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디지털 문학의 정체성을 탐색하다
[기본논의] 다매체 환경과 문학의 새로운 정체성 = 17
1. 디지털과 다매체 환경 = 17
2. 디지털 시대의 문학의 정체성 = 21
3. 디지털 시대의 문학 연구 = 27
4. 마무리 = 38
[구체논의] 문학의 새로운 몸, 문학복합체 = 41
1. 문학교육과 미디어 교육 = 41
2.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문학복합체" = 44
3. 문학/미디어 교육의 대전환 = 54
4. 현재의 문학과 미래의 문학 사이에서 = 61
제1부 미주 = 63
제2부 디지털 문학의 실제를 탐험하다
[기본논의] 디지털서사의 구성과 시공간의 형식 = 69
1. 이야기 공간으로서의 인터넷 = 69
2. 하이퍼서사의 존재 방식 = 72
3. 하이퍼서사의 서사 구성 방식 = 83
4. 하이퍼서사의 시간 형식 = 97
5. 하이퍼서사의 공간 형식 = 109
6. 메타렙스와 서술자 = 115
7. 하이퍼서사 창작에 대한 기대 = 118
[보충논의] 다중서술과 영혼서술자 = 121
1. 여러 명의 서술자 : 다중서술의 양상 = 121
2. 죽은 자에 의한 서술 : 영혼서술자 = 136
3. 서술자에 대한 지속적 탐색 필요 = 145
제2부 미주 = 147
제3부 문학텍스트의 연구와 활용, 디지털로 확장하다
[기본논의] 소설 지명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 153
1. 문학지리 연구의 문제점 = 153
2. 지명정보의 정의와 구분 = 157
3. DGDN의 개념적 설계 = 161
4. 남은 문제들 = 174
[예시논의] 개화기소설의 지명정보에 새겨진 의미 = 177
1. 소설의 배경과 외국지명 = 177
2. 외국 혹은 타국, 그리고 인식의 지형도 = 182
3. 서구 국가들에 대한 인식의 편차 = 189
4. DGDN 구축의 필요 = 199
제3부 미주 = 201
제4부 공동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찾다
[기본논의] 생애사 스토리텔링과 지역문화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 207
1. 들어가는 말 = 207
2. 공동체 스토리텔링과 개인생애사 = 209
3. 공동체 스토리텔링의 사례 : 이야기북 프로젝트 = 216
4. 이야기북 프로젝트의 성과와 과제 = 222
5. 문학의 확장을 위한 시도 = 227
[상세논의] 생애사 스토리텔링의 일반적 구조 = 231
1. 구술생애사 = 231
2. 연구 대상 자료의 소개 = 233
3. 스토리 텔링의 분절과 결합 양상 = 235
4. 구술생애사 스토리텔링의 의의 = 252
[첨부파일] 지역문화공동체와 스토리텔링의 힘 = 255
[첨부파일] 지역 문화축제, 문화공동체 vs. 경제활성화 = 261
제4부 미주 = 264
제5부 문학 혹은 인문학, 문화콘텐츠를 만나다
[기본논의] 인문학적 문화콘텐츠와 창의성 = 269
1. 들어가는 말 = 269
2. 인문학적 문화콘텐츠와 문화상품 = 271
3. 창의성과 문화콘텐츠산업 체계 모델 = 276
4. 문화콘텐츠 3각체계 = 285
5. 마무리 = 290
[확장논의] 문학 활용 테마파크의 전략과 기획 = 291
1. 문학 활용 테마파크 전략 = 292
2. 황순원의〈소나기〉와 테마 기획 = 302
3. 마무리 = 313
[사례논의] 인문자원의 지식정보화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315
1. 들어가는 말 = 315
2. 향토문화 편찬의 전통과 현재적 필요성 = 317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프로젝트의 내용 = 320
4. 프로젝트의 초기 결과물 = 331
5.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지향점 = 338
[첨부파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사업계획(안) 심의안건 문서 = 341
제5부 미주 = 350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