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우형진, 저 이화행, 저 박성복, 저 김동규, 저 최믿음, 저 김효은, 저 금현수, 저 정은정, 저 박성순, 저 이정기, 편
Title Statement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 / 이정기 [외] 지음 ; 이정기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Physical Medium
xi, 464 p. ; 23 cm
ISBN
9791130400396
General Note
공저자: 우형진, 이화행, 박성복, 김동규, 최믿음, 김효은, 금현수, 정은정, 박성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33-464
000 01022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78356
005 20131216210325
007 ta
008 131203s2013 ulk b 000c kor
020 ▼a 9791130400396 ▼g 93300
035 ▼a (KERIS)BIB000013332234
040 ▼a 211062 ▼c 211062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02.201 ▼2 23
085 ▼a 302.201 ▼2 DDCK
090 ▼a 302.201 ▼b 2013z1
245 0 0 ▼a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 / ▼d 이정기 [외] 지음 ; ▼e 이정기 엮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3
300 ▼a xi, 464 p. ; ▼c 23 cm
500 ▼a 공저자: 우형진, 이화행, 박성복, 김동규, 최믿음, 김효은, 금현수, 정은정, 박성순
504 ▼a 참고문헌: p. 433-464
700 1 ▼a 우형진, ▼e▼0 AUTH(211009)40306
700 1 ▼a 이화행, ▼e▼0 AUTH(211009)4440
700 1 ▼a 박성복, ▼e▼0 AUTH(211009)84264
700 1 ▼a 김동규, ▼e▼0 AUTH(211009)76044
700 1 ▼a 최믿음, ▼e▼0 AUTH(211009)141511
700 1 ▼a 김효은, ▼e▼0 AUTH(211009)92377
700 1 ▼a 금현수, ▼e▼0 AUTH(211009)4595
700 1 ▼a 정은정, ▼e▼0 AUTH(211009)63261
700 1 ▼a 박성순, ▼e▼0 AUTH(211009)14337
700 1 ▼a 이정기, ▼e▼0 AUTH(211009)13513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01 2013z1 Accession No. 1117088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계획행동이론이란 무엇인가? 개인의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 통제 변인으로 인간의 사회문화적 행동을 예측하는 이론이다. 커뮤니케이션과는 어떤 관계인가? 미디어 수용자의 이용 행동을 분석·예상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론의 효용성은? 미디어 이용 행태와 여러 일탈행위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다. 연구자 10명이 계획행동이론의 핵심 개념과 방법론, 분석 사례를 정리했다.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동규(지은이)

동명대학교 교수. 한양대학교에서 광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젊은 시절 카피라이터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카피라이팅론』, 『여성 이야기 주머니』(공저), 『10명의 천재 카피라이터』, 『미디어 사회』(공저), 『광고카피의 탄생: 카피라이터와 그들의 무기』,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공저) 같은 책을 썼다.

우형진(지은이)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다.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 of Georgia)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에서 조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시카고 로욜라대학교 방문교수(2013)를 했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수원지검 안산지청 형사사건공개심의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규제혁신위원,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언론정보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장애와 미디어>(2020), <계획행동이론의 이해>(2015), <인터넷보안군>(2005) 등이 있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CSR 활동, 리스크 관리, 프로듀싱 능력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통합 브랜드 자산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M, JYP, YG, 하이브를 중심으로”(2021), “게임 기업 CSR 활동, 게임 프로그램 품질, 브랜드 자산에 대한 이용자 평가가 게임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넥슨을 중심으로”(2021), “국내 언론기업의 CSR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2018) 등 40편 이상의 논문을 KCI 등재학술지, SSCI급 저널에 게재했다.

이화행(지은이)

동명대학교 방송영상학과 교수다.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전공으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의 이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을 역임했고,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부산문화방송 시청자위원, 동명대학교 기획처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독일의 인터넷 법제>(2007) 외 다수가 있다. “한국과 일본 수용자의 방송콘텐츠 수용 특성과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2009), “포털의 선거보도와 규제”(2010), “방송뉴스의 과학보도 현황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2012), “TV뉴스의 제19대 총선보도 분석”(201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뉴미디어, 정치 커뮤니케이션, 방송 뉴스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이정기(지은이)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의교수,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 책임연구원(연구교수)을 거쳐 2018년부터 동명대학교 미디어대학 광고PR학과에 근무하고 있다. 현재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서치’, ‘수용자와 미디어 전략’, ‘연구방법론’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표현의 자유와 미디어 효과, 교육커뮤니케이션이다. 그동안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 원,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연구본부 자문위원, 부산국제광고제 자문위원,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언론법학회 기획이사, 한국광고홍 보학회 지역이사, 《한국방송학보》, 《방송통신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2022년 7월 현재,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공저)》(2011), 《온라인 뉴스 유료화 전략》(2013),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 1》(2016),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 2》(2020), 《위축효과》(2021), 《대통령 선거와 유권자의 알 권리》(2021) 등 22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121편의 논문을 KCI, SCI, SSCI, SCOPUS 등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했다.

박성복(지은이)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라디오/TV/필름 석사학위를, 템플대학교에서 매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친밀감, 공동 공간감에 관한 연구”(2007), “온라인 대인관계의 정서적 애착 emotional attachment 형성에 관한 연구”(2007), “방송콘텐츠로서의 UCC 가능성 탐색”(2011)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가상공동체,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콘텐츠가 주요 연구 분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미디어 이용과 인간 행동의 예측에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필요성 = ⅴ  
1부 계획행동이론이란?  
 01. 계획행동이론의 정의와 발전 = 3
 02. 계획행동이론의 최근 연구 동향 = 22
 03. 계획행동이론의 측정 = 36
2부 일탈 행동의 이해 1 : 언어폭력  
 04. 사람들은 왜 인터넷에서 욕을 하는가? = 67
 05. 청소년들은 왜 비속어를 사용하는가? = 97
3부 일탈 행동의 이해 2 : 죽음  
 06. 대학생들에게 베르테르 효과는 존재하는가? = 131
 07. 20대의 낙태ㆍ다자녀 출산 의도는 왜 발생하는가? = 168
4부 방송 수용자 행동의 이해 1 : 수용자 운동  
 08. 20∼30대는 왜 KBS TV 수신료 인상을 거부하는가? = 203
 09. 20∼30대는 왜 MBC 노동조합의 파업을 지지하는가? = 236
5부 방송 수용자 행동의 이해 2 : 미디어 수용자들의 지불 행동  
 10. 여성들은 왜 친환경 화장품을 구매하는가? = 269
 11. 사람들은 왜 기부를 하는가? = 295
6부 신문 수용자 행동의 이해 : 유료 뉴스 콘텐츠 이용 행동  
 12. 대학생들의 종합일간지 정기구독과 재구독 행동의 예측 = 327
 13. 대학생들의 유료 온라인 뉴스 콘텐츠 이용 행동의 예측 = 364
 14.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유료 온ㆍ오프라인 뉴스 콘텐츠 이용 행동의 예측 = 395
참고문헌 = 43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
Bail, Christopher (2023)
Bernstein, William J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Shifman, Limo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