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용관
서명 / 저자사항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 이용관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형태사항
viii, 315 p. : 도표 ; 23 cm
ISBN
979113040035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12-315
000 0076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78675
005 20131217205811
007 ta
008 131217s2013 ulkd b 000c kor
020 ▼a 9791130400358 ▼g 93680
035 ▼a (KERIS)BIB000013330471
040 ▼a 221016 ▼c 221016 ▼d 221016 ▼d 211009
082 0 4 ▼a 700.68 ▼2 23
085 ▼a 700.68 ▼2 DDCK
090 ▼a 700.68 ▼b 2013z2
100 1 ▼a 이용관
245 1 0 ▼a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 ▼d 이용관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3
300 ▼a viii, 315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2-315
536 ▼a 이 책은 서울문화재단의 '2011년 예술연구서적발간 지원사업' 선정 저서로,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68 2013z2 등록번호 1212276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13z2 등록번호 1513458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68 2013z2 등록번호 1212276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13z2 등록번호 1513458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예술경영과 관객개발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빈 객석을 채우고 공연예술 수준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관객개발에서 그 답을 찾는다. 먼저 1부에서는 국내 예술경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관객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관객은 누구인가’라는 화두 아래 공연예술과 관객의 관계를 정리한다.

2부에서는 미국의 관객개발 역사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어떤 계기로 관객개발 시스템이 개발되었는지, 그 성과와 한계, 대안은 무엇이었는지 알아본다. 3부에서는 관객개발 시스템을 국내 환경에 맞게 정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극장 경영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와 리더십도 함께 짚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용관(지은이)

(재)부산문화회관 대표이자 부산오페라하우스 설립 PM이다. 대전예술의전당 관장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장을 지냈다. 부산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후 ≪중앙일보≫에 입사했다. 볼쇼이발레, 뉴욕필하모닉, 암스테르담 콘서트 헤보우 등 해외 유수 예술단체의 초청과 뮤지컬 제작 및 호암아트홀 운영에 30대를 보냈다. 단국대학교 대학원(예술경영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공연예술학 박사)에서 수학하며 공연장과 예술단체의 경영과 관객 개발, 예술교육 등을 연구했다. 부천문화재단 전문위원과 안양문화예술회관 관장 시절,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시즌 프로그래밍과 관객 개발을 위한 예술교육 확대로 유료객석점유율 대폭 상승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대전예술의전당에서도 시즌 방식을 도입해 전국 공공 극장 중 최상위의 유료객석점유율을 계속 유지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극장 축제로 코미디아츠페스티벌(CoAFe)을 신설하기도 했다. 아시아태평양공연예술센터협의회(AAPPAC) 이사로 이 기구의 총회를 대전에서 열기도 했다. (사)한국예술경영연구소 소장으로 예술경영과 문화정책 연구에 두루 참여했다. 국립중앙극장과 아시아문화전당을 비롯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공연장과 국립예술단체, 국고지원 예술축제 등의 평가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서울, 대전, 세종, 충남 등의 문화재단 심의위원, 세종문화회관과 국립국악원, 충남문화재단 등의 운영자문위원도 역임했다. 경희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예술경영과 문화정책을 가르쳐 왔다. 저서로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2013), 『한국의 예술소비자』(공저, 2008), 공역서로 『극장경영: 공연예술 제작과 유통』(2011)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글 = ⅴ
1부 예술경영과 관객  
 01 객석은 왜 늘 비나? 
  우리 예술경영의 방식 = 3
  취약한 관객 기반 = 11
 02 관객은 누구인가? 
  예술경영자의 소원 = 29
  관객은 누구인가 = 30
  관객개발이 쉽지 않은 이유 = 40
2부 미국의 관객개발 역사 
 03 미국 관객개발의 시작 
  사회, 경제, 문화 환경의 변화 = 51
  예술의 팽창과 비영리 예술단체의 시즌 프로그래밍 = 52
  전근대적 운영과 관객의 부재 = 56
  업계의 자성과 문화민주주의 = 57
  마케팅 기법 도입과 관객 기반의 구축 = 59
  주변 환경의 도움 = 59
 04 항구적 관객 기반 구축을 위하여 
  DSP: 시즌티켓 예약자 개발 전략 = 66
  DSP 사례 = 74
  시즌 공연 마케팅 방식 = 79
  DSP의 성과 = 81
 05 시행착오와 DSP의 대안들 
  관객의 정체 = 89
  DSP의 근본적인 한계들 = 95
  예술과 마케팅의 관계 = 98
  DSP의 수용과 비판 = 101
  오늘날의 양상 = 113
 06 새로운 방식을 찾아서
  새로운 전략: 예술교육 = 119 
  예술교육의 방식 = 128
 07 예술교육의 효과들 
  NEA 등의 연구 결과 = 151
  거스리극단의 예술교육 성과 = 161
3부 관객 기반 구축 전략 
 08 중장기 경영 계획 
  중장기 경영 계획은 왜 필요한가 = 169
  예술기관의 전략적 경영 = 171
  전략적 경영에서 고려할 것들 = 173
 09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 199
  프로그래밍의 방식 = 200
 10 마케팅 
  예술 마케팅의 근본적인 고민 = 231 
  예술기관 프로그램 마케팅의 관점 = 233
  마케팅의 기본 자원과 수단 = 234
  시즌 프로그램 마케팅 = 244
 11 예술교육 
  관객 분류와 관객개발의 방식 = 255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 = 262
 12 관객 구조 개선을 통한 충성도 제고 방식 
  분석 항목 = 268
  조사 결과 = 271
  비교 요약 = 282
  서울시향의 운영 혁신 = 283
  관람객 구조 개선을 통한 관객개발 방식 = 289
  논의와 제한점 = 293
 13 튼튼한 관객 기반 구축을 위하여: 예술기관의 리더십
  예술의, 예술기관의 위기 = 294 
  예술 팽창 이후 양국의 대응과 결과 = 295
  예술기관의 위기와 리더십 = 296
지은이 후기 = 309
참고문헌 = 31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