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아도르노의 음악미학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Paddison, Max 최유준, 1969-, 역
Title Statement
아도르노의 음악미학 / 맥스 패디슨 지음 ; 최유준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작은이야기,   2010  
Physical Medium
viii, 528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Adorno's aesthetics of music
ISBN
9788992132121
General Note
부록: 베르크의 소나타 작품번호 1, 그리고 이 작품이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맺는 관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76-513)와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usic -- Philosophy and aesthetics
주제명(개인명)
Adorno, Theodor W.,   1903-1969  
000 01006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79058
005 20131219142033
007 ta
008 131218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92132121 ▼g 93670
035 ▼a (KERIS)BIB000012020572
040 ▼a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81.1/7/092 ▼2 23
085 ▼a 781.17092 ▼2 DDCK
090 ▼a 781.17092 ▼b 2010
100 1 ▼a Paddison, Max ▼0 AUTH(211009)137423
245 1 0 ▼a 아도르노의 음악미학 / ▼d 맥스 패디슨 지음 ; ▼e 최유준 옮김
246 1 9 ▼a Adorno's aesthetics of music
260 ▼a 서울 : ▼b 작은이야기, ▼c 2010
300 ▼a viii, 528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베르크의 소나타 작품번호 1, 그리고 이 작품이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맺는 관계
504 ▼a 참고문헌(p. 476-513)와 색인수록
600 1 0 ▼a Adorno, Theodor W., ▼d 1903-1969
650 0 ▼a Music ▼x Philosophy and aesthetics
700 1 ▼a 최유준, ▼d 1969-, ▼e▼0 AUTH(211009)102510
900 1 0 ▼a 패디슨, 맥스,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17092 2010 Accession No. 11170919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17092 2010 Accession No. 15134839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17092 2010 Accession No. 11170919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17092 2010 Accession No. 15134839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맥스 패디슨(지은이)

더럼 대학교의 음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맨체스터 왕립 음악학교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엑세터 대학에서 음악학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철학과 사회학을 공부했으며 엑세터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럼 대학교에 부임하기 전 다팅턴 예술대학과 엑세터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런던의 여러 연주단의 일원으로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지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의 강의 분야는 미학, 19세기와 20세기 음악, 현대음악과 대중음악에 걸쳐 있다. 현재 더럼 대학교 부설 현대음악연구소의 부소장을 맡고 있으며, 최근 아도르노의 '연주 이론'에 대한 프로젝트를 완성 중이다. 비판이론과 아도르노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책과 Adorno, Modernism and Mass Culture (London, 1996, rev. ed. 2004)가 그의 관심을 대표한다. 그는 Contemporaine: Perspectives theoriques et philosophiques (Liege, 2001), Order and Disorder: Music-Theoretical Strategies in Twentieth-Century Music, with Jonathan Dunsby, Joseph N. Straus, et al. (Leuven, 2004)를 비롯하여 많은 책에 편집자와 공저자로 참여했다.

최유준(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사) 졸업 이후 서울대(석사)와 동아대(박사)에서 음악미학과 음악학, 문화 연구를 전공했다. 현재 전남대 호남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남북한 공연예술의 대화』(공저, 시공사, 2003), 『예술 음악과 대중 음악, 그 허구적 이분법을 넘어서』(책세상, 2004), 『음악문화와 감성정치: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작은이야기, 2011), 『우리 시대의 슬픔』(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우리 시대의 분노』(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우리 시대의 사랑』(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대중의 음악과 공감의 그늘』(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크리스토퍼 스몰, 음악하기』(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감성적 근대와 한국인의 정체성』(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18)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도르노의 음악미학』(맥스 패디슨, 세종출판사, 2003 / 작은이야기, 2010), 『뮤지킹 음악하기: 지금 음악회장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크리스토퍼 스몰, 공역, 효형출판, 2004), 『음악은 사회적이다』(에드워드 사이드, 공역, 이다미디어, 2008), 『음악 듣기와 쓰기: 음악인을 위한 청음ㆍ채보의 모든 것』(론 고로우, 예솔, 2008), 『비서구 예술의 대중음악: 입문적 고찰』(피터 매뉴얼, 고역, 아카넷, 2012), 『지식인의 표상: 지식인이란 누구인가』(에드워드 사이드, 마티, 2012)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감사의 말 = 1
이끄는 글
 1. 역사적 맥락 속의 아도르노 = 9
 2. 아도르노 읽기 = 23
 3. 방법론에 대한 고찰 = 28
1장 구도: 비판적 방법론으로
 1. 음악에 관한 저작들: 주제적 윤곽 = 37
 2. 역사, 자연, 제2의 자연: 루카치, 벤야민과의 논쟁 = 48
 3. 형식의 문제: 버르토크, 힌데미트, 스트라빈스키, 그리고 제 2 빈 악파 = 59
 4. 비판적 방법론으로: 해석의 여러 층위들 = 82
 결론 = 99
2장 음악재료 이론의 전개
 1. 예술재료에 대한 여러 이론들: 아도르노의 선행자들과 동시대인들 = 103
 2. 아도르노-크셰네크 논쟁 = 126
 3. 음악의 사회적 상황에 관하여 = 149
 결론 = 162
3장 매개의 문제
 1. 헤겔: 매개와 변증법적인 것 = 165
 2. 아도르노의 마르크스주의적 모델: 음악의 사회적 매개 = 182
 3. 프로이트: 예술과 승화 = 192
 4. 막스 베버 이론의 적용: 합리성과 미메시스 = 202
 결론 = 219
4장 재료적 형식론
 1. 음악재료의 내재적 변증법 = 223
 2. 내재적 분석: 베르크, 소나타 작품번호 1 = 235
 3. 아도르노의 베르크 해석: 비판과 주해 = 249
 4. 재료적 음악형식론에 대한 제안 = 258
 결론 = 270
5장 사회적 내용과 사회적 기능
 1. 음악재료의 사회적 변증법 = 275
 2. 음악적 생산 = 278
 3. 음악적 재생산(Ⅰ): 연주 = 284
 4. 음악적 재생산(Ⅱ): 분배 = 293
 5. 음악적 소비 = 305
 결론 = 318
6장 음악재료의 역사적 변증법
 1. 아도르노의 음악사 철학 = 322
 2. 바흐와 갈랑트 양식 = 332
 3. 베토벤과 베를리오즈 = 342
 4. 바그너와 브람스 = 357
 5. 드뷔시와 말러 = 377
 결론 = 385
7장 음악재료의 해체
 1. 신음악의 철학 속에 있는 여러 쟁점들 = 390
 2. 현대의 퇴조 = 401
 3. 맺으며 = 480
부록 = 413
주석 = 421
문헌목록 = 470
인명 찾아보기 = 514
주제 찾아보기 = 518
옮긴이 후기 = 5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