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291camcc2200409 c 4500 | |
001 | 000045775828 | |
005 | 20140225164901 | |
007 | ta | |
008 | 131017s2013 ulka 000c kor | |
020 | ▼a 9788926399880 ▼g 13590 | |
035 | ▼a (KERIS)BIB000013308984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09 | |
082 | 0 4 | ▼a 641.563 ▼2 23 |
085 | ▼a 641.563 ▼2 DDCK | |
090 | ▼a 641.563 ▼b 2013z1 | |
245 | 0 0 | ▼a 명의 14인의 365일 건강 밥상 : ▼b 음식이 암을 잡는다 / ▼d 강재헌 외 13인 공저 |
246 | 3 | ▼a 명의 십사인의 삼백육십오일 건강 밥상 |
260 | ▼a 서울 : ▼b 서울문화사, ▼c 2013 | |
300 | ▼a 263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질환별 명의가 제안하는 건강 정보 & 치유 밥상 | |
500 | ▼a 공저자: 김남규, 김영호, 노성훈, 명승권, 박정수, 양정현, 오한진, 이건욱, 임수재, 장안수, 정남식, 한설희, 허갑법 | |
500 | ▼a 부록: 냉장고에 붙여두고 보는 질환별 맞춤 식재료 | |
700 | 1 | ▼a 강재헌, ▼e 저 ▼0 AUTH(211009)79717 |
700 | 1 | ▼a 김남규, ▼e 저 ▼0 AUTH(211009)33535 |
700 | 1 | ▼a 김영호, ▼e 저 ▼0 AUTH(211009)122137 |
700 | 1 | ▼a 노성훈, ▼e 저 ▼0 AUTH(211009)95895 |
700 | 1 | ▼a 명승권, ▼e 저 ▼0 AUTH(211009)135128 |
700 | 1 | ▼a 박정수, ▼e 저 ▼0 AUTH(211009)128347 |
700 | 1 | ▼a 양정현, ▼e 저 ▼0 AUTH(211009)10636 |
700 | 1 | ▼a 오한진, ▼e 저 ▼0 AUTH(211009)6245 |
700 | 1 | ▼a 이건욱, ▼e 저 ▼0 AUTH(211009)67174 |
700 | 1 | ▼a 임수재, ▼e 저 ▼0 AUTH(211009)56150 |
700 | 1 | ▼a 장안수, ▼e 저 ▼0 AUTH(211009)79119 |
700 | 1 | ▼a 정남식, ▼e 저 ▼0 AUTH(211009)118667 |
700 | 1 | ▼a 한설희, ▼e 저 ▼0 AUTH(211009)50060 |
700 | 1 | ▼a 허갑범, ▼e 저 ▼0 AUTH(211009)13044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117128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310475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51319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117128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310475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641.563 2013z1 | 등록번호 151319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식습관만 고쳐도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부터 대사증후군, 각종 암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별 최고로 꼽히는 명의에게 질환에 대한 정보와 예방과 치료를 위해 지켜야 할 식습관에 대해 들어본다. 또한, 각 분야 최고 명의와 그의 병원 영양팀이 협업하여 구성한 365일 밥상 레서피! 영양의 균형을 맞춘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별미까지, 당신의 365일 밥상을 책임진다.
기존의 요리 중심 또는 정보 위주의 건강서는 잊어라!
질환별 대한민국 대표 명의 14인이 제안하는 건강 정보 & 치유 밥상 레서피를 소개합니다. 미리 건강을 챙기는 20대부터 당장 질병을 마주한 환자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건강·요리 필독서!
[도서 특징]
식습관만 고쳐도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 분야별 대한민국 최고의 명의들에게 듣는 질병 정보와 올바른 식습관!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부터 대사증후군, 각종 암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별 최고로 꼽히는 명의에게 질환에 대한 정보와 예방과 치료를 위해 지켜야 할 식습관에 대해 들어본다.
* 질환별로 이로운 식습관과 식재료로 구성한 365일 밥상 레서피
각 분야 최고 명의와 그의 병원 영양팀이 협업하여 구성한 365일 밥상 레서피! 영양의 균형을 맞춘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별미까지, 당신의 365일 밥상을 책임진다.
평균 수명 100세 시대가 곧 도래한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은 고희연 대신 100세 기념 잔치를 챙기겠지요. 하지만 의술이 발달해 병을 달래가며 연명하는 장수라면 무조건 환영할 일인 것만은 아닙니다. 사는 날까지 건강하게 사는 것이 최종 목표가 되어야 할 테니까요.
약식동원(藥食同源)이란 말이 있습니다. 약과 음식은 그 근원이 같다는 뜻이지요. 좋은 음식은 약과 같은 효능을 낸다는 말이지만, 다시 얘기하면 음식도 약처럼 ‘제대로’ 먹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TV 건강 관련 프로그램에 어디에 좋다는 식품이 방송되면 다음 날 아침 마트에서 그 식재료는 이미 동이 나 찾을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만큼 우리 모두 건강에 대해 지대한 관심이 있다는 얘기겠지만, 앞뒤 안 가리고 한 가지 식품만 맹신하다 보면 오히려 역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최고의 대표 명의 14인이 책을 펴냈습니다. 결코 한 가지 식품을 먹는 것만으로 병이 치료된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누군가에겐 이로운 식재료가 어떤 이에겐 해가 될 수 있고, 좋은 식품도 과잉 섭취하면 짐이 되는 것처럼 말이죠. 질환별로 이로운 식품과 해로운 식품을 바르게 이해하고 매일 식단을 정성스럽게 준비해 먹는 마음, 거기에 적절한 치료법 혹은 예방법이 더해질 때 시너지 효과를 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머지않은 미래엔 국민 세 사람 중 한 사람이 암에 걸린다고 합니다. 그에 맞춰 이겨낼 치료법도 함께 생기리라 희망합니다. ‘골골 100세’가 아닌, ‘건강 100세’를 누리시길 기원하는 마음으로 <명의 14인의 365일 건강 밥상>을 만들었습니다.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는 당신이 건강하다면 앞으로도 계속 건강하시라고, 혹시 병마와 싸우고 있다면 ‘병은 밥상 밑으로 도망간다’는 말처럼 ‘건강 밥상’ 차려 드시고 힘내 싸우시라고, 가족의 건강을 염려하는 주부라면 좀 더 편하고 지혜롭게 맛있는 밥상을 차리시라고 준비했습니다. 한 가지 더. 우리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건강 식단으로 바른 식습관을 갖게 된다면 미래에는 질병으로부터 한층 자유로워질 수 있을 거예요. '건강 100세' 누리세요!
정보제공 :

저자소개
양정현(지은이)
서울대학교 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병원 외과에서 수련 후 미국 로즈웰파크 기념 병원과 스웨덴 카롤린스카 단더레드 병원에서 유방암 연수를 하였다. 국립의료원 외과 전문의를 거쳐 성균관의대 교수 겸 삼성서울병원 유방 내분비외과 과장, 삼성 서울병원 무혈 수술 센터장, 삼성 서울병원 암센터장, 삼성 서울병원 진료부원장, 성균관의대 외과학교실 주임교수 겸 삼성서울병원 외과과장, 건국대 의무부총장, 건국대병원 의료원장 역임 후, 건국대병원 유방암센터장으로 근무중이다. 한국유방암학회 회장, 대한 내분비외과학회 회장, 대한 감시림프절연구회 회장, 세계유방암콘퍼런스 회장, 한국유방외과술기 연구회 회장, 대한 림프부종 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대한 유방외과 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미국 외과학술원회원, 미국종양학회 정회원, 미국유방외과학회 정회원이다. 저서로 『여성을 위한 암상식』, 『인턴 X』(역서), 『외과수술 원칙과 실제』, 『옷 갈아입는 의사』, 『당신도 암을 이길 수 있습니다』, 『유방암, 진료실에서 못다 한 이야기』, 『의사의 꿈』, 『유방과 사랑에 빠진 남자』 등이 있다.
허갑범(지은이)
1937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대중 대통령 주치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교수, 의과대학 학장을 지냈으며, 2006년 현재 당뇨병전문 허내과의원 원장,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2020년 1월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지은 책으로 <당뇨병 극복할 수 있다>, <비만증>, <뇌하수체선종>, <한국형 당뇨병 맞춤치료> 등이 있다.
강재헌(지은이)
가정의학과 전문의이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예방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의 과정을 마쳤고 시드니 대학교 비만센터에서 교환교수를 지냈다. 《조선일보》와 EBS 1TV 〈명의〉에서 비만 분야 한국 최고 명의로 선정되었다. 현재 대한비만학회 홍보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 『12주로 끝내는 마지막 다이어트』, 『소리 없이 아이를 망치는 질병 소아 비만』 등이 있다.
박정수(지은이)
의학박사. 연세대학교 의대를 졸업했다. 2014년 미국 슬론케터링 암 센터에서 지난 100년간 두경부외과 개척 100대 인물로 선정될 만큼 손꼽히는 수술실적과 실력을 가진 세계적인 명의 중에 명의다. 연세의대 교수,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MD 앤더슨 암병원 연수, 미국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 연수, 일본 노구치 갑상선병원 초빙교수, 일본 테이교대학 초빙교수를 거쳤다. 대한외과학회 이사장, 대한두경부종양학회 회장,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초대회장, 대한갑상선학회 초대회장, 아시아내분비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미국외과학술원 정회원, 미국임상종양학회 정회원, 미국두경부외과학회 정회원, 세계내분비외과학회 정회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서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암센터에서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국내외를 넘나드는 정상급 갑상선외과 전문의로서 1980년 초부터 현재까지 2만 5000례 이상의 수술을 했으며, 갑상선암 수술 후 20년 생존율 94% 이상, 합병증 발생 0.3% 이하의 경이적인 수술 성적을 자랑한다. 2014년에는 미국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에서 두경부외과를 개척한 지 100년을 맞이해 이 분야 발전에 기여한 100명을 발표했는데, 두경부외과 100대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논문으로는 국내 300여 편, 국제 15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 《박정수 교수의 갑상선암 이야기》, 《외과학》(공저), 《내분비외과학》(공저)이 있으며, 《갑상선 질환》, 《내분비외과》를 번역하기도 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암센터 거북이가족 카페 : http://cafe.naver.com/thyroidfamily
김남규(지은이)
세브란스 대장항문외과 교수이자 국내 대장암 최고 권위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세브란스에서 외과 전공의 과정을 마쳤으며 현재 동 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외과 전문의로서 지난 25년간 1만 건이 넘는 대장암 수술을 진행했다. 아시아태평양대장암학회 초대회장에서부터 미국 대장항문학회가 발행하는 공식 학술지 〈Disease of the Colon and Rectum(SCI IF; 3.5)〉 부편집인, 러시아 대장항문외과학회 명예회원, 영국 왕립외과학회 펠로우, 미국 대장항문학회 펠로우, 대한대장암연구회장, 대한종양외과학회장에 이르기까지 그는 국내외를 아우르는 학회 활동을 통해 분야 발전을 견인해왔다. 대장암 분야에 있어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그는 EBS 〈명의〉에 3차례 출연하면서 대중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었다. 장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온 그는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20년 동안 방송에 출연하고 강연을 해왔다. 그는 비만과 건강한 장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건강한 장은 우리 몸 건강을 좌우한다고 확신한다. 진료 일선에 있는 의사로서 그동안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 책 한권에 모두 정리했다. 저서로는 《대장암 완치 설명서》 《당신을 만나서 참 좋았다》가 있다.
명승권(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서울대병원에서 인턴 및 가정의학과 레지던트를 수료하고 가정의학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동대학원 예방의학 석사 및 가정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이자 암의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고, 가정의학과 외래에서 진료를 보고 있습니다. 메타분석의 전문가로 10여 년 동안 SCIE 국제학술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면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편집 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현재는 유튜브 1인 미디어 채널 〈명승권 TV〉를 통해 올바른 의학 및 건강 상식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며 자타 공인 국민 주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오한진(지은이)
을지대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이며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이자 대한비만건강학회장을 맡고 있다. 그리고 대한갱년기학회장, 대한임상영양의학회장, 대한탈모학회장,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정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이 밖에도 제일병원, 비에비스 나무병원, 관동의대 교수, 성균관의대 교수 등으로 일했다. SBS 모닝와이드 <닥터 오의 시크릿>, 채널 A의 <나는 몸신이다>에 출연하고 있으며, KBS 라디오의 주말 방송 <라디오 주치의 오한진입니다>의 MC를 맡아 진행했고, 이 밖에도 <오한진, 이정민의 황금사과>와 MBN TV <건강비법 100세로>, KBS <아침마당> <비타민> <생로병사의 비밀> MBC <생생정보통> <찾아라! 맛있는 TV> 등의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서 실생활에 꼭 필요한 조언들을 쉬운 말로 친근하게 아낌없이 풀어내는 의사로 활동 중이다. 푸근한 인상에 다정다감한 말투로 본인의 흉허물까지 털어놓는 솔직한 모습이 인기 비결이다. 다양한 유형의 사람을 만나고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 방송 출연도 마다하지 않다 보니, 올해로 방송 경력 20년이 훨씬 넘는 베테랑이 되었다. 청취자들과 실시간 소통하며 매일 다른 주제로 기탄없이 대화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이런저런 환자들의 속마음을 이해하는 폭도 넓어졌다. 그래서 정확한 의료 정보를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는 일에 사명감도 생겼다. 질병과 치료법에 대해 많이 알면 과잉 진료를 받거나 잘못된 의학 정보에 휘둘리거나 병원 쇼핑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서다. 이런 점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상> <대한가정의학회 공로상> 등을 받았다. 그는 오늘도 국민의 의료 상식을 높이기 위해 불철주야 병원과 방송가를 누빈다. 《중년 건강 백과》 《내 몸을 살리는 호르몬》 《마흔의 다이어트는 달라야 한다》 《국민주치의 오한진 박사의 동안습관》 《노화를 이기는 팔자건강법》 《통합의학 교과서》 등을 썼으며, 비만.갱년기.노인의학 분야에서 9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건욱(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과장 역임(1995-1996), 대한외과학회 정회원, 미국외과학회 정회원, 세계간담췌학회 정회원, 한국간담췌학회 정회원, 아시아간담췌외과학회 정회원, 대한의학회 정회원, 대한간학회 정회원, 대한간이식연구회 정회원, 대한간담췌외과학회 회장(2001-2003), 대한소화기학회 회장(2004-2005), 대한간암연구회 회장(2005-2006), 보건복지부 보건기술연구기획평가단 평가위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학사위원회 위원, 국방부 의무자문관
한설희(지은이)
건국대학교 신경과 교수 대한치매학회(구 대한치매연구회)를 창립한 치매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퇴행성 뇌질환과 치매를 전공한 의과학자이자 신경과 전문의이다. 미국 듀크대학교 의과대학 알츠하이머병 연구소에서 알츠하이머병 기초 연구를,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알츠하이머병 연구소에서 임상 연구를, 일본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에서 혈관성치매 연구를 수행하여 국내외적으로 연구 업적과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대한치매학회(구 대한치매연구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고,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원장, 건국대학교 병원장, 건국대학교 의료원장 겸 의무 부총장을 역임하였으며, 치매와 노인질환 관리와 예방에 관한 공로로 2003년 복지부장관 표창을, 2009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EBS <명의>, KBS <생로병사의 비밀>,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OBS <명불허전> 등 다수의 방송에 출연하여 ‘치매는 예방 가능한 질환’이라는 메시지를 꾸준히 전파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을 위한 치매 도서를 다수 집필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및 건국대학교병원 자문교수로 환자 진료와 연구를 계속하고 있고, 세계 유수 제약사들이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의 국제 임상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정남식(지은이)
현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장을 맡고 있으며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에서 진료 중. 일반 외래환자뿐 아니라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등 정·재계 인사들의 심혈관 질환 진료를 담당하여 ‘VIP 주치의’로도 알려져 있다.
김영호(지은이)
현재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비뇨기과 과장으로 재직하며 여성 비뇨기과, 전립선 질환, 배뇨장애, 남성의학 등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다. 치료하기 어려운 간질성 방광염을 방광을 보전하는 방법으로 수술하여 환자의 고통을 덜어준다.
노성훈(지은이)
1978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석사 학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위암 전문의로 활동하며 수술한 암환자는 8,000여 명, 수술 후 사망률 0.5%, 5년 생존율 64.8%라는 놀라운 치료 성과를 올리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최우수 임상교수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올해의 교수상’, 서울시의사회 ‘유한의학상’, ‘연세학술상’, 대한위암학회 ‘암학술상’, 대한의사협회 ‘의과학상’ 등을 수상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육계획위원회 위원장, 연세암센터 원장, KBS 의료자문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주임교수, 세브란스병원 위암전문클리닉 팀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암병원장으로 있다.
임수재(지은이)
현재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형외과에 재직 중이며 의료 선진국에서의 다양한 연수 경험을 토대로 6천 회 이상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며 관절 수술의 명의로 인정받고 있다.
장안수(지은이)
현재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에 재직하며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전문 분야로 진료하고 있다. 미국 인명 정보기관에 지식인 및 보건 전문가로서 등재되어 있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의다.

목차
목차 프롤로그 = 2 치유밥상 1. 지금 가장 걱정되는 7가지 암을 이긴다 위암 명의 노성훈이 제안하는 소화불량 제로 밥상 = 12 위암이란?/위암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4 위암을 잡는 식품 = 16 소화 능력을 끌어올리는 아침 밥상 : 가자미유자간장구이, 표고버섯연두부죽, 메밀묵오이무침 = 18 컬러 푸드로 맛과 영양을 살린 점심 밥상 : 연근전, 두반장돼지고기무침, 토마토가지찜 = 20 맵고 짜지 않은 저자극 저녁 밥상 : 숙주나물, 단호박조림, 쇠고기샤브샤브무침 = 22 고른 영양소가 기본, 주말 항암 밥상 : 고등어구이, 팽이버섯맑은국, 오리고기비빔밥 = 24 포만감은 높이고 위 부담은 줄인 간식 : 홍시요구르트, 연근칩, 누룽지치킨커틀릿 = 26 가벼운 한잔을 위한 건강한 술안주 : 두부과일샐러드, 차돌박이채소냉채 = 28 대장암 명의 김남규가 제안하는 편안한 대장을 위한 밥상 = 30 대장암이란?/대장암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32 대장암을 잡는 식품 = 34 쾌변 돕는 섬유소로 채운 아침 밥상 : 고구마채와 간 마, 사과잼 바른 구운 통밀식빵 = 36 대장의 유해물질 쓸어내리는 점심 밥상 : 뱅어포양배추무침, 쌀가루마전, 가지솥밥과 버섯강된장 = 38 장의 연동운동을 활성화하는 저녁 밥상 : 시금치달걀볶음, 닭가슴살양파볶음, 참치 넣은 시금치고추장찌개 = 40 대장을 지키며 고기도 즐기는 밥상 : 청포묵양배추숙채, 연어멸치볶음, 오리된장불고기와 상추쌈밥 = 42 트랜스지방 쏙 뺀 홈메이드 서양식 : 블루베리모닝주스, 고구마우엉채튀김, 두부채소햄버그스테이크 = 44 섬유소 듬뿍 담은 간식 : 생강청 바른 고구마스넥, 마사과양갱 = 46 간암 명의 이건욱이 제안하는 간을 구하는 밥상 = 48 간암이란?/간을 지키는 올바른 식습관 = 50 간암을 잡는 식품 = 52 간을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중화하는 아침 밥상 : 재첩국, 조기참기름찜, 숙주다시마채나물 = 54 면역세포 생성하는 간을 위한 점심 밥상 : 모둠버섯불고기, 부추된장찌개 = 56 담즙 분비 촉진하는 저녁 밥상 : 편육과 수삼겨자채, 문어어린잎초무침, 모시조개국 = 58 간의 독소를 해독하는 밥상 : 마늘종잔멸치볶음, 양배추깻잎초절이, 콩나물굴국밥 = 60 비알코올성 지방간 잡는 밥상 : 마늘곤약아스파라거스볶음, 토마토닭가슴살찜, 청국장비빔밥 = 62 소아 지방간을 예방하는 간식 : 바지락실곤약스파게티, 단호박셰이크, 두부티라미슈 = 64 유방암 명의 양정현이 제안하는 아름다운 가슴 지키는 밥상 = 66 유방암이란?/유방암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68 유방암을 잡는 식품 = 70 엽산 충전하는 아침 밥상 : 두부가지조림, 브로콜리마늘볶음, 시금치된장국 = 72 칼로리는 잡고 영양은 보강한 점심 밥상 : 쇠고기우엉말이, 콩비지찌개, 취나물볶음 = 74 암을 몰아내는 비타민 저녁 밥상 : 산마들깨샐러드, 연어데리야키조림, 미역유자청무침 = 76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채우는 한 상 : 닭고기레몬구이, 파프리카버섯볶음, 시금치참나물밥 = 78 세포의 독성화를 막아주는, 채소 가득 별미 요리 : 근대쌈밥, 매실소스가자미찜, 연근초절임 = 80 비만을 유발하는 인스턴트식품 대신 홈메이드 간식 : 닭가슴살포카치아샐러드, 사과견과류식빵구이, 단호박두유 = 82 갑상선암 명의 박정수가 제안하는 갑상선 질환을 치유하는 밥상 = 84 갑상선암이란?/갑상선 질환 환자의 올바른 식습관 = 86 갑상선 질환을 잡는 식품 = 88 에너지 충전하는 아침 밥상 : 새송이파프리카볶음, 오믈렛, 모시조개미역국 = 90 셀레늄이 풍부한 점심 밥상 : 버섯된장국, 삼치구이, 우엉당근영양밥 = 92 에너지 대사 활발하게 하는 저녁 밥상 : 수삼나박지, 닭안심단호박찜, 해물오이냉채 = 94 환자의 식욕을 돋우는 간식 : 망고라씨, 블루베리약식 = 96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를 위한 요리 : 닭안심브로콜리수프, 단호박카레라이스, 해물볶음우동 = 98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를 위한 요리 쇠고기 : 안심카레토르티야, 더덕냉채 = 100 호흡기 명의 장안수가 제안하는 숨을 틔워주는 밥상 = 102 천식이란?/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04 폐암을 잡는 식품 = 106 면역력 끌어올려 호흡기 질환 예방하는 아침 밥상 : 사과잼토스트, 감자조개수프, 푸실리샐러드 = 108 호흡 근육 강화하는 점심 밥상 : 양파고기전, 우엉영양쌈밥 = 110 폐에 쌓인 노폐물 씻어내는 저녁 밥상 : 도라지숙채, 미역배냉채, 오리구이무쌈 = 112 흡연자를 위한 비타민 밥상 : 무다시맛국, 돼지고기더덕구이, 채소모둠숙회 = 114 소아천식을 위한 엄마표 간식 : 바나나셰이크, 닭가슴살샐러드, 사과팬케이크 = 116 폐ㆍ기관지 기능 향상시키는 차 : 오미자차, 레몬차, 생강차, 도라지차, 구기자차 = 118 방광암 명의 김영호가 제안하는 방광이 시원해지는 밥상 = 120 방광암이란?/배뇨장애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22 비뇨기 질환 잡는 식품 = 124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아침 밥상 : 도토리전, 부추잡채, 찹쌀삼계죽 = 126 급성방광염을 위한 점심 밥상 : 연근고기튀김, 밤초무침, 마늘밥과 연어데리야키구이 = 128 자극 없이 방광을 편안하게 하는 저녁 밥상 : 복분자소스 곁들인 단호박샐러드, 오징어채소말이조림, 톳두부무침 = 130 배뇨 문제 일으키는 전립선비대증을 위한 밥상 : 토마토주스, 청국장주먹밥, 굴칼국수 = 132 저하된 신장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간식 : 복분자셔벗, 닭안심샐러드와 오렌지소스, 단호박크림소스파스타 = 134 이뇨 작용을 원활하게 돕는 건강 죽&차 : 계피차, 대추차, 팥죽 = 136 치유밥상 2. 암보다 더 무서운 생활습관병에 대처한다 심장 명의 정남식이 제안하는 고혈압 내리는 밥상 = 140 고혈압이란?/고혈압을 치유하는 올바른 식습관 = 142 혈압을 낮추는 식사 요법 D.A.S.H = 144 고혈압 식단의 기본, '저염 양념장' : 저염 소금, 저염 고추장, 저염 된장 = 146 소금 줄여도 싱겁지 않은, 맛있는 밥상 : 호박고지찹쌀구이, 파프리카호두볶음, 삼치유자청구이 = 148 식이섬유소와 단백질의 조화, 아침 밥상 : 시금칫국, 닭가슴살마늘장조림, 김치곡류삼합 = 150 저칼로리 점심 밥상 : 연근버섯장조림, 채소잡채 = 152 콜레스테롤 낮춘 저녁 밥상 : 낫토채소샐러드, 불고기송이볶음, 시래기홍합솥밥과 애호박 갈아 넣은 된장 = 154 콜레스테롤 낮춘 서양식 별미 : 오렌지머랭구이, 토마토 속 치즈그라탱 = 156 당뇨 명의 허갑범이 제안하는 내 몸에 맞는 당뇨 밥상 = 158 당뇨병이란?/당뇨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60 당뇨 식단 짜기 기본, 식품교환표를 이용하라 = 162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린 아침 밥상 : 배춧국, 달걀찜, 미역초무침 = 164 저염식 아메리칸 스타일 아침 밥상 : 새싹채소샐러드, 채소수프 = 166 단백질이 풍부한 점심 밥상 : 실파강회, 물오징어찌개, 닭구이와 채소쌈 = 168 야식이 생각나지 않는 든든한 저녁 밥상 : 부추무침, 콩나물국, 돼지고기김치볶음 = 170 영양소 균형을 맞추기 위해 꼭 필요한 간식 : 고구마칩&우유&과일, 볶은 콩가루 인절미구이&주스&과일 = 172 자연 재료로 맛을 살린 당뇨에 좋은 반찬 : 황태무침, 단호박양파볶음, 냉이나물 = 174 비만 명의 강재헌이 제안하는 건강한 다이어트 밥상 = 176 비만이란?/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78 필수 영양소는 챙긴다, 하루 1200kcal 저열량 식단 = 180 과식 방지를 위한 든든한 아침 밥상 : 병어조림, 오징어국, 닭가슴살달걀찜 = 182 저지방 고단백 점심 밥상 : 느타리버섯볶음, 조기구이, 맑은 감자국 = 184 양은 풍성, 열량은 적게, 다이어트 고기 저녁 밥상 : 오이ㆍ당근스틱&사과초고추장, 쇠고기안심구이, 곤약조림 = 186 열량은 같아도 포만감은 두 배, 다이어트 별미 죽 : 채소죽, 돼지고기장조림 = 188 소아비만 잡는 한식 밥상 : 버섯양파볶음, 닭안심간장조림, 잔멸치볶음 = 190 부족한 영양소 채워주는 어린이 간식 : 달걀샐러드 = 192 치유밥상 3. 100세까지 건강하게 노화에 맞서기 뼈ㆍ관절 명의 임수재가 제안하는 골밀도를 높여주는 밥상 = 196 골다공증이란?/단단한 뼈를 위한 올바른 식습관 = 198 골밀도를 높이는 식품 = 200 칼슘 고루 보충하는 아침 밥상 : 무말랭이고춧잎무침, 맑은 육개장 = 202 칼슘 듬뿍 든 소스를 곁들인 점심 밥상 : 오징어순대, 다시마오이냉국 = 204 칼슘 흡수 돕는 비타민 D가 가득한 저녁 밥상 : 고등어데리야키소스구이, 부추양파무침, 콩전 = 206 뼈를 위한 보양식 : 검은깨두부셰이크, 검은콩국수 = 208 중년 여성의 뼈ㆍ관절을 지켜주는 밥상 : 쑥미숫가루셰이크, 두부토마토샐러드, 크림소스연어파스타 = 210 튼튼한 골격 형성을 위한 어린이 도시락 : 어묵바, 미니김밥, 멸치강정 = 212 치매 명의 한설희가 제안하는 뇌를 맑게 하는 밥상 = 214 치매란?/치매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 216 치매를 잡는 식품 = 218 뇌를 깨우는 가벼운 아침 밥상 : 삼색 파프리카샐러드, 견과류와 블루베리를 넣은 콘플레이크 = 220 세포 손상 방지하는 점심 밥상 : 채소 곁들인 닭가슴살구이, 토마토김치볶음, 해물다시마찜밥 = 222 노인성 치매 예방하는 저녁 밥상 : 아스파라거스간장조림, 옥수수완두달걀전, 고등어우거지조림 = 224 뇌 활동 돕는 한 그릇 요리 : 현미아욱된장죽, 강황채소굴밥, 매실청낙지비빔국수 = 226 혈관성 치매 예방하는 지중해식 밥상 : 방울토마토마리네이드, 미트소스양송이버섯구이 = 228 치매 위험성 낮추는 푸른 식탁 : 베리주스, 브로콜리아몬드수프, 샐러드피자 = 230 치유밥상 4. 면역력 높여 암을 예방한다 명의 오한진이 제안하는 면역력 UP 밥상 = 234 면역력이란?/획득면역을 높이는 식습관 = 236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대표 영양소&식품 = 238 에너지 넘치는 하루를 위한 아침 밥상 : 시금치나물, 명란달걀찜, 호박버섯된장국 = 240 기력 책임지는 점심 밥상 : 닭가슴살채소볶음, 부추오이생채, 굴미역국 = 242 모든 영양소 두루 갖춘 저녁 밥상 : 대구양념구이, 양파달걀국, 콩나물파프리카냉채 = 244 감기 걸려 식욕 없을 때, 원기 회복 밥상 : 두부쪽파맑은국, 해바라기씨호박죽, 참치회덮밥 = 246 비타민 듬뿍 주말 일품요리 : 호밀빵샌드위치 = 248 명의 명승권이 제안하는 암 예방의 기본, 비타민ㆍ항산화제 밥상 = 250 암과 음식의 관련성/비타민ㆍ항산화제, 제대로 복용하는 법 = 252 필수 비타민과 항산화제, 음식으로 보충하라 = 254 부담 없이 가벼운 아침 밥상 : 수박껍질초무침, 생두부애호박채찜, 시금치팽이버섯된장국 = 256 새콤달콤, 입맛 돋우는 점심 밥상 : 두부양송이된장조림, 오이지무침, 견과류 넣은 콩나물영양밥 = 258 원기 회복 돕는 저녁 밥상 : 쇠고기애호박볶음, 마늘간장장아찌, 두부버섯된장전골 = 260 부록 : 냉장고에 붙여두고 보는 질환별 맞춤 식재료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