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9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78230 | |
005 | 20131216104032 | |
007 | ta | |
008 | 131213s2013 ulkadj b 000c kor | |
020 | ▼a 9788975882616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335268 | |
040 | ▼a 241047 ▼d 211009 | |
082 | 0 4 | ▼a 341.2422 ▼2 23 |
085 | ▼a 341.2422 ▼2 DDCK | |
090 | ▼a 341.2422 ▼b 2013z1 | |
100 | 1 | ▼a 송병준 ▼0 AUTH(211009)83405 |
245 | 1 0 | ▼a 유럽 연합의 거버넌스와 공동정책 / ▼d 송병준 저 |
260 | ▼a 서울 : ▼b 높이깊이, ▼c 2013 | |
300 | ▼a 543 p. : ▼b 삽화, 도표, 연표 ; ▼c 23 cm | |
500 | ▼a 부록: 주요 용어의 한국어 역, 유럽연합 설립조약 및 유럽연합 기본권헌장, 유럽연합 주요 통계 | |
504 | ▼a 참고문헌: p. 499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1.2422 2013z1 | 등록번호 1117089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 책은 거버넌스 및 정책에 대하여 반드시 이해가 필요한 내용만 압축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공동정책 이외에 쉥겐, 유럽회의론 및 터키의 유럽연합 가입 등 최근의 주요 이슈 등도 되도록 빠짐없이 다루었다. 다변화된 여러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공동정책으로 묶어 각 장을 구성하였다.
본 책은 거버넌스 및 정책에 대하여 반드시 이해가 필요한 내용만 압축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공동정책 이외에 쉥겐, 유럽회의론 및 터키의 유럽연합 가입 등 최근의 주요 이슈 등도 되도록 빠짐없이 다루었다. 최근에 유럽연합 연구가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여, 통상 및 유로존 이외에도 ODA, 이민, 문화, 교육 등으로 확장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사항도 기술하였다. 다만 언급한 이슈들은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구조를 볼 때 경제통화동맹, 농업 및 통상 등과 같이 초국가화된 단일의 공동정책과 달리 엄밀한 의미에서 회원국과 유럽연합간 수평적 조정을 통한 일종의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공동농업정책과 교육정책은 정책의 범위와 실행권한 및 영향에 있어 수평적으로 배치할 대상이 아니지만, 본 책에서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변화된 여러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공동정책으로 묶어 각 장을 구성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 4 일러두기 = 15 약어 = 16 유럽연합, EFTA 및 (준)가입후보국 약어코드 = 20 제1부 유럽연합의 발전과 운영 제1장 유럽연합의 발전(1950-2013) = 22 (1) 유럽경제공동체의 성립 = 22 (2) 유럽연합의 발전 = 29 (3) 통합의 심화 = 35 제2장 유럽연합의 확대(1973-2013) = 42 (1) 서유럽 국가의 가입 = 42 (2) 중동부유럽 국가의 가입 = 48 (3) 향후 확대계획 = 55 제3장 유럽연합의 기구 Ⅰ = 61 (1) 기구 구성 = 61 (2) 유럽위원회 = 66 (3) 이사회 = 74 제4장 유럽연합의 기구 Ⅱ = 87 (1) 유럽의회 = 87 (2) 유럽연합사법재판소 = 94 (3) 기타기구(자문, 독립 및 외부기구) = 101 제5장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Ⅰ = 112 (1) 조약과 2차 입법 = 112 (2) 제도적 구조 = 121 (3) 행정시스템 = 131 제6장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Ⅱ = 138 (1) 정책결정 = 138 (2) 예산의 조달과 실행 = 150 (3) 공동정책의 속성 = 157 제7장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Ⅲ = 166 (1) 유럽관료 = 166 (2) 유럽시민과 유럽시민권 = 176 (3) 이익집단 = 185 제2부 유럽연합의 공동정책과 회원국간 협력 제8장 시장통합 = 196 (1) 단일시장 = 196 (2) 경쟁정책 = 211 (3) 공동농업정책 = 220 제9장 공동통상정책 = 233 (1) 공동통상정책 = 233 (2) 경제통화동맹 = 249 (3) 환경정책 = 262 제10장 산업정책 = 281 (1) 에너지정책 = 281 (2) 중소기업정책 = 318 제11장 경제사회정책 = 331 (1) 결속정책 = 331 (2) 노동고용정책 = 347 (3) 교육협력 = 358 제12장 내무사법협력 = 375 (1) 내무사법협력과 쉥겐 = 375 (2) 자유안전사법지대 = 391 (3) 이민망명정책 = 409 제13장 대외관계 = 423 (1) 외교안보 = 423 (2) 안보방위 = 437 (3) 대외정책 = 450 제14장 유럽연합의 과제 = 467 (1) 리스본 전략 = 467 (2) 터키의 유럽연합 가입 = 477 (3) 유럽회의론과 영국 = 490 주요 참고문헌(단행본) = 499 주요 용어의 한국어 역 = 500 유럽연합 연표 = 507 유럽연합 설립조약 및 유럽연합 기본권헌장 = 515 유럽연합 주요 통계 =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