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민법총칙

민법총칙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조승현 曺承鉉 고영남 高榮男, 저
Title Statement
민법총칙 / 조승현, 고영남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2005)  
Physical Medium
xiii, 236 p. : 삽화 ; 25 cm
ISBN
892090841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iv
000 0069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76668
005 20131220201337
007 ta
008 131202s2004 ulka b AZ 000c kor
020 ▼a 8920908419 ▼g 93360
035 ▼a (KERIS)BIB000009134863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46.519 ▼2 23
085 ▼a 346.53 ▼2 DDCK
090 ▼a 346.53 ▼b 2004z2
100 1 ▼a 조승현 ▼g 曺承鉉
245 1 0 ▼a 민법총칙 / ▼d 조승현, ▼e 고영남 공저
260 ▼a 서울 :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c 2004 ▼g (2005)
300 ▼a xiii, 236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 p. iv
700 1 ▼a 고영남 ▼g 高榮男,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46.53 2004z2 Accession No. 5210015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민법의 개요 = 2
  Ⅰ. 민법의 의의 = 2
   1. 개념과 역할 = 2
   2. 민법의 성질 = 2
  Ⅱ. 민사분쟁의 해결기준〔法源〕 = 3
   1. 성문법에 의한 분쟁의 해결 = 3
   2. 민사분쟁과 민법의 역할 = 4
   3. 민법 제1조와 제106조의 차이 = 6
 제2절 법률관계의 형성과 변동 = 8
  1. 법률관계(권리·의무)의 형성과 변동의 기본요소 = 8
  2. 권리변동의 원인 - 법률사실과 법률요건 = 10
  3. 권리변동의 원인으로서 법률행위 = 11
 제3절 법률행위의 무효 = 16
  1. 무효의 사유 = 16
  2. 무효의 법률효과 = 16
  3. 법률행위에 있어서 일부무효법리 = 17
  4. 무효행위의 전환 = 19
  5. 무효행위의 추인 = 19
 제4절 법률행위의 취소 = 20
  1. 취소의 의미 = 20
  2. 취소권자 = 21
  3. 취소의 방법 = 22
  4. 일부취소의 문제 = 23
  5. 취소의 상대방 = 23
  6. 취소의 법률효과 = 24
  7. 취소권의 단기소멸제도 = 25
제2장 법률행위에서 당사자요건
 제1절 권리능력 = 30
  Ⅰ. 자연인의 권리능력 = 31
   1. 권리능력의 시작 = 31
   2. 권리능력의 종료 = 32
   3. 권리능력과 장소 - 주소 = 34
   4. 부재자의 재산관리 = 35
   5. 실종선고 = 36
   6. 동시사망 = 38
  Ⅱ. 법인의 권리능력 = 39
   1. 법인본질론 = 40
   2. 법인의 종류 = 41
   3. 법인의 설립 = 41
   4. 법인의 능력 = 44
   5. 법인의 기관 = 46
   6. 법인의 주소와 정관의 변경 = 50
   7. 법인의 소멸 = 52
   8. 법인 아닌 사단 및 재단 = 54
 제2절 행위능력 = 56
  Ⅰ. 미성년자의 행위능력 = 56
   1. 미성년 = 57
   2. 미성년자의 법률행위의 효력 = 57
   3. 법정대리인의 지위와 권한 = 59
   4. 상대방의 보호 = 60
  Ⅱ. 한정치산자 = 62
   1. 한정치산의 요건 = 62
   2. 한정치산자의 행위능력 = 63
   3. 법정대리인으로서 후견인 = 63
   4. 한정치산선고의 취소 = 63
  Ⅲ. 금치산자 = 63
   1. 금치산자의 행위능력 = 63
   2. 법정대리인으로서 후견인 = 64
   3. 금치산선고의 취소 = 64
제3장 법률행위의 목적과 내용 및 그 효력요건
 제1절 법률행위내용의 확정과 그 해석 = 70
  Ⅰ. 법률행위내용의 확정성 = 70
  Ⅱ. 법률행위의 해석 = 71
   1. 해석의 대상 = 71
   2. 해석의 방법 = 73
   3. 해석의 기준 = 74
 제2절 법률행위목적과 내용의 실현 가능성 = 78
  Ⅰ. 원시적 불능과 후발적 불능 = 78
  Ⅱ. 전부불능과 일부불능 = 79
  Ⅲ. 객관적 불능과 주관적 불능 = 79
 제3절 법률행위내용의 적법성 = 80
  Ⅰ. 법률행위목적의 적법과 타당성의 문제 = 80
  Ⅱ. 단속규정과 효력규정의 문제 = 82
  Ⅲ. 탈법행위 = 82
 제4절 법률행위내용의 사회적 타당성 = 83
  Ⅰ. 사회적 타당성과 미넙 제103조 = 83
   1. '선량한 풍속'과 사회질서의 관계 = 83
   2.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의 의미 = 84
   3. 민법 제103조의 요건 = 84
  Ⅱ.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반하는 법률행위의 모습 = 86
   1. 정의관념에 반하는 행위 = 86
   2. 인륜에 반하는 행위 = 88
   3. 개인의 자유를 심히 제한하는 행위 = 89
   4. 생존의 기초재산에 관한 처분행위 = 89
   5. 지나치게 사행적인 행위 = 89
   6. 강박적 수단에 의한 의사표시 = 90
  Ⅲ. 제103조에 의한 법률행위의 무효와 불법원인급여 = 90
 제5절 불공정한 법률행위 = 90
  Ⅰ.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개념 = 90
  Ⅱ. 민법 제103조와 제104조의 관계 = 91
  Ⅲ.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성립요건 = 91
   1. 객관적 요건 = 91
   2. 주관적 요건 = 93
   3. 기타 = 93
제4장 법률행위에서 의사와 표시의 일치
 제1절 의사표시의 효력 = 98
  Ⅰ. 의사표시의 구성 = 98
   1. 행위의사 = 98
   2. 효과의사 = 98
   3. 표시의사 = 99
   4. 표시행위 = 100
  Ⅱ.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요건 = 102
   1. 주관적 요건으로서 수령능력 = 102
   2. 객관적 요건으로서 도달 = 103
   3. 공시송달제도에 의한 의사표시의 도달 = 105
 제2절 비진의표시 = 106
  Ⅰ. 비진의표시의 의미 = 106
  Ⅱ. 비진의표시의 요건과 효과 = 107
   1. 비진의 의사표시의 요건 = 107
   2. 비진의표시의 효력 = 108
   3. 제107조의 적용범위 = 110
 제3절 통정허위표시 = 111
  Ⅰ. 허위표시의 의의 = 111
  Ⅱ. 허위표시의 요건과 효력 = 112
   1. 허위표시의 요건 = 112
   2. 허위표시의 효력 = 115
   3. 제3자에 대한 효력 = 116
  Ⅲ. 허위표시의 철회 = 118
  Ⅳ. 제108조의 적용범위 = 119
   1. '상대방 없는 단독행위'에 대한 적용 여부 = 119
   2. 합동행위에 대한 적용 여부 = 119
   3. 신분행위에 대한 적용 여부 = 119
   4. 소송행위 및 공법행위에 대한 적용 여부 = 120
   5. 유가증권에 관한 행위 혹은 주식인수의 청약행위에 대한 적용 여부 = 120
  Ⅴ. 제108조 제2항의 유추적용문제 = 121
 제4절 착오에 빠진 의사표시 = 122
  Ⅰ. 민법 제109조와 착오 = 122
   1. 민법 제109조의 의미 = 122
   2. 착오의 의의 = 123
   3. 착오의 종류 = 124
  Ⅱ. 취소권발생의 요건 = 127
   1. 법률행위내용상 중요 부분의 착오 = 127
   2. 표의자에게 중과실의 부존재 = 129
   3. 표의자의 착오에 대한 상대방의 예견 가능성 여부 = 130
  Ⅲ. 착오 있는 의사표시의 효력 = 130
   1. 취소권의 발생 = 130
   2. 취소의 대상 = 130
   3. 상대방에 대한 손해배상(신뢰이익의 배상) = 131
   4. 제3자의 보호 = 131
  Ⅳ. 제109조의 적용범위 = 132
   1. 재산상의 법률행위에 적용 = 132
   2. 신분행위 = 132
   3. 기타 = 132
  Ⅴ. 제109조와 다른 규정과의 경합 = 133
   1. 제110조와의 경합 = 133
   2. 담보책임과의 경합 = 133
   3. 해제와 취소 = 134
   4. 화해계약에 있어서 착오의 문제 = 134
 제5절 사기 또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 135
  Ⅰ. 민법의 규정 = 135
  Ⅱ. 취소권의 발생원인 = 136
   1.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 = 136
   2.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 138
   3. 사기 혹은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의 효력 = 140
  Ⅲ. 적용범위 = 142
   1. 제110조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 142
   2. 제110조가 적용되는 경우 = 143
  Ⅳ. 제110조와 다른 규정과의 경합 여부 = 143
   1. 제110조와 제109조의 경합 = 143
   2. 담보책임과의 경합 = 143
   3. 불법행위책임과의 경합 = 143
제5장 대리
 제1절 법률행위의 대리와 그 효력 = 148
  Ⅰ. 대리제도의 의의 = 148
   1. 개념 = 148
   2. 대리제도의 기능 = 148
   3. 대리제도가 허용되는 범위 = 149
   4. 대리의 종류 = 150
  Ⅱ. 대리권 = 152
   1. 대리권의 의의 = 152
   2. 대리권의 발생원인 = 153
   3. 대리권의 범위 = 154
   4. 대리권의 소멸 = 158
  Ⅲ. 대리행위 = 160
   1. 현명주의 = 160
   2. 하자 있는 대리행위와 그 효력 = 162
   3. 대리인의 능력 = 163
   4. 대리행위의 효과 = 164
  Ⅳ. 복대리 = 165
   1. 복대리 = 165
   2. 복대리인의 복임행위 = 165
   3. 대리인의 복임행위와 그 책임 = 166
   4. 복대리의 내용 = 166
   5. 복대리권의 소멸 = 167
 제2절 표현대리 = 167
  Ⅰ. 표현대리의 의의 = 168
   1. 표현대리의 개념 = 168
   2. 표현대리의 유형 = 168
   3. 표현대리의 근거 = 168
   4. 신뢰책임으로서 표현대리의 일반적 요건 = 169
  Ⅱ. 표현대리의 본질 : 무권대리인가, 유권대리인가? = 169
   1. 무권대리로 이해하는 견해(통설 및 판례) = 169
   2. 유권대리로 이해하는 견해 = 170
  Ⅲ. 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제125조) = 171
   1. 요건 = 171
   2. 제125조의 적용범위 = 174
   3. 법률효과 = 175
  Ⅳ.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126조) = 175
   1. 요건 = 176
   2. 법률효과 = 180
   3. 제126조의 적용범위 = 181
  Ⅴ. 대리권소멸 후의 표현대리(제129조) = 183
   1. 요건 = 183
   2. 법률효과 = 184
   3. 제129조의 적용범위 = 184
 제3절 무권대리 = 185
  Ⅰ. 무권대리의 의의 = 186
   1. 무권대리행위의 개념 = 186
   2. 무권대리행위의 효력 = 186
  Ⅱ. 계약에 있어서 무권대리 = 187
   1. 본인과 상대방 사이의 효과 = 187
   2. 상대방에 대한 무권대리인의 책임 = 190
   3. 본인과 무권대리인과의 관계 = 192
  Ⅲ. 단독행위에 있어서 무권대리 = 192
   1.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 = 192
   2. 상대방 없는 단독행위 = 193
제6장 조건부·기한부 법률행위와 소멸시효
 제1절 조건부·기한부 법률행위 = 198
  Ⅰ. 조건과 조건부 법률행위 = 198
   1. 조건부 법률행위의 뜻 = 198
   2. 조건의 종류 = 198
   3. 조건과 친하지 않은 법률행위 = 200
   4. 조건의 성취와 불성취 = 202
   5. 조건부 법률행위의 효력 = 203
  Ⅱ. 기한부 법률행위 = 204
   1. 기한과 기한부 법률행위 = 204
   2. 기한의 종류 = 205
   3. 기한과 친하지 않은 법률행위 = 205
   4. 기한부 법률행위의 효력 = 206
   5. 기한의 이익 = 206
 제2절 소멸시효 = 208
  Ⅰ. 시효제도와 소멸시효 = 208
   1. 법률요건으로서 소멸시효 = 208
   2. 시효제도의 근거 = 208
   3. 소멸시효와 제척기간의 구별 = 209
  Ⅱ. 소멸시효의 요건 = 210
   1. 소멸시효에 걸리는 권리 = 211
   2. 권리의 불행사 = 213
   3. 소멸시효기간 = 216
  Ⅲ. 소멸시효의 중단 = 220
   1. 중단제도의 의의 = 220
   2. 청구(제168조 제1호) = 221
   3. 압류, 가압류, 가처분(제168조 제2호) = 225
   4. 승인(제168조 제3호) = 226
   5. 시효중단의 효력 = 227
  Ⅳ. 소멸시효의 정지 = 229
   1. 시효정지제도의 취지 = 229
   2. 취득시효에의 준용 여부 = 229
   3. 시효정지의 사유 = 229
  Ⅴ. 소멸시효의 법률효과 = 230
   1. 소멸시효완성의 효과 = 230
   2. 소멸시효완성과 그 소급효 = 232
   3. 소멸시효이익의 포기 = 232
   4. '주된 권리'의 소멸과 종된 권리 = 234
   5. 소멸시효에 관한 당사자의 법률행위 = 23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中込一洋 (2022)
Geiser, Thomas (2023)
신현탁 (2023)
이상복 (2023)
김동훈 (2023)
오성근 (2023)
민사판례연구회 (2023)
박세민 (2023)
Fankhauser, Rolan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