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과정 속에서 놀이 촉진하기 = 15
놀이는 무엇이고 왜 가치가 있는가 = 18
놀이와 교육과정 = 21
교사는 왜 아동과 함께 놀이해야 하는가? = 23
언제 개입해야 하는가? = 24
아동이 놀이를 전혀 하지 않을 때 = 25
아동의 놀이에서 지원이 필요 할 때 = 26
"학습을 위한 결정적 순간"이 발생할 때 = 27
아동이 교사를 놀이에 초대할 때 = 28
이 책의 활용방안 = 28
요약 = 29
제안 활동 = 29
참고 자료 = 31
유아교육과정 지침서 = 31
제2부 놀이 촉진하기: 지침 및 기술 = 33
놀이개입을 위한 핵심적인 결정 = 36
아동과 놀이할 때와 놀이하지 않아야 될 때 = 36
놀이 상황에 들어가고 나오는 법 = 38
개입유형 = 40
얼마만큼 도움을 주어야 하는가 = 45
놀이개입 행동 = 49
일 대 일로 안내하기 = 50
질문하기 = 53
모델링 = 57
따뜻함 = 59
격려 = 60
요약 = 63
제안 활동 = 64
참고 자료 = 66
제3부 사회극적 놀이 촉진하기 = 69
사회극적 놀이의 가치 = 72
사회극적 놀이와 인지 발달 = 73
사회극적 놀이와 사회성 발달 = 73
사회극적 놀이와 정서 발달 = 74
사회극적 놀이에서 성인의 역할 = 75
Smilansky의 놀이 개입 프로그램 = 76
주의점 및 지침 = 77
사회극적 놀이를 촉진하는 교사 행동 = 78
사회극적 놀이 기술 = 79
언어화 = 79
사회적 상호작용 = 84
문해 놀이와 주제-환상 규칙 = 96
놀이의 지속 = 98
놀이촉진 기술에 대한 마지막 조언 = 99
첨단과학 시대의 사회극적 놀이 = 99
텔레비전 = 100
컴퓨터 = 103
요약 = 105
제안 활동 = 105
참고 자료 = 106
제4부 사회적 유능성 증진시키기 = 109
사회적 유능성이란 무엇인가? = 112
인기아, 거부아, 무시아 = 112
사회적 기술 촉진시키기 = 122
일반적인 지침 = 123
사회적 참여 = 127
친구 관계 촉진시키기 = 133
사회적인 행동 가르치기 = 134
요약 = 146
제안 활동 = 147
참고 자료 = 148
제5부 구어 및 문해 증진시키기 = 149
구어 격려하기 = 151
구어의 정교화 = 151
반응하기 = 153
확장과 부연 = 156
부모처럼 말하기 = 158
질문하기 = 162
도서와 쓰기 영역에서 개입하기 = 164
무릎에 앉혀 읽기 = 164
주변의 문자 해석하기 = 171
아동의 쓰기 격려하기 = 172
요약 = 179
제안 활동 = 180
참고 자료 = 181
제6부 논리ㆍ수학적 사고 증진시키기 = 183
논리ㆍ수학적 지식 = 186
숫자에 대한 이해 증진시키기 = 189
수 영역에서의 개입 = 193
집단게임에서의 개입 = 201
일상 교실 생활에서의 개입 = 207
블록 영역에서의 개입 = 208
컴퓨터에 관한 조언 = 218
과도한 개입에 관한 조언 = 219
요약 = 219
제안 활동 = 220
참고 자료 = 222
제7부 아동과 함께 과학 활동하기 = 223
과학 활동 VS. 과학에 대한 학습 = 226
자연을 관찰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하기 = 228
과학 영역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시키기 = 230
자연 속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시키기 = 238
과학적인 질문하기 = 240
반응하기 = 240
지원하기 = 242
모델링하기 = 242
가설을 공식화하기 = 244
결과를 해석하기 = 246
요약 = 249
제안 활동 = 250
참고 자료 = 252
제8부 심미적인 표현 증진시키기 = 253
예술이란 무엇인가? = 255
심미적 발달 = 256
미술 영역 = 256
음악 영역 = 257
미술 영역에서 아동 발달 촉진하기 = 259
아동의 작품 관찰하기 = 259
아동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262
재료 제공하기 = 268
새로운 프로젝트의 창조를 격려하기 = 270
미술활동을 꺼리는 아동을 유인하기 = 271
아동의 프로젝트 지속을 위한 도움주기 = 273
아동의 작품에 대해 존중하기 = 274
협력하도록 격려하기 = 277
교육과정을 통해 미술을 통합하기 = 278
음악 영역에서 발달 촉진하기 = 280
자유놀이 시간에 음악 창조하기 = 281
대ㆍ소집단 시간에 음악적 경험하기 = 287
요약 = 288
제안 활동 = 289
참고 자료 = 291
제9부 운동 능력 증진시키기 = 293
아동기의 운동 발달 = 295
성숙-교육 논쟁: 새로운 시각 = 299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논쟁 = 301
구조화된 게임 또는 개방적인 동작 = 304
경쟁에 대한 논쟁 = 307
특별한 운동 기술 증진시키기 = 311
잡기와 던지기 = 312
오르기 = 314
뛰기/걷기 = 316
점프하기 = 318
균형잡기 = 319
자전거 타기 = 320
신속하게 반응하기 = 322
안전에 대한 지침 = 323
소근육 발달 = 324
"우리 같이 해볼까" = 325
"나는 이쪽을 할게. 너는 저쪽을 해." = 326
요약 = 328
제안 활동 = 328
참고 자료 = 330
제10부 정서 발달 지지하기 = 331
건강한 정서 발달을 촉진하기 = 334
신뢰감 = 335
자율성 = 344
주도성 = 355
유능감 = 361
부모와 함께 지원하기 = 369
아동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주기 = 370
비지시적인 놀이치료 = 371
요약 = 377
제안 활동 = 377
참고 자료 = 379
제11부 놀이중재 및 문화적 다양성 = 381
교사-아동 상호작용과 문화적 다양성 = 384
의사소통의 차이와 놀이 개입 = 385
다중언어 교육과 놀이 개입 = 391
모든 언어에 대해 존중하기 = 393
놀이의 다양성과 사회적 중재 = 396
문화적 다양성과 교사-부모 상호작용 = 400
성차와 놀이 개입 = 406
거친 신체 놀이와 활동 수준 = 406
놀이 주제 = 407
놀이에서의 상징화 = 408
혼합 놀이집단 = 409
성유형화된 가작놀이 = 409
놀이 개입과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 = 412
활성화 = 415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을 지원하기 = 415
시각 탐지 = 417
놀잇감 적응 = 418
의사결정 = 419
자조기술 발달 = 419
사회적 상호작용 = 420
의미확대 의사소통 = 423
반 편견 교육과정 = 424
편견없는 환경 조성하기 = 424
편견에 도전하는 활동하기 = 425
편견없는 교사-아동 상호작용하기 = 425
요약 = 428
제안 활동 = 428
참고자료 = 430
참고문헌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