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241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76841 | |
005 | 20131216200600 | |
007 | ta | |
008 | 131122s2013 ulkac 000c kor | |
020 | ▼a 9788970128948 ▼g 03830 | |
035 | ▼a (KERIS)BIB000013327900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781.650922 ▼2 23 |
085 | ▼a 781.650922 ▼2 DDCK | |
090 | ▼a 781.650922 ▼b 2013 | |
100 | 1 | ▼a 村上春樹, ▼d 1949- ▼0 AUTH(211009)28254 |
245 | 1 0 | ▼a 포트레이트 인 재즈 = ▼x Portrait in jazz / ▼d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 ▼e 와다 마코토 그림 ; ▼e 김난주 옮김 |
246 | 1 9 | ▼a ポ-トレイトㆍインㆍジャズ |
246 | 3 | ▼a Potoreito in jazu |
260 | ▼a 서울 : ▼b 문학사상, ▼c 2013 | |
300 | ▼a 355 p. : ▼b 천연색삽화, 초상화 ; ▼c 20 cm | |
500 | ▼a 이 책은 1997년에 출간된 <포트레이트 인 재즈, ポ-トレイトㆍインㆍジャズ>와 2001년 출간된 <포트레이트 인 재즈 2, ポ-トレイトㆍインㆍジャズ 2>를 합해 2004년 문고판으로 출간된 것을 번역한 것임 | |
650 | 0 | ▼a Jazz musicians ▼z United States |
700 | 1 | ▼a 和田誠, ▼d 1936-, ▼e 그림 ▼0 AUTH(211009)79357 |
700 | 1 | ▼a 김난주, ▼e 역 |
900 | 1 0 | ▼a 무라카미 하루키, ▼e 저 |
900 | 1 0 | ▼a 와다 마코토, ▼e 그림 |
900 | 1 0 | ▼a Murakami, Haruki, ▼e 저 |
900 | 1 0 | ▼a Wada, Makoto, ▼e 그림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50922 2013 | 등록번호 1117088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781.650922 2013 | 등록번호 1310477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50922 2013 | 등록번호 1117088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781.650922 2013 | 등록번호 1310477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팝 멜로디 같은 <상실의 시대>, 내면의 리듬앤블루스 같은 <댄스 댄스 댄스>, 재즈로 쓴 사랑 이야기 <스푸트니크의 연인> 등 언제나 음악이 흐르는 작품 세계를 선보여온 하루키. 이 책은 그가 일본의 인기 일러스트레이터 와다 마코토가 그린 재즈 뮤지션 그림에 자신이 애호하는 한 장의 앨범을 선정하여 그 음반에 얽힌 개인적인 추억과 감상을 곁들여 소개한 재즈 에세이다.
하루키가 재즈 마니아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작가가 되기 전엔 '피터 캣'이라는 재즈 바를 경영하기도 하고, 6천여 장의 음반을 소유한 컬렉터이기도 한 그는 "나는 소설 쓰는 법의 상당 부분을 재즈에서 배웠다. 리듬, 하모니, 즉흥성에서 공통점이 많다"라고 고백하기도 했다. 재즈 뮤지션 초상화를 내건 두 차례의 개인전으로 호평받고, 그 그림이 유명 레코드사의 CD 재킷을 장식하기도 한 마코토 역시 10대 시절부터 재즈를 들어온 재즈광임은 두말할 필요 없다.
그처럼 어린 시절부터 재즈와 만난 뒤, 수많은 명연주를 들어온 두 사람이 엄선한 재즈가 글과 그림과 함께 멋스러운 하모니를 이루며 재즈 마니아를 감탄케 하고 동시에 입문자를 따뜻하게 맞아준다.
와다 마코토의 경쾌한 일러스트와
하루키의 따스한 문장이 어우러진 재즈 아트북!
하루키와 마코토의 애정이 물씬 배어나는 재즈 에세이!
●재즈 마니아 하루키 & 마코토의 ‘재즈로의 초대’
팝 멜로디 같은 《상실의 시대》, 내면의 리듬앤블루스 같은 《댄스 댄스 댄스》, 재즈로 쓴 사랑 이야기 《스푸트니크의 연인》 등 언제나 음악이 흐르는 작품 세계를 선보여온 하루키. 이 책은 그가 일본의 인기 일러스트레이터 와다 마코토가 그린 재즈 뮤지션 그림에 자신이 애호하는 한 장의 앨범을 선정하여 그 음반에 얽힌 개인적인 추억과 감상을 곁들여 소개한 재즈 에세이다.
하루키가 재즈 마니아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작가가 되기 전엔 ‘피터 캣’이라는 재즈 바를 경영하기도 하고, 6천여 장의 음반을 소유한 컬렉터이기도 한 그는 “나는 소설 쓰는 법의 상당 부분을 재즈에서 배웠다. 리듬, 하모니, 즉흥성에서 공통점이 많다”라고 고백하기도 했다. 재즈 뮤지션 초상화를 내건 두 차례의 개인전으로 호평받고, 그 그림이 유명 레코드사의 CD 재킷을 장식하기도 한 마코토 역시 10대 시절부터 재즈를 들어온 재즈광임은 두말할 필요 없다.
그처럼 어린 시절부터 재즈와 만난 뒤, 수많은 명연주를 들어온 두 사람이 엄선한 재즈가 글과 그림과 함께 멋스러운 하모니를 이루며 재즈 마니아를 감탄케 하고 동시에 입문자를 따뜻하게 맞아준다.
●옆에서 음악을 듣고 있는 듯 잘 어우러진 글과 그림, 재즈의 하모니
“내게 있어 레코드 한 장 한 장은 보물이었으며,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귀중한 입장권 같은 것이었다”는 하루키는 이 책에서 수십 년간 재즈를 들으며 느꼈던 통절한 감각과 자신만의 음악적 편애, 그리고 마니아다운 해박한 음악 지식과 풍부한 음악적 감성을 적확하면서도 중독성 강한 필치로 펼쳐놓는다.
악곡의 해설이 아닌, 재즈를 듣는 심정이라든가 그 재즈만의 매력을 시적인 아름다운 문장으로 그려놓은 글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하루키의 음악성 짙은 작품 세계의 진원지와, 그의 소설 주인공들과 무척이나 닮은 하루키의 모습을 만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 소박하고 따뜻한 선으로 인물의 특징을 잘 잡아낸 와다 마코토의 그림은 그 간결함과 재치에 절로 웃음 짓게 한다. 그의 그림 속에는 수십 년 동안 재즈를 들어온 사람만이 표현 가능한 각 뮤지션의 독특한 음악의 빛깔과 분위기가 개성 있게 녹아 있다. 독자들은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바로 옆에서 음악이 흐르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 것이다.
●새로운 뮤지션이 추가된 완전판 《포트레이트 인 재즈》
와다 마코토와 무라카미 하루키 콤비가 재즈 뮤지션을 주제로 그림과 글로 엮어낸 《포트레이트 인 재즈》와 《포트레이트 인 재즈2》라는 두 권의 책이 국내에서는 김난주 씨의 번역으로 《재즈 에세이》와 《또 하나의 재즈 에세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세월이 지나 《재즈 에세이》는 윤성원 씨의 번역으로 《재즈의 초상》이란 제목으로 다시 출간되었고, 그러는 사이 일본에서는 두 권의 책을 한 권의 책으로 합치고 판형을 달리하여 《포트레이트 인 재즈》로 새로 나왔다. 이때 새로이 아트 페퍼, 프랭크 시나트라, 길 에번스 세 뮤지션이 추가되었는데, 일본에서처럼 문학사상에서 이번에 김난주 씨의 새로운 번역으로 《재즈 에세이》와 《또 하나의 재즈 에세이》를 하나로 묶고 세 뮤지션을 추가하여 새로이 완전판 《포트레이트 인 재즈》를 발행하게 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무라카미 하루키(지은이)
일본의 작가, 영미문학 번역가.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제1문학부 연극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 결혼하여 1974년부터 7년여 동안 아내와 재즈 카페를 운영했다. 서른 살을 앞두고 소설을 쓰기 시작한 그는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1979)로 《군조》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다. 1981년부터 전업 작가로서 활동했고, 1987년에 발표한 《노르웨이의 숲》으로 경이로운 판매 기록을 세운다. 이는 일본 문화계에 ‘무라카미 하루키 신드롬’이리는 용어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후 《양을 둘러싼 모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 감는 새》, 《1Q84》, 《기사단장 죽이기》 등 화제작을 차례차례 발표했다. 일본을 넘어 아시아를 비롯한 미국, 유럽, 러시아까지 총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그의 책들은 각국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고 권위 있는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영미문학 번역가로도 유명하다. 스콧 피츠제럴드, 레이먼드 챈들러, 레이먼드 카버, 트루먼 커포티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일본어로 옮겨 재조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김난주(옮긴이)
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쇼와 여자대학에서 일본 근대문학 석사학위를 취득, 이후 오쓰마 여자대학과 도쿄 대학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연구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고양이를 버리다》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 감는 새 연대기》, 에쿠니 가오리의 《반짝반짝 빛나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백야행》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와다 마코토(그림)
1936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다마미술대학을 졸업했습니다. 그래픽 디자이너, 에세이스트, 영화감독, 그림책 작가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습니다. 1974년 고단샤출판문화상 북디자인상을 받았고, 1982년 《비긴 더 비긴》으로 가도카와서점 일본논픽션대상을, 1993년 《긴자 주변 두근거리는 나날》로 고단샤에세이상을, 1997년 마이니치디자인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림책 《달 도둑》을 쓰고 그렸으며, 《구덩이》, 《우리는 친구》, 《어떤 느낌일까?》 들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목차
앞이야기 와다 마코토 | 무라카미 하루키 쳇 베이커Chet Baker 베니 굿맨Benny Goodman 찰리 파커Charlie Parker 패츠 월러Fats Waller 아트 블레이키Art Blakey 스탠 게츠Stan Getz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 캡 캘러웨이Cab Calloway 찰스 밍거스Charles Mingus 잭 티가든Jack Teagarden 빌 에번스Bill Evans 빅스 바이더벡Bix Beiderbecke 줄리언 캐넌볼 애덜리Julian Cannonball Adderley 듀크 엘링턴Duke Ellington 엘라 피츠제럴드Ella Fitzgerald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찰리 크리스천Charlie Christian 에릭 돌피Eric Dolphy 카운트 베이시Count Basie 제리 멀리건Gerry Mulligan 냇 킹 콜Nat "King" Cole 디지 길레스피Dizzy Gillespie 덱스터 고든Dexter Gordon 루이 암스트롱Louis Armstrong 셀로니어스 멍크Thelonious Monk 레스터 영Lester Young 소니 롤린스Sonny Rollins 호레이스 실버Horace Silver 애니타 오데이Anita O''Day 모던재즈 콰르텟The Modern Jazz Quartet 테디 윌슨Teddy Wilson 글렌 밀러Glenn Miller 웨스 몽고메리Wes Montgomery 클리퍼드 브라운Clifford Brown 레이 브라운Ray Brown 멜 토메Mel Torme 셸리 맨Shelly Manne 준 크리스티June Christy 장고 라인하르트Django Reinhardt 오스카 피터슨Oscar Peterson 오넷 콜먼Ornette Coleman 리 모건Lee Morgan 지미 러싱Jimmy Rushing 바비 티먼스Bobby Timmons 진 크루파Gene Krupa 허비 핸콕Herbie Hancock 라이어넬 햄프턴Lionel Hampton 허비 맨Herbie Mann 호기 카마이클Hoagy Carmichael 토니 베넷Tony Bennett 에디 컨던Eddie Condon 재키 앤 로이Jackie & Roy 아트 페퍼Art Pepper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 길 에번스Gil Evans 뒷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 와다 마코토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