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55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77879 | |
005 | 20131213132730 | |
007 | ta | |
008 | 131211s2013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1843171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3334156 | |
040 | ▼a 241050 ▼c 241050 ▼d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13z7 | |
100 | 1 | ▼a 천호재 ▼g 千昊載 ▼0 AUTH(211009)91452 |
245 | 1 0 | ▼a 언어의 이해 = ▼x Understanding of language / ▼d 천호재 지음 |
260 | ▼a 서울 : ▼b 어문학사, ▼c 2013 | |
300 | ▼a 293 p. : ▼b 삽화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p. 276-285)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13z7 | 등록번호 1117085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학은 우리가 밥 먹듯 사용하는 ‘언어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언어의 본질을 이해함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높이고’, ‘언어의 보편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계명대학교 천호재 교수가 쓴 교양으로 접근할 수 있는 언어학 입문서로, 교양으로 쉽게 접근하면서도 언어학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언어의 본질을 이해하는
언어학의 필수 입문서!
시중에는 다양한 외국어 학습실용서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루에도 몇 권씩 외국어 학습서 신간이 나오고 있지만, 정작 사람들은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궁금해 하지 않는 것 같다. 언어학은 우리가 밥 먹듯 사용하는 ‘언어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언어의 본질을 이해함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높이고’, ‘언어의 보편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언어학을 교양으로 공부하기에는 시중의 책이 너무도 어렵고 양이 방대하여 부담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계명대학교 천호재 교수가 교양으로 접근할 수 있는 언어학 입문서 『언어의 이해』를 출간했다.
천호재 교수는 언어학 강의를 하며 느꼈던 불편함과 필요함을 반영하여 가장 학생들이 교양으로 접근하기 쉬우면서도 언어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였다. 본서는 15주 강의를 예상하여 총 14장으로 구성하였고 각 장 말미에 ‘연습문제’를 넣어 언어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제1장에서는 시작하는 장으로 가장 기본적인 언어학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언어의 특징과 기능에 대해 이야기 한다. 2장에서 언어학은 매우 복잡한 인간의 언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해명하는 학문임을 말하며 왜 언어를 연구하는지, 또 그 대상과 분야는 어떤 것인지 이야기 한다. 3장에서는 인간의 소리와 음성을 구분하는데, 음성은 인간의 감정이나 의사가 전달되는 소리를 말한다. 이것을 정밀하게 연구하는 학문이 음성학인데 이에 대한 전반적인 것에 대해 알아본다. 4장은 음성 그 자체가 지니는 성질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려는 분야인 음성학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음성에 대한 지식을 연구하는 분야인 음운론에 대해 설명한다. 5장 형태론에서는 특정 단어의 어떠한 요소가 어떻게 조합을 이루어 어떠한 단어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만들어지는지를 규명한다.
어떤 문장이 적법한지 혹은 적법하지 않은지에 대한 지식을 직관이라고 하는데, 모든 언어 화자의 뇌리 속에는 이러한 능력이 들어 있다고 한다. 통사론이라는 언어학의 영역에서는 이와 관련된 언어 현상을 다루는데, 이 이론을 6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7장에서는 단어의 의미, 문장의 성립에 관여하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의미, 나아가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 관계, 문장의 의미를 연구하는 언어학 분야인 의미론에 대해 배운다. 8장에서는 언어 표현 그 자체에서는 직접 드러나지 않는 의미와 발화의 참가자, 즉 화자, 청자와의 관계까지 고려한 의미 연구인 화용론에 대해 알아본다.
9장에서는 변화하는 언어와 이를 연구하는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에 대해 알아본다. 10장에서는 언어의 문자에 대해서, 11장에서는 이론적인 언어학의 틀만으로는 해명할 수 없는 말의 체계나 구조를 해명하기 위한 사회언어학 분야에 대해 알아본다. 12장에서는 뇌와 언어의 관계에 대해서 13장에서는 언어를 통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언어의 개별성, 보편성, 언어 상대성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4장에서는 다양한 외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 나온다.
앞서 서두에 말했듯이 많은 외국어 학습실용서가 있지만, 언어의 본질을 연구하는 언어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없다면 단순한 암기 수준의 외국어 학습만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언어학을 이해한 외국어 학습은 좀 더 본질에 다가선 공부가 될 것이다. 그리고 본서는 교양으로 언어학을 접해보고 싶은 모든 사람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입문서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천호재(지은이)
계명대학교 인문국제대학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대한일어일문학회 편집 위원 한국일어일문학회 편집 위원 일본 도호쿠(東北)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언어학박사(ph.D) [주요 논저] 한국어의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수동 구문에 관한 연구(2002) 어학연구, 38(1), pp.211-239. 日本語の総称文と中間構文(2007) 일어일문학연구, 63(1), pp.551-569. 英語のHAVE構文の分析(2007) 言語学論集16, pp.31-42. 日本語の自動詞文と中間自動詞文(2007)일어일문학연구61(1), pp.317-340. 일본어와 중국어 인식구문의 통사적 특질(2008) 동북아문화연구14, pp. 525-544. 일본어 자발문의 유형론적 분석(2008) 한국문화사(2009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저서) 인식 조동사 구문의 보편적 특징(2009) 한국문화사 일본어 학습에 대한 의식(2009) 한국문화사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언어적 분석(2009) 한국문화사 인터넷 기반 일본어교육의 가능성과 연구 방법(2011) 한국문화사 의미수동화조작의 보편적 특징(2012) 한국문화사 일본어교육론(2012) 어문학사 언어의 이해(2013) 어문학사 일본문화의 이해와 일본어교육(2014) 역락 일본어의 態voice와 복문(2015) 역락(2016 세종도서학술부문 우수저서) 언어문화로 본 일본사정의 이해(2016) 역락 일본어통번역기초(2017) 역락 라디오 명작 드라마로 배우는 일본어(2017) 역락 웹기반 일본어 리터러시(2017) 역락 웹 동영상으로 일본어 듣고 독해하기(2018) 역락 시청각으로 배우는 일본어(2018) 역락 일본어통번역 연습(2018) 역락 일본어학의 이해(2019) 어문학사 일본어 음성의 이해(2019) 신아사

목차
머리말 = 4 제1장 언어의 특징과 기능 = 13 제1장의 키워드 1.1 기호와 언어 1.2 언어의 자의성 1.3 언어의 선조성과 분절 1.4 통합 관계와 연합 관계 1.5 언어의 생산성과 정식성 1.6 언어의 경제성과 잉여성 1.7 언어의 기능 제1장 연습문제 제1장 주 제2장 언어 연구의 대상과 분야 = 31 제2장의 키워드 2.1 언어 연구의 대상 2.2 공시태와 통시태 2.3 랑그와 파롤 2.4 언어 능력과 언어 운용 2.5 다양한 언어 연구 분야 제2장 연습문제 제2장 주 제3장 언어와 음성 - 음성학 = 45 제3장의 키워드 3.1 인간의 음성을 연구하는 음성학 3.2 음성학의 분야 3.3 음성기관 3.4 단음과 단음의 종류 3.5 자음의 종류 3.6 모음의 종류 3.7 운율 제3장 연습문제 제3장 주 제4장 언어의 음성 체계 - 음운론 = 69 제4장의 키워드 4.1 음성학과 음운론 4.2 음소의 목록과 음절 구조 4.3 음운규칙 4.4 변별적 자질과 음운규칙의 기술 제4장 연습문제 제4장 주 제5장 단어의 구조 - 형태론 = 85 제5장의 키워드 5.1 형태론이란 5.2 형태소 5.3 파생과 굴절 5.4 어근, 어간, 기체 5.5 기타 단어 형성 방법 제5장 연습문제 제5장 주 제6장 문장의 구조 - 통사론 = 107 제6장의 키워드 6.1 단어와 단어의 문법 관계 - 통사적 현상 6.2 모어화자의 언어 능력 6.3 문장의 구조 6.4 변형 6.5 통사론에서 다루는 주제 제6장 연습문제 제6장 주 제7장 단어의 의미ㆍ문장의 의미 - 의미론 = 135 제7장의 키워드 7.1 의미론 연구의 대상 7.2 단어 자체의 의미 7.3 단어와 단어 사이의 의미 7.4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 사이의 의미 7.5 문장의 의미 (1) 7.6 문장의 의미 (2) - 지시 의미론 제7장 연습문제 제7장 주 제8장 의미와 맥락 - 화용론 = 155 제8장의 키워드 8.1 화용론의 정의 및 연구 대상 8.2 직시(deixis) 8.3 전제(presupposition) 8.4 화행(speech act) 8.5 대화상의 격률(maxim of conversation) 제8장 연습문제 제8장 주 제9장 언어의 변화 - 역사언어학ㆍ비교언어학 = 171 제9장의 키워드 9.1 만물이 변화하듯 언어도 변화한다 9.2 역사언어ㆍ비교언어학 9.3 언어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9.4 유형론(Typology) - 유형 분류와 어순 제9장 연습문제 제9장 주 제10장 언어와 문자 - 문자론 = 185 제10장의 키워드 10.1 언어는 사람, 문자는 옷 10.2 그림문자 10.3 단어문자ㆍ표의문자 10.4 설형문자ㆍ상형문자 10.5 음절문자 10.6 음소문자-자음 음소문자ㆍ자음 모음 음소문자 10.7 문자론 제10장 연습문제 제10장 주 제11장 언어와 사회 - 사회언어학 = 201 제11장의 키워드 11.1 사회언어학의 정의와 연구 대상 11.2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1.3 지역 방언과 표준어 11.4 말과 사회적 속성 11.5 언어변종의 공존과 구별 11.6 언어의 접촉 제11장 연습문제 제11장 주 제12장 언어와 뇌(정신) - 언어상실ㆍ언어습득 = 225 제12장의 키워드 12.1 언어상실과 언어습득 12.2 언어 관련 뇌 부위 12.3 언어상실 - 신경언어학 12.3.1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 12.3.2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 12.3.3 신경언어학의 연구 사례 12.4 언어습득 - 심리언어학 12.4.1 언어습득 12.4.2 언어이해 12.4.3 언어산출 제12장 연습문제 제12장 주 제13장 언어와 문화 = 241 제13장의 키워드 13.1 언어와 문화 13.2 문화의 개별성과 보편성 13.3 언어상대성론 제13장 연습문제 제13장 주 제14장 언어(외국어)의 교수법 = 253 제14장의 키워드 14.1 다양한 교수법 14.2 문법 역독식 교수법 14.3 문법 역독식에 대항해서 출현한 외국어 교수법 14.4 구조언어학에 이론적 근거를 둔 외국어 교수법 14.5 심리학ㆍ인지학습 이론에 근거를 둔 외국어 교수법 14.6 의사소통적 접근법 제14장 연습문제 제14장 주 참고문헌 = 276 색인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