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성인교육의 의미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indeman, Eduard, 1885-1953 강대중, 姜大仲, 1971-, 역 김동진, 역
Title Statement
성인교육의 의미 / 에두아르드 C. 린드만 지음 ; 강대중, 김동진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이시습,   2013  
Physical Medium
ix, 142 p. ; 23 cm
Varied Title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ISBN
9791130421162
General Note
"린드만 연보" 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120-121)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Adult education --United State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77895
005 20220425153507
007 ta
008 131211s2013 ulk b 001c kor
020 ▼a 9791130421162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4/.973 ▼2 23
085 ▼a 374.973 ▼2 DDCK
090 ▼a 374.973 ▼b 2013
100 1 ▼a Lindeman, Eduard, ▼d 1885-1953 ▼0 AUTH(211009)86228
245 1 0 ▼a 성인교육의 의미 / ▼d 에두아르드 C. 린드만 지음 ; ▼e 강대중, ▼e 김동진 옮김
246 1 9 ▼a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260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13
300 ▼a ix, 142 p. ; ▼c 23 cm
500 ▼a "린드만 연보" 수록
504 ▼a 참고문헌(p. 120-121)과 색인수록
650 0 ▼a Adult education ▼z United States
700 1 ▼a 강대중, ▼g 姜大仲, ▼d 1971-, ▼e▼0 AUTH(211009)85559
700 1 ▼a 김동진, ▼e▼0 AUTH(211009)112582
900 1 0 ▼a 린드만, 에두아르드 C.,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973 2013 Accession No. 1117085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성인교육을 광대하게 사유한 최초의 학자인 에두아르드 C. 린드만이 1926년에 쓴 책으로, 그간 실천으로만 존재하던 성인교육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최초의 책이다. 성인교육을 삶, 생활, 생애의 관점에서 파악하며, 성인교육은 성인이라는 대상에 국한된 교육이 아니라 성인의 원숙함에 도달하기 위한 교육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지성, 힘과 권력, 자기표현, 자유, 창조, 예술 감상 등 인간이 지향하는 여러 목표와 성인교육의 관계를 밝히고, 그 속에 담긴 성인교육의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이와 함께 성인교육의 기본 원칙과 방법을 구체적이고 대담하게 논의한다.

** <학이시습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들을 위해 큰글씨로 만든 책입니다.

에두아르드 C. 린드만이 1926년에 쓴 책이다. 그간 실천으로만 존재하던 성인교육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최초의 책이다. 성인교육을 삶, 생활, 생애의 관점에서 파악하며, 성인교육은 성인이라는 대상에 국한된 교육이 아니라 성인의 원숙함에 도달하기 위한 교육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지성, 힘과 권력, 자기표현, 자유, 창조, 예술 감상 등 인간이 지향하는 여러 목표와 성인교육의 관계를 밝히고, 그 속에 담긴 성인교육의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이와 함께 성인교육의 기본 원칙과 방법을 구체적이고 대담하게 논의한다.

평생학습 시대에 린드만이 던지는 ‘성인교육’의 화두

린드만은 성인교육을 광대하게 사유한 최초의 학자다. <성인교육의 의미>는 1926년에 처음 출간된 이후 오늘날까지 성인교육 영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 중 하나로 평가된다. 놀스의 안드라고지뿐 아니라, 파울로 프레이리, 전환학습이론을 정립한 잭 메지로 등 성인학습 이론의 비판적 전통의 기원을 린드만에서 찾을 수 있다.
린드만이 말하는 성인교육은 삶과 함께하는 것이다. ‘학교’와 ‘제도’라는 벽을 넘어 일상의 경험이 가장 큰 가치를 지닌다. 성인교육은 우리의 힘을 확장하고, 완전한 자기표현과 창조를 이끌며, 자유를 지향하게 한다. 또한 즐거움을 조명하고, 인격을 통합하며, 역동적인 유대감으로 이끌어 내는 기제이자 희망이다. 린드만은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는 것, 그리고 품성의 성장이 성인교육의 목표이자 가치라고 말한다.
이 책은 삶, 생활, 인생, 평생으로 번역되는 ‘life’와 교육의 관계를 논한다. 평생과 교육의 관계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것이 평생교육이다. 삶에서 길어 올린 교육, 삶을 길러 내는 교육으로 평생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린드만의 논의가 함의하는 바가 크다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이 우리의 삶에 항상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책에서 분명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인생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삶이 무엇을 목적으로 해야 하는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1장은 학습자가 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논의한다. 진정한 배움의 삶을 다시 시작하고 그것에 도전하려면 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개념, 새로운 동기,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주장한다. 2장은 지성을 믿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고찰한다. 지성이 성인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것을 어떻게 추구하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심도 있게 밝힌다. 3장은 힘과 권력의 사용에 관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제시한다. 인간이 지향하는 힘과 권력의 중요성, 그것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에 있어 성인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4장은 자기표현의 필요성에 있어 성인교육의 의미를 논의한다. 진정한 자기표현이 성인교육을 통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힌다. 5장은 자유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고찰한다. 인간은 어떠한 자유를 추구해야 하는지, 성인교육은 그러한 자유의 추구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제시한다. 6장은 창조하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찾는다. 창조의 순간, 창조의 에너지가 성인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기술한다. 7장은 예술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를 논의한다. 예술, 감상, 즐거움을 발견하고 이끌어가는 것의 의미를 성인교육에서 찾는다. 8장은 전문화 시대에 성인교육이 갖는 의미를 제시한다. 전문화 시대와 성인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성인교육이 전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주는 의미를 논의한다. 9장은 공동 기획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성인교육의 의미를 제시한다. 개인적 차원을 넘어 집단적인 삶과 공동 작업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며, 그것이 성인교육 차원에서 함의하는 것을 찾는다. 10장은 방법의 관점에서 성인교육의 의미를 고찰한다. 경험, 교과목, 토론 등 성인교육을 위한 주요 방법을 논의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에두아르드 C. 린드만(지은이)

1885년 5월 9일 미국 미시간주 세인트 클레어에서 독일계-덴마크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부터 마구간 청소부, 묘목원 일꾼, 묘지 인부, 벽돌공장 노동자, 식료품 배달부 등으로 일했고, 디트로이트의 조선소와 공장에서도 일했다. 22세에 미시간농업대학(현 미시간주립대학교)에 진학했는데, 거기서 많은 지적인 자극을 받았다. 형식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기 때문에 ‘1학년 준비반’을 거쳐서 정규과정에 들어갔다. 대학 졸업 후 미시간주의 YMCA 등에서 일하다가 1918년 시카고의 YMCA대학에서 강사 생활을 했다. 이후 1919년 노스캐롤리나여자대학의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했고, 1924년에는 뉴욕사회복지대학(현 콜럼비아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1950년까지 재직했다. 1953년 4월 13일 뉴욕에서 요독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강대중(옮긴이)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강원도 원주 출생. 서울대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조지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일보> 기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정책보좌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선임전문원으로 일했다.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교육부 제3기 정책자문위원회 평생직업교육혁신분과위원장,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미래교육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학부모학회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현재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이다. 저서로는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공저, 2020), 『평생교육론』(공저, 2019),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2016),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단독, 2015) 등이 있고, 「학습하는 부모: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재구성」(2020),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동진(옮긴이)

페페연구소 대표. 평생교육학을 전공했고 여성학 공부를 함께 했다. 옮긴 책으로 《벨 훅스, 당신과 나의 공동체》, 《페미니즘: 교차하는 관점들》, 함께 옮긴 책으로 《성인교육의 의미》, 함께 쓴 책으로 《N번방 이후, 교육을 말하다》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ⅴ
01 학습자가 될 필요가 있는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 = 1
02 지성을 믿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 = 11
03 힘과 권력의 사용과 관련된 성인교육의 의미 = 19
04 자기표현의 필요라는 관점에서 본 성인교육의 의미 = 29
05 자유를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 = 39
06 창조하는 사람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 = 49
07 예술을 즐기는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의 의미 = 57
08 전문화 시대에 성인교육의 의미 = 69
09 공동 기획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성인교육의 의미 = 85
10 방법의 관점에서 성인교육의 의미 = 99
후기 = 115
참고 문헌 = 120
찾아보기 = 122
옮긴이의 말 = 126
린드만 연보 = 14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