | |
090 | ▼a 658.827 ▼b 2013z6 | |
110 | ▼a 대학내일20대연구소 | |
245 | 1 0 | ▼a 20대가 당신의 브랜드를 외면하는 이유 : ▼b 2014년을 지배할 20대 트렌드 F·A·C·E·T / ▼d 대학내일20대연구소 저 |
246 | 3 | ▼a 이십대가 당신의 브랜드를 외면하는 이유 |
260 | ▼a 서울 : ▼b HadA : ▼b 늘품플러스, ▼c 2013 | |
300 | ▼a 385 p. : ▼b 삽화, 도표 ; ▼c 22 cm | |
500 | ▼a 집필진: 송혜윤, 이윤경, 정문정, 홍승우, 전아론, 신청, 김효선 | |
500 | ▼a 부록: 숫자로 보는 2013년 대학생 대외활동 & 공모전 | |
500 | ▼a F·A·C·E·T = Flocking habits·Acceptatn eyes·Clip syndrome·Ego mirroring·Tag consumer | |
504 | ▼a 참고문헌: p. 370-373 | |
700 | 1 | ▼a 송혜윤, ▼e 저 |
700 | 1 | ▼a 이윤경, ▼e 저 |
700 | 1 | ▼a 정문정, ▼e 저 |
700 | 1 | ▼a 홍승우, ▼e 저 |
700 | 1 | ▼a 전아론, ▼e 저 |
700 | 1 | ▼a 신청, ▼e 저 |
700 | 1 | ▼a 김효선, ▼e 저 |
910 | 0 | ▼a 대학내일이십대연구소,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8.827 2013z6 | Accession No. 111709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대학내일20대연구소(지은이)
국내 최초, 국내 유일의 20대 전문 연구기관. 2010년부터 20대가 선도하고 확산하는 트렌드를 분석해 매년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해왔다. 대학생 트렌드를 분석한 《캠퍼스 트렌드》(2012)부터 20대 전체로 대상을 확장한 《20대 트렌드 리포트》(2013~2018), 밀레니얼과 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다섯 가지 키워드로 분석한 《트렌드 MZ 2019》《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0》《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1》까지 다양한 설문조사와 사례 수집을 통해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트렌드 키워드’로 정리한 도서들을 출간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트렌드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과 Z세대의 마이크로 트렌드가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는 주류 트렌드로 진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1년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이들이 반응하고 떠들기 시작하는 것들은 결국 연령과 세대를 초월하여 대부분의 사람이 궁금해하고 즐기는 것으로 확산된다. 올해는 밀레니얼과 Z세대의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밀레니얼은 세분화되었고, Z세대는 빠르게 떠오르고 있다. 이번 책에서는 사회 전반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며 트렌드의 주도권을 가져오고 있는 Z세대를 집중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밀레니얼과 Z세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는 물론, 2022년 펼쳐질 사회 전반의 변화까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왜 20대에 주목해야 하는가? 2014 20대 트렌드 짚어보기 [20’s F·A·C·E·T] Flocking Habits - 커뮤니티로 모여들다 Acceptant Eyes - 공유문화의 중심에 서다 Clip Syndrome - 강렬한 핵심만 오려내다 Ego Mirroring - 리얼하게 나와 맞서다 Tag Consumer - 태그에 살고 태그에 죽다 2013 20대 핫 키워드 20대를 사로잡은 브랜드 들여다보기 Life Style Brand 이니스프리 유니클로 핫식스 대명비발디파크 나이키 지산 월드 록페스티벌 Out Campus Brand 현대자동차그룹 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삼성멘토링 삼성 열정樂서 KT&G 상상유니브 LG드림챌린저 현대자동차 영현대 글로벌기자단 삼성전자 아이크리에이터 LG글로벌챌린저 기아자동차 펀키아 디자이너 KB캠퍼스스타 2013년 대학생 대외활동 및 공모전 5대 트렌드 [SNS 속 20대 이야기] 기업, 20대의 SOCIAL & COMMUNICATION 참고문헌 [부록] 숫자로 보는 2013년 대학생 대외활동 & 공모전 집필진 소개/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