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간호학개론

간호학개론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면숙, 저 강윤숙, 저 고문희, 저 김덕희, 저 김세영, 저 김은경, 저 김종경, 저 김진현, 저 박광옥, 저 서문경애, 저 조성현, 저
서명 / 저자사항
간호학개론 / 정면숙 외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현문사,   2012  
형태사항
374p. : 삽화 ; 26cm
기타표제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예비 나이팅게일을 위한 입문서
ISBN
9788966301874
일반주기
공저자: 강윤숙, 고문희, 김덕희, 김세영, 김은경, 김종경, 김진현, 박광옥, 서문경애, 조성현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000 01170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775791
005 20131125091405
007 ta
008 120521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66301874 ▼g 93510 : ▼c \23000
035 ▼a (KERIS)BIB000012749869
040 ▼a 221002 ▼d 211009
082 ▼a 610.73 ▼2 23
085 ▼a 610.73 ▼2 DDCK
090 ▼a 610.73 ▼b 2012z10
245 1 0 ▼a 간호학개론 / ▼d 정면숙 외 공저.
246 1 3 ▼a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예비 나이팅게일을 위한 입문서
246 1 1 ▼a Introduction to nursing
260 ▼a 서울 : ▼b 현문사, ▼c 2012
300 ▼a 374p. : ▼b 삽화 ; ▼c 26cm
500 ▼a 공저자: 강윤숙, 고문희, 김덕희, 김세영, 김은경, 김종경, 김진현, 박광옥, 서문경애, 조성현 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700 1 ▼a 정면숙, ▼e
700 1 ▼a 강윤숙, ▼e
700 1 ▼a 고문희, ▼e
700 1 ▼a 김덕희, ▼e
700 1 ▼a 김세영, ▼e
700 1 ▼a 김은경, ▼e
700 1 ▼a 김종경, ▼e
700 1 ▼a 김진현, ▼e
700 1 ▼a 박광옥, ▼e
700 1 ▼a 서문경애, ▼e
700 1 ▼a 조성현,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0.73 2012z10 등록번호 131047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iii 
집필진 = vii
차례 = viii
환영합니다 = 1
 Ⅰ. 환영의 글 = 1
 Ⅱ. 간호학과에 입학한 우리는? = 3
 Ⅲ. 어떤 공부를 하나요? = 7
 Ⅳ. 여전히 궁금한 게 많지요? = 12
 Ⅴ. 자,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 19
Part 1. 간호학으로의 초대 = 21
 1장 간호의 본질 들어가기 = 23
  Ⅰ. 간호의 정의 = 23
   1. 과학으로서의 간호 = 24
   2. 예술로서의 간호 = 27
   3. 전문직으로서의 간호 = 30
  Ⅱ. 간호의 개념 = 32
   1. 인간이란? = 32
   2. 환경이란? = 38
   3. 건강이란? = 44
   4. 간호란? = 45
 2장 간호학이 추구하는 가치 = 55
  간호철학  
  Ⅰ. 철학의 이해 = 55
   1. 철학이란 무엇인가? = 55
   2. 철학의 분과들: 논리학,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 미학 = 57
  Ⅱ. 간호학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사조 = 71
   1. 경험주의 = 71
   2. 실증주의 = 73
   3. 합리주의 = 75
   4. 실용주의 = 76
   5. 현상화 = 77
   6. 실존주의 = 79
   7. 포스트모더니즘 = 80
   8. 페미니즘 = 82
  Ⅲ. 간호의 철학적 접근 = 85
   1. 간호의 본질에 대한 탐구 = 85
   2. 간호지식의 특성과 탐구 방법 = 86
   3. 간호의 윤리적 지식과 실천 = 87
  간호윤리  
  Ⅰ. 간호윤리의 개념 = 89
   1. 윤리란 무엇인가? = 89
   2. 간호윤리학 = 90
   3. 간호윤리의 중요성 = 91
   4. 윤리적 개념으로서의 돌봄 = 92
   5. 콜버그와 길리간의 도덕발달 이론 = 92
  Ⅱ. 생명윤리의 개념 = 93
   1. 생명윤리의 대두 배경 = 93
   2. 간호윤리학과 생명윤리학의 관계 = 94
   3.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능 = 94
  Ⅲ. 윤리적 사고 = 95
   1. 공리주의 = 95
   2. 의무론 = 100
  Ⅳ. 생명윤리 원칙 = 103
   1. 자율성존중의 원칙 = 103
   2. 악행금지의 원칙 = 104
   3. 선행의 원칙 = 105
   4. 정의의 원칙 = 105
   5. 윤리규칙 = 106
  Ⅴ. 윤리적 의사결정 = 108
  Ⅵ. 간호사 윤리강령 = 112
   1. 윤리강령이란 = 112
   2. 간호사 윤리강령 = 112
   3.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 113
   4. 간호대상자의 권리와 간호사의 보호활동 = 115
   5. 국제간호사 윤리강령 = 116
   6. 환자의 권리 = 117
  Ⅶ. 간호사와 대상자간의 윤리 = 118
   1. 생명공학과 관련된 윤리문제 = 118
   2. 인공임신중절과 관련된 윤리문제 = 119
   3. 안락사와 관련된 윤리문제 = 120
   4. 뇌사와 관련된 윤리문제 = 123
   5. 말기환자와 관련된 윤리문제 = 126
   6. 연구와 관련된 윤리문제 = 126
   7. 연구윤리위원회 = 128
  Ⅷ. 간호사와 협동자간의 윤리 = 129
   1. 간호사와 의사의 윤리문제 = 129
   2. 간호사와 타 직종의 윤리문제 = 130
   3. 간호사와 동료간호사의 윤리문제 = 131
   4. 간호업무의 관리에 대한 윤리문제 = 132
Part 2. 간호의 발자취 = 139
 3장 세계 간호역사 = 141
  Ⅰ. 서론 = 141
  Ⅱ. 고대와 초기 기독교시대의 간호 = 143
   1. 원시시대 = 144
   2. 고대 국가와 간호 = 144
   3. 초기 기독교와 간호 = 151
  Ⅲ. 중세 시대의 간호 = 155
   1. 중세전기 간호 = 155
   2. 중세후기 간호 = 157
  Ⅳ. 근대와 간호 = 160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 160
   2. 근대 간호의 특성 = 161
   3. 과학과 의학의 발달 = 164
  Ⅴ. 나이팅게일과 영국의 간호 = 166
   1. 나이팅게일과 간호 = 166
   2. 영국간호 = 174
  Ⅵ. 미국 및 북아메리카 간호 = 178
   1. 미국의 간호교육 = 179
   2. 초기 미국 간호교육기관 = 182
   3. 미국 간호교육의 원칙 = 183
   4. 초기의 간호지도자 = 185
   5. 간호조직체 활동 = 189
   6. 북아메리카 간호 = 190
  Ⅶ.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간호 = 192
   1. 프랑스 = 192
   2. 독일 = 193
   3. 네덜란드 = 194
   4. 벨기에 = 194
   5. 스칸디나비아 = 195
   6. 호주 및 뉴질랜드 = 195
  Ⅷ. 동양의 간호 = 196
   1. 중국 = 196
   2. 일본 = 197
   3. 인도 = 197
 4장 한국간호 역사 = 201
  Ⅰ. 조선시대 간호 = 201
   1. 조선시대의 간호상황 = 201
   2. 의녀제도 = 202
  Ⅱ. 구한말 간호의 교육과 발전 = 204
   1. 간호교육기관이 개설 = 204
   2. 간호활동과 전문적 조직체의 탄생 = 206
  Ⅲ. 일정시대 간호의 교육과 발전 = 207
   1. 간호교육의 변화 = 207
   2. 간호전문단체 조직과 제도의 변화 = 208
  Ⅳ. 해방 직후 및 정부수립기의 간호 = 210
   1. 간호교육기관 및 교육제도의 변화 = 210
   2. 간호 행정조직과 법규의 변화 = 211
   3. 군간호단 활동 = 211
   4. 전문간호활동 = 212
  Ⅴ. 한국전쟁과 전후복구기 간호의 교육과 발전 = 213
   1. 간호교육기관 및 교육제도의 변화 = 213
   2. 간호 관련 법규와 행정조직의 변화 = 215
   3. 전문간호활동 = 215
  Ⅵ. 한국간호의 성장기(1960년∼1979년) = 217
   1. 의료법개정과 간호제도의 변화 = 217
   2. 간호교육제도의 변화 = 219
   3. 전문직으로서의 성장 = 221
   4. 간호사의 해외진출 = 223
  Ⅶ. 발전기의 한국간호(1980년대 이후) = 224
   1. 간호제도의 발전 = 225
   2. 간호교육의 발전 = 227
   3. 전문직으로서의 발전 = 230
   4. 실무분야에서의 간호 발전 = 232
Part 3.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기 = 235
 5장  간호전문직의 특성 = 237
  Ⅰ. 전문직의 정의 및 특성 = 237
  Ⅱ. 간호전문직의 특징 = 240
   1. 자율성 = 241
   2. 윤리강령 = 241
   3. 전문교육 = 243
   4. 전문단체 = 243
   5. 전문지식 = 244
   6. 종사기간 = 244
   7. 사회봉사 = 245
   8. 자격규제 = 246
  Ⅲ. 간호전문직관 = 247
   1. 간호전문직관 정립의 필요성 = 247
   2. 간호전문직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 248
   3. 간호전문직의 사회화 = 248
 6장 간호사의 활동과 조직 = 255
  Ⅰ. 간호사의 역할과 활동 분야 = 255
   1. 병원간호사 = 256
   2. 보건직 공무원 = 257
   3. 교육자 = 258
   4. 간호행정가 = 259
   5. 전문간호사 = 260
   6. 조산사 = 260
   7. 연구원 = 261
   8. 간호장교 = 261
   9. 개업간호사 = 261
   10. 기타 진출 분야 = 262
  Ⅱ. 전문간호사와 간호사의 확대된 역할 = 262
   1. 전문간호사 = 265
   2. 간호사의 확대된 역할 = 269
  Ⅲ. 간호전문성 신장과 역할 확대 = 273
   1. 간호사의 전문권력 = 274
   2. 간호전문성 신장을 위한 전략 = 275
  Ⅳ. 전문직 단체 = 279
   1. 국제 간호관련 전문직 단체 = 279
   2. 국내 간호 관련 전문직 단체 = 285
 7장 간호사로서 책임 다하기 = 301
  Ⅰ. 간호사의 면허와 의무 = 302
  Ⅱ. 간호사의 권리와 의무 = 305
   1. 의료법에서 명시된 의무 = 305
   2. 판례에서 인정하는 간호사의 의무 = 307
  Ⅲ. 간호사의 법적 책임 = 311
   1. 민사책임 = 312
   2. 형사책임 = 313
  Ⅳ. 간호과오 = 315
Part 4. 더 넓은 시야 갖기 = 321
 8장 보건의료환경 이해하기 = 323
  Ⅰ. 보건의료체계 = 324
   1. 보건의료의 사회경제적 특성 = 324
   2. 의료시장의 구조와 정책 = 328
   3. 보건의료체계의 유형 = 331
   4. 진료비 지불제도 = 332
   5. 진료비 지불제도 = 334
   6.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성과 = 334
  Ⅱ. 건강보험제도 = 335
   1. 사회보장제도 = 335
   2. 건강보험제도 = 338
  Ⅲ. 보건의료정책 활동 = 343
   1. 정책의 개념 = 343
   2. 정책과정 = 343
   3. 정책의 결정과정과 참여자 = 344
   4. 간호정책 활동 = 345
 9장 세계로 나아가기 = 349
  1. 국제간호사협의회 학생 네트워크 = 349
  2. 세계보건기구 본부와 지역 사무소 = 350
  3. 한국국제보건이료재단 = 350
  4. 한국국제협력단 = 352
부록 = 355
 부록1. 한국 간호사 윤리선언 = 356
 부록2.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 = 357
 부록3. 한국 간호사 윤리지침 = 359
찾아보기 = 367 

관련분야 신착자료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
박훈평 (2022)
간호사연구소 (2022)
이강재 (2023)
간호사적응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