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지문화란 무엇인가

인지문화란 무엇인가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양해림, 저 유용욱, 저 류병래, 저 정윤승, 저 최동오, 저 박종덕, 저 윤종빈, 저
Title Statement
인지문화란 무엇인가 / 양해림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Physical Medium
260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지문화연구 시리즈 ;01
ISBN
9788975994180
General Note
공저자: 유용욱, 류병래, 정윤승, 최동오, 박종덕, 윤종빈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914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74900
005 20131115144047
007 ta
008 120516s2011 tjka b MB 000c kor
020 ▼a 9788975994180 ▼g 93000
035 ▼a (KERIS)BIB000012798539
040 ▼a KYOBO ▼c KYOBO ▼d 242009 ▼d 244002
082 0 4 ▼a 001.3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1z28
245 0 0 ▼a 인지문화란 무엇인가 / ▼d 양해림 [외]
260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1
300 ▼a 260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지문화연구 시리즈 ; ▼v 01
500 ▼a 공저자: 유용욱, 류병래, 정윤승, 최동오, 박종덕, 윤종빈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양해림, ▼e
700 1 ▼a 유용욱, ▼e
700 1 ▼a 류병래, ▼e
700 1 ▼a 정윤승, ▼e
700 1 ▼a 최동오, ▼e
700 1 ▼a 박종덕, ▼e
700 1 ▼a 윤종빈,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01.3 2011z28 Accession No. 1513184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지문화는 인지과학의 이해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인지과학이 마음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듯이, 그러한 인지과학은 철학, 심리학, 인류학 인공지능, 언어학, 신경과학 등 6개 분야의 학제적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저자들이 학제적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출판하게 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지문화연구 시리즈' 제1권이다.

주지하듯이 21세기를 인지시대라 일컫는다. 이제 21세기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아니라 인지시대(The Cognitive Age)를 맞이하였으며, 인지문화의 혁명(Revolution of Cognitive Culture)으로 대변된다. 인지문화는 인지과학의 이해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인지과학이 마음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듯이, 그러한 인지과학은 철학, 심리학, 인류학 인공지능, 언어학, 신경과학 등 6개 분야의 학제적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우리 집필진들은 학제적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기획시리즈를 출판하게 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양해림(지은이)

-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철학과에서 “빌헬름 딜타이의 사회철학: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2022년 대한민국 인권상(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받았다. 지은 책 『딜타이와 해석학적 사회체계』(2021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2), 『인권과 사회-개정판』(2021),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개정4판』(2020),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사유읽기-개정증보판-』(2020), 『철학자의 시사산책』(2019), 『시사프리즘, 철학으로 한국사회를 읽다』(2018), 『니체와 그리스 비극』(2017), 『기후변화, 에코(ECO)철학으로 응답하다』(2016),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2014), 『한스 요나스의 환경이야기』(2009), 『자크 라캉의 욕망이야기』(2009),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2008), 『에코 ․ 바이오테크시대의 책임윤리-과학기술의 진보와 이성』(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05), 『현상학과의 대화』(2003), 『미의 퓨전시대』(2002) 등 20여 권의 단독 저서 및 『인지인문학-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공저, 2015세종우수학술도서, 2016) 등 30여 권의 공저가 있다. 논문 “니체의 허무주의적 데카당스 불교관”,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양과 서양의 생산양식은 어떻게 이루어졌나-마르크스의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중심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의 소외는 극복될 수 있는가?”,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중심으로-”,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언어”,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학”, “해석학과 사회체계: 딜타이와 루만의 이해개념을 중심으로”, “인권과 민주주의-하버마스의 사실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니체의 몸철학-오해된 몸의 복권-” 등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윤종빈(지은이)

충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충남대학교 철학박사

류병래(지은이)

독일 튀빙엔대학교 Dr. phil. (언어학)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유용욱(지은이)

현서울에서 태어나서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다. 한국선사고고학을 전공하여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캐나다 맥길대학 인류학과에서 한국 임진-한탄강 유역의 구석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경남대학교 부설 극동문제연구소, 막스-플랑크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 한국학 센터, 서울대학교 박물관 등에서 조사 및 연구를 하다가 2009년부터 충남대학교 고고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는 충남대학교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현대고고학이론, 전곡리 및 한반도 중부의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북한고고학 등이다. 최근에는 고고학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 응용고고학 분야 중 관광고고학과 도시재생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고학과에서는 『고고학개론』, 『고고학연구법』, 『고고학사』, 『인류기원과 고고학』, 『서양고고학』, 『고고학과 자연과학』, 『석기문화』, 『관광고고학』, 『세계문화유산의 이해』 등의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는 『Beyond the Movius Line(2008), Hadrian Books』, 『(공저) 전곡 중2-5호선 개설공사 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2011), 서울대학교 박물관ㆍ연천군』, 『(공저) 한국 선사시대 사회와 문화의 이해(2011), 중앙문화재연구원』, 『(공저)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occupation in East Asia during OIS3 and OIS2(2012), Archeopress』, 『(영역) Jeongok Prehistory Museum(2016), 전곡선사박물관』, 『(번역) 타제석기의 제작과 이해(2017), 도서출판 진인진』, 『(공저) Archaeology of the Communist Era(2017), Springer Press』, 『(공저) 물질문화로 보는 한국의 고대사회(2018), 충남대학교박물관』, 『(공저) 한국 대중고고학 개론(2018), 도서출판 주류성』, 지인공간 『(근간)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2020), 도서출판 진인진』 등이 있다.

정윤승(지은이)

닉네임 정철학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교수 철학 박사(서양철학) 인성역전에서 윤리적 판단과 철학적 고찰을 담당하고 있다. 논쟁과 비판을 좋아하는 열정과 폭주의 아이콘. 불변의 진리를 구하는 철학자답게 트렌드나 신문물에 어두워 대화의 맥을 끊을 때가 종종 있다. 한때 가톨릭 사제가 될 뻔했다는 충격적인 과거의 소유자. #미개충 #수다맨 #폭주하는 #근자감 #나름쓸만한 #어디로튈지모르는

최동오(지은이)

충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펜실베니아 인디아나대학 문학박사

박종덕(지은이)

충남대학교 국문학과 강사, 충남대학교 문학박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01 현대 해석학과 인지과학의 역사적 맥락 -거울뉴런(mirror neuron)을 중심으로 / 양해림[충남대학교 철학과] 
 1. 들어가는 말: 인지문화 시대의 도래 = 13
 2. 현대 해석학과 인지과학의 역사: 인식론적 관점에서 = 21
 3. 거울뉴런(mirror neuron)이론 = 31
 4. 맺음말 = 41
02 고고학에서 '문화'라는 개념의 발생 과정 및 그 인지적 수준에 대한 평가 -구석기 연구를 중심으로 / 유용욱[충남대학교 고고학과]
 1. 서론 = 53
 2. 고고학의 태동과 문화 및 문화 변동 = 56
  1) 문화의 개념과 문화라는 단어의 기원 = 56
  2) 문화 진화론과 인류학의 성립 = 58
  3) 지리적 영역과 전파론 = 61
  4) 프랑스의 구석기 연구와 구석기 문화의 성립 = 63
 3. 현대 고고학의 성립과 문화의 개념적 한계 = 69
  1) 차일드의 고고학적 문화 = 69
  2) 무스테리안 논쟁으로 살펴 본 구석기 문화의 실체 = 74
 4. 동아시아에서 고고학의 발달과 문화 = 83
  1) 문화라는 개념의 수용과 사회진화론, 그리고 민족주의 = 83
  2) 문화가 고고학에서 斜用된 예-최남선, 도리이 류우조, 지아란포 = 88
 5. 결론-한국 구석기 고고학에서의 문화 = 105
03 공간의 인지와 한국어의 차원 어휘 / 류병래[충남대학교 언어학과]
 1. 서론 = 115
 2. 공간 인지와 언어 = 118
  1) 공간 인지 연구의 중요성 = 118
  2) 공간 인지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 120
 3. 공간 인지와 한국어의 공간 차원 어휘 = 132
  1) 한국어 공간 차원 어휘의 정의 = 132
  2) 한국어 공간 차원 어휘의 속성 = 140
 4. 맺는 말 = 147
04 화이트헤드의 지각이론에 관한 인지과학적 접근 -미소발생적 과정(Microgenetic process)을 중심으로 / 정윤승[충남대학교 철학과]
 1. 화이트헤드의 지각이론 = 155
 2. 인지심리학에서 미소발생(Microgenesis) 연구사 = 160
 3. 미소발생의 의미 = 162
 4. 글을 마치며 = 169
05 낭만주의와 마음의 과학 / 최동오[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1. 들어가는 말 = 173
 2. 낭만주의 신경과학과 마음 = 174
 3. 낭만주의적 인지와 상상력 = 178
 4. 낭만주의 마음의 시적 적용: 셸리의 경우 = 183
 5. 나가는 말 = 201
06 인지시학적 문학 비평의 현재적 의의 / 박종덕[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 서론 = 207
 2. 작가, 텍스트, 독자의 소통과 세계 이해 = 211
 3. 창작과정의 인지를 통한 문학 자료 = 217
 4. 한국적 문화 모형의 정립 = 222
 5. 결론 = 226
07 운암 한석지와 동무 이제마의 성명심신(性命心身)의 사상적(四象的)구조 / 윤종빈[충남대학교 철학과]
 1. 들어가는 말 = 231
 2. 운암의 생애 및 선진유학적 연원 = 233
  1) 운암 한석지의 생애 = 233
  2) 운암 한석지 학문의 선진유학적 연원 = 235
 3. 한석지 학문의 방법론적 계승자, 동무 이제마의 사상적 성명ㆍ심신관(四象的 性命ㆍ心身觀) = 249
  1)『동의수세보원』「성명론」에 나타난 성명의 사상적 구조 = 250
  2)『동의수세보원』「사단론(四端論」에 나타난 심신의 사상적 구조 = 254
 4. 나오는 말 = 2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