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324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779357 | |
005 | 20131224095748 | |
007 | ta | |
008 | 131220s2013 ulk 000c kor | |
020 | ▼a 9788998171094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3343703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6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1.1 ▼2 23 |
085 | ▼a 331.1 ▼2 DDCK | |
090 | ▼a 331.1 ▼b 2013 | |
100 | 1 | ▼a Brynjolfsson, Erik ▼0 AUTH(211009)99361 |
245 | 1 0 | ▼a 기계와의 경쟁 : ▼b 진화하는 기술 사라지는 일자리 인간의 미래는? / ▼d 에릭 브린욜프슨, ▼e 앤드루 매카피 지음 ; ▼e 정지훈, ▼e 류현정 옮김 |
246 | 1 9 | ▼a Race against the machine : ▼b how the digit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innovation, driving productivity, and irreversibly transforming employment and the economy |
260 | ▼a 서울 : ▼b 틔움, ▼c 2013 | |
300 | ▼a 199 p. ; ▼c 22 cm | |
500 | ▼a 부록: (연결지성센터 좌담회) 3년 후 세상을 흔들 인간과 기계와의 대결 | |
650 | 0 | ▼a Information technology ▼x Economic aspects |
650 | 0 | ▼a Labor supply ▼x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on |
650 | 0 | ▼a Technological unemployment |
700 | 1 | ▼a McAfee, Andrew, ▼e 저 ▼0 AUTH(211009)86230 |
700 | 1 | ▼a 정지훈, ▼e 역 ▼0 AUTH(211009)52901 |
700 | 1 | ▼a 류현정, ▼e 역 ▼0 AUTH(211009)12255 |
900 | 1 0 | ▼a 브린욜프슨, 에릭, ▼e 저 |
900 | 1 0 | ▼a 매카피, 앤드루,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11709472 | 도서상태 대출불가(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310480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513202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11709472 | 도서상태 대출불가(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310480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1 2013 | 등록번호 1513202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무인자동차가 단 한차례의 사고도 없이 완벽하게 도로를 주행하고, 컴퓨터가 체스 대회와 퀴즈 쇼에서 인간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며, 로봇이 통역과 번역은 물론 신문 기사까지 작성하는 현실에서 인간은 어떤 기량을 발달시켜야 할 것인가? 기술 발전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인간의 삶을 더욱 팍팍하게 만드는 현실을 우리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
현대 기술의 발전 상황과 이에 따른 사회 문제에 대해 미국 MIT 경영대학원 교수인 저자들은 명쾌한 답변을 내놓았다. 두 명의 저자는 수년간에 걸친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지금의 교육 시스템과 정책이 기술 발전의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여 일자리를 늘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19가지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우리는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대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전망에 대한 통찰, 그리고 실천적 대안을 통해 기술 발전이 인간의 삶을 이롭게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디지털 기술과 고용, 조직의 상호작용에 관한 최고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꼼꼼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지하고 실용적이며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기술 진보는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었는가?
옥스포드 마틴스쿨, 향후 20년 내 미국 직업의 45%가 자동화로 사라질 것으로 전망
무인자동차가 단 한차례의 사고도 없이 완벽하게 도로를 주행하고, 컴퓨터가 체스 대회와 퀴즈 쇼에서 인간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며, 로봇이 통역과 번역은 물론 신문 기사까지 작성하는 현실에서 인간은 어떤 기량을 발달시켜야 할 것인가? 기술 발전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인간의 삶을 더욱 팍팍하게 만드는 현실을 우리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
현대 기술의 발전 상황과 이에 따른 사회 문제에 대해 미국 MIT 경영대학원 교수인 저자들은 명쾌한 답변을 내놓았다. 두 명의 저자는 수년간에 걸친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지금의 교육 시스템과 정책이 기술 발전의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여 일자리를 늘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19가지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우리는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대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전망에 대한 통찰, 그리고 실천적 대안을 통해 기술 발전이 인간의 삶을 이롭게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출판사 리뷰]
로봇은 생산직과 판매직에 이어 전문직 근로자까지도 위협하고 있다.
많은 정책 담당자와 경제학자들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왜 일자리가 늘지 않냐고 질문한다. 이것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그 원인을 기술의 발전으로 보고 있다. 기술 진보의 속도가 인간 역량의 발전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교육 시스템과 정책 역시 기술의 발전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어 현대 시대에 필요한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산업 혁명은 생산직 근로자들을 판매직과 같은 서비스업으로 쫓아 냈고, 정보 혁명은 자동현금입출급기, 무인판매점, 자동응답기 등을 대중화시키면서 판매직 근로자의 일자리를 줄여왔다. 정보 혁명 이후 컴퓨팅 기술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면서, 이제 전문직 일자리까지 넘보고 있다. 무인자동차와 자동 통번역 시스템, 신문 기사 작성, 법률 문서 분석 프로그램 등 인간 고유의 지각 능력과 판단력이 필요한 부분에까지 컴퓨터의 능력이 인간을 추월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버드와 MIT 출신으로, 현재 MIT 경영대학원에 재직 중인 두 명의 저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 제도와 사회 시스템의 개혁을 요구했다. 기업가 정신을 높이고, 기술 관련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며, 관련된 법과 규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만이 기계와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 전하고 있다. 또한 고급 기술 사용자들이 사회적 부를 독점함으로써 더욱 확대되고 있는, 빈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정책적 대안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에릭 브린욜프슨(지은이)
매사추세츠공과대학 슬론경영대학원 교수이자 MIT 디지털비즈니스센터장이다. 〈MIT슬론매니지먼트리뷰〉 편집장과 전미경제연구소 (NBER)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고 MIT에서 관리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하버드대학 교수와 스탠퍼드대학 교수를 거쳐 2001년부터 MIT에서 기술과 전략을 강의하고 있다. 앤드루 맥아피 교수와 함께 ‘세계 최고의 경영 사상가 50인’,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poitico)〉가 뽑은 ‘미국 정책을 변화시키는 인물 50’에 유일하게 동시 선정되었다. 2012년 세계 공통의 현상인 실업과 일자리 부족 문제의 원인으로 기계의 급속한 발전을 지목한 저서 《기계와의 경쟁》으로 세계 지성계의 주목을 받았고, 2009년에는 정보기술이 어떻게 경제를 재편하는지를 분석한 《혁신을 위한 연결 (Wired For Innovation)》이라는 공저서로 호평을 얻었다.
앤드루 맥아피(지은이)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슬론경영대학원 부교수이자 MIT 디지털비즈니스센터 수석연구원이다. MIT에서 기계공학 석사학위를 받고 하버드대학에서 기술 및 운영관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경영대학원 부교수와 하버드대 로스쿨 버크먼인터넷?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9년부터 MIT에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정보경제학 분야에서 통찰력 넘치는 활동을 해온 전문가로. 하버드경영대학원 재직 시절 B2B 전자상거래의 냅스터화(Napsterizaion)라는 개념을 지시했고, 웹 2.0 개념과 플랫폼을 기업 IT에 적용한 ‘엔터프라이즈 2.0’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다. 디지털 기술이 비즈니스, 경제 그리고 사회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관해 주로 연구한다. 저서로 에릭 브린욜프슨 교수와 공동으로 펴낸 《제2의 기계 시대》와 《머신 플랫폼 크라우드》가 있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이코노미스트〉,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정지훈(옮긴이)
미래학자·IT 융합 전문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서 보건정책관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의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다음세대재단 이사, DGIST 겸직교수, 모두의연구소 최고비전책임자를 맡고 있다. ≪거의 모든 IT의 역사≫,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세븐테크≫(공저) 등을 썼다.
류현정(옮긴이)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광고대행사 ‘LG애드’ 마케팅팀, ‘전자신문’을 거쳐 현재 ‘조선경제i’의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유독 세상의 소통 방식에 관심이 많은 그녀는 온오프라인, 소셜 미디어와 콘퍼런스를 접목한 새로운 미디어 실험을 진행 중이다. 경쟁에 매몰되지 않고 더불어 가는 삶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이며 오랜 시간 아름답게 살아가는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주요 저서로는 《구글 vs 네이버》 《여성임원으로 산다는 것》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해외 미디어 리뷰 해제: 기술진보는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었는가? 제1장 기술은 고용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19 지금의 경제는 사람들에게 더 이상 일자리를 주지 못한다 일자리는 도대체 어디로 갔는가? 우리의 목표: 기술을 토론의 대상으로 만들어라 제2장 체스판 후반부에서의 인간성과 기술 = 39 컴퓨터가 경주에서 앞서다 무어의 법칙과 체스판의 후반부 경제의 계산: 범용기술의 경제적 파괴력 아직 인간이 앞서고 있는 분야 제3장 창조적 파괴: 기술 발전을 가속하는 경제와 사라지는 일자리 = 67 생산성 증대 침체에 빠진 중간 가구의 수입 기술은 어떻게 일자리를 파괴할 수 있는가 불평등은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앞을 내다보라 몇 가지 결론 제4장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처방과 추천 = 109 구조적 혁신을 촉진하라 인적 자본 대한 투자를 늘려라 조직혁신과 인적 자본 투자의 한계점 실천을 위한 19가지 의제 제5장 디지털 프론티어 : 전 세계가 향유하는 이익 = 139 역자 후기 댐을 높일 것인가, 배를 준비할 것인가 인류와 기계의 경주 결과는 양극화로 나타났다 부록: 연결지성센터 좌담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