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7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77891 | |
005 | 20131214150710 | |
007 | ta | |
008 | 131211s2013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0744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333355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13z6 | |
100 | 1 | ▼a 정우향 ▼0 AUTH(211009)78632 |
245 | 1 0 | ▼a 소통의 외로움 : ▼b 다시 쓴 언어학 강의 / ▼d 정우향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203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Communication | |
504 | ▼a 참고문헌: p. 197-198 | |
536 | ▼a 이 논문(저서)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13z6 | 등록번호 1117085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우향(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 프랑스 후앙(Rouen)에서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학(FLE)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 읽기교육, 의사소통능력, 언어적 약자’ 등이 연구 주제이다. 『바흐친의 대화주의와 외국어 읽기 교육』 (2011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너와의 시간, 당신과의 시간』 (2014),「 한국 대학의 FLE 문화교육과 ‘시간’의 문화적 특성」 (2017), 「FLE 문화교육에서 교수자 질문 구성의 주안점」 (2018), 『소통의 시선』 (2019), 『나와의 시간, 당신과의 시간』 (2021)『언어적 약자』 (2022)등과 같은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썼다.

목차
서문 = ⅴ 문제를 시작하며 = 11 PART Ⅰ 언어 이야기 제1강 언어를 보는 세 가지 시선 : 랑그, 파롤, 담화 = 27 제2강 말하는 '나'는 누구인가 = 32 제3강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은 : 의사소통 능력 = 39 제4강 진정한 의사소통에 근접하기 = 55 제5강 타인이 내게 보내는 언어 신호 세 가지 = 69 제6강 문화 속에서 말하기 = 76 제7강 소통을 위한 네비게이터 : 장르 = 86 제8강 계급 속에서 말하기 : 사회 언어학 = 91 제9강 말과 말 속의 힘 : 화용론 = 96 PART Ⅱ 언어의 삶ㆍ나의 삶 제10강 여자의 언어 VS 남자의 언어 = 103 제11강 내 언어의 재료들 : 폴리포니 = 111 제12강 내 안의 고유한 소리를 찾아서 = 116 제13강 만들어진 말 VS 살아있는 말 = 123 제14강 사실과 사실을 감싸는 시선 = 130 제15강 의미는 '나'와 '너'의 사이에 = 133 제16강 말하기의 어려움, 사유의 어려움 = 138 PART Ⅲ 소외된 자들ㆍ소외된 언어 1. 언어의 약자 = 148 2. 언어적 약자와 그들 언어의 특성 = 150 3. 고난 받는자, 무능력한 사유자들의 언어 변화 = 164 4. 고난 극복의 언어 찾기 = 178 이 책을 마치며 = 190 주요 참고 문헌 =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