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69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77194 | |
005 | 20131213103555 | |
007 | ta | |
008 | 131206s2013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50305819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2 ▼2 23 |
085 | ▼a 332 ▼2 DDCK | |
090 | ▼a 332 ▼b 2010z13 ▼c 2013.5 | |
100 | 1 | ▼a 이재연 ▼g 李載演 ▼0 AUTH(211009)95799 |
245 | 1 0 | ▼a 서민금융기관의 건전한 발전방안 / ▼d 이재연, ▼e 이시연 |
260 | ▼a 서울 : ▼b 한국금융연구원, ▼c 2013 | |
300 | ▼a 129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 |
440 | 0 0 | ▼a KIF 정책보고서 ; ▼v 2013-05 |
500 | ▼a 본 보고서는 2012년 5월 한국금융연구원이 개최한 '상호금융기관 정체성 확립과 발전방안'공개토론회와 2012년 8월 금융위원회와 한국금융연구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저축은행의 건전한 발전방향'등 두차례의 공개토론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임 | |
700 | 1 | ▼a 이시연 ▼g 李始衍, ▼e 저 ▼0 AUTH(211009)78346 |
945 | ▼a KLPA | |
949 | ▼a 한국금융연구원 정책보고서 ; ▼v 2013-05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 2010z13 2013.5 | Accession No. 1117079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본 보고서는 국내 대표적 서민금융기관인 상호금융기관과 저축은행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13년 5월과 8월에 한국금융연구원과 금융위원회가 개최한 공개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기관은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쳐 금융기관 투명성, 수익성 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과 같은 서민금융기관들이 담보대출을 확대하는 등 외환위기 이후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서민금융기관 자체의 신용위험 관리 강화와 같은 내부적 요인과 감독기관의 건전성 감독 강화와 같은 외부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서민금융기관이 설립 목적에 따라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두 차례의 공개 토론회에서는 각 상호금융기관의 현황과 평가, 그리고 본연의 업무를 회복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많은 의견 개진이 이루어졌으며, 공개토론회 논의 내용을 정리한 동 보고서가 향후 서민금융기관의 발전을 위한 활발한 논의의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부 상호금융기관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건전한 발전방향 = 1 Ⅰ. 상호금융기관의 주요 현황 = 3 Ⅱ. 상호금융기관의 문제점 = 5 1. 상호금융기관의 정체성 변화 = 5 2. 급속한 대출 확대 = 7 3. 공동유대 범위 제한 = 7 4. 상호금융기관간 규제 차이 = 8 5. 지배구조의 문제점 = 9 Ⅲ. 개선 방안 = 11 1. 정체성 확립 = 11 2. 세제지원 개선 = 13 3. 관계형 금융의 활성화 = 16 4. 감독제도 개선 = 19 5. 상호금융 조직체계 개선 = 22 발표자료 = 25 종합토론 = 51 제Ⅱ부 저축은행의 건전한 발전방향 = 67 Ⅰ. 저축은행 주요 현황 = 69 Ⅱ. 상황 진단 및 평가 = 71 1. 외환위기 이전 영업대상 = 71 2. 외환위기 이후 영업대상 변화 = 72 3. 저축은행 자산운용 현황 = 74 4. 대규모 구조조정 영향 및 신뢰도 하락 = 77 Ⅲ. 해외 중소형은행의 영업모델 - 관계형 금융 = 78 1. 미국 = 78 2. 일본 = 79 Ⅳ. 개선 방안 = 83 1. 저축은행 신뢰도 회복 = 83 2. 자본규제 및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개선 = 84 3. 지역밀착형 및 관계형 금융 영업 강화 = 87 4. 안정적 영업기반 확충 = 91 5. 영업구역 내 의무대출비율 완화 = 93 6. 저축은행과 정책적 서민금융과의 관계 정립 = 94 발표자료 = 97 종합토론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