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ICT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

ICT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R&D정보센터, 편
Title Statement
ICT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 / R&D정보센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13  
Physical Medium
545 p. : 삽화, 도표 ; 30 cm
ISBN
9788994111605
000 00729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74872
005 20131115143443
007 ta
008 130617s2013 ulkad 000c kor
020 ▼a 9788994111605 ▼g 93500
035 ▼a (KERIS)BIB000013231941
040 ▼a 243001 ▼d 244002
082 0 4 ▼a 610.28 ▼2 23
085 ▼a 610.28 ▼2 DDCK
090 ▼a 610.28 ▼b 2013z2
245 0 0 ▼a ICT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 / ▼d R&D정보센터
246 3 ▼a 아이씨티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
260 ▼a 서울 : ▼b 지식산업정보원, ▼c 2013
300 ▼a 545 p. : ▼b 삽화, 도표 ; ▼c 30 cm
710 ▼a R&D정보센터, ▼e
910 0 ▼a 알앤디정보센터,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0.28 2013z2 Accession No. 1513185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ICT와 결합된 의료산업분야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한 책. 본서 제1편에서는 u-Health 산업동향분석, u-Health 서비스 상용화 및 연구기술개발, 표준화현황과 시장전망, mobile Health 산업동향분석, 차세대 ICT 바이오의료융합 기술개발동향에 대한 분석내용을 수록하였고, 제2편에서는 최근 국내·외 의료기기산업동향과 ICT 의료기기 기술개발동향분석을 또한, 스마트의료/의료기기 표준화동향 및 특허현황을 다루었으며, 끝으로 제2편 4장에선 의료기기 적용 가능 규격과 의료정보 표준현황을 정리 수록하였다.

본서의 특징


최근 전 세계는 인구의 고령화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급격한 의료서비스의 수요 증가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의료비용의 급증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평균 수명의 연장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막기 위한 수단을 요구하고 있으며, 전문 의료진의 부족현상이 심화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IT기술이 의료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융합되고 있다.

의료기기에 IT가 융합되어 기존의 의료기기를 고도화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의료기기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유헬스와 같이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가 등장하고, 병원의 정보화를 통해 효율화를 극대화하는 디지털병원, 대규모로 축적되는 의료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추구하는 Health 2.0 등 혁신적인 의료 IT융합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눈앞에 다가온 헬스 IT의 세계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소비자가 편하고 쉽게 전문가 또는 동료 소비자의 도움을 받아 건강관리를 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것이다. 이것이 유비쿼터스 헬스의 원래 뜻과 상당히 합치하는 듯하다. 그러나 현재 유비쿼터스 헬스는 원격의료 또는 공급자 중심의 의료관리를 주로 의미하고 있으므로 헬스 IT로 용어를 대체하는 것이 적당한 것 같다. 이는 유헬스의 공급자적 색을 탈색하고 소비자 중심으로 되돌아오기 위해서 불가피한 일인 듯하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ICT와 결합된 의료산업분야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ICT 바이오의료/의료기기융합산업 동향분석 및 표준화 기술개발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편에서는 u-Health 산업동향분석, u-Health 서비스 상용화 및 연구기술개발, 표준화현황과 시장전망, mobile Health 산업동향분석, 차세대 ICT 바이오의료융합 기술개발동향에 대한 분석내용을 수록하였고, 제2편에서는 최근 국내·외 의료기기산업동향과 ICT 의료기기 기술개발동향분석을 또한, 스마트의료/의료기기 표준화동향 및 특허현황을 다루었으며, 끝으로 제2편 4장에선 의료기기 적용 가능 규격과 의료정보 표준현황을 정리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편 ICT 의료 산업 동향 분석
제Ⅰ장 u-Health 산업 동향 분석 
1. u-Health 산업의 중요성 
1) u-Health의 정의 
2) u-Health 산업의 범위 
3) u-Health 기술의 분류 
4) u-Health의 중요성 
2. 글로벌 u-Health 산업 동향 
1) 해외 u-Health 시장 
(1) 해외 u-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2) 주요 u-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2) 해외 u-Health 정책 및 프로그램 
(1) 미국의 u-Health 프로그램 
(2) 일본의 u-Health 정책 및 서비스 
가. 일본의 u-Health 정책 
나. 일본의 u-Health 서비스 
(3) 유럽의 u-Health 정책 및 서비스 
3) 해외 u-Health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1) 해외 u-Health 특허 분석 
(2) 국외 u-Health 산업 세부 주요 기업 
가. GENERAL ELECTRIC 
나. PHILIPS ELECTRONICS 
다. MEDTRONIC INC 
라. MICROSOFT CORP 
마. SIEMENS 
3.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 국내 u-Health 시장 
(1) 국내 u-Health 시장 현황 
(2) 연구보고서별 국내 u-Health 시장의 현황 및 전망 
2) 국내 u-Health 정부 정책 및 투자현황 
3) 국내 u-Health 서비스 현황 
4) 국내 u-Health 산업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1) u-Health 국내 특허 분석 
(2) 국내 u-Health 세부 주요 기업
가. 삼성전자 
나. LG전자 
다. SK텔레콤 
(3) 분석 외 국내 u-Health 주요 기업 
가. KT 
나. 인성정보 
다. 비트컴퓨터 
라. 유비케어 

제Ⅱ장 u-Health 서비스 상용화와 연구기술 개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1.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1) ICT 융합 서비스 동향 분석 
(1) 생활밀착형 ICT 융합 서비스 추진 동향 및 발전 방향 
가. 개념 및 필요성 
나. 국내외 추진 동향 
다. 서비스 유형 및 종류 
라. 국내 생활밀착형 ICT 융합 서비스 발전 방향 
(2) 통합커뮤니케이션기반 의료ICT 융합서비스 현황 및 정책 방향 
가. 환경변화 및 발전전망 
나. 서비스 현황분석 
다. 시장현황 및 전망 
라. 정책이슈 및 정책방향 
(3) 스마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도입 방안 및 정책 방향 
가. 서비스 도입 배경 
나. 스마트 시대의 스마트 헬스케어 
다. 스마트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방안 
라. 법ㆍ제도적 쟁점 및 개선 방향 
마. 정책방향 
2)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1) 디지털 혁명이 바꿔 놓을 Healthcare의 미래 
가. Smart Healthcare 시대 
나. Human Centered ? 사람이 주인공이 되는 자기주도적 맞춤형 건강관리 
다. Digital Hospital ? ICT 기술이 만드는 편리하고 스마트한 병원 
라. Smart Care ? 원격진료의 진화와 글로벌 진료의 확산 
마. Big Data ? 빅데이터가 의료산업의 자산이 되는 시대 
바. Healthcare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과제 
사. ICT Convergence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과제 
(2) 의료 ICT 융합 산업의 효과적 비즈니스 모델 구축방안 
가. 헬스케어 시장 동향 
나. 헬스케어 시장 특수성과 ICT 융합서비스 
다. 헬스케어-ICT 융합 비즈니스 모델의 고려사항 
라. 효과적 헬스케어-ICT 비즈니스 모델 구축전략 
(3)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가. 상용화 현황 개요 
나. 국내 u-Health 관련 법제도 현황 
다. u-Health 산업의 Value-chain 
라. 법제도 제약과 u-Health 산업 Value-chain과의 관계 
마. u-Health 사업의 추진 과제 
(4) u-Health Service 법제도 개선방안 
가. u-Health 서비스의 정의 
나. u-Health 서비스의 쟁점별 법-제도 개선방안 
2. u-Healthcare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1) u-Healthcare 연구개발 개요 
(1) U-healthcare 개념 
(2) U-healthcare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3) U-healthcare의 시스템의 구성 
(4) 표준화 동향 
가. IEEE 11073 PHD(Personal Health Device) 
나. HL7 CDA 
2) U-Healthcare 국내외 동향 
(1) 산업 활성화 
가. 선진국 
나. 국내 
3) U-healthcare 연구개발 동향 
(1) 연구개발 
(2) 해외 
가. 유비쿼터스 응용분야 
나. 휴대형 생체 신호 계측 분야 
다. 의료정보 전송 표준화 부문 
(3) 국내 
가. 유비쿼터스 응용분야 
나.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연구개발 
다. 정책동향 
4) 국내 U-healthcare 연구개발 발전방향 
(1) 현황 
(2) 기술 현황 및 과제 
(3) u-Healthcare 활성화를 위한 인증체제 시스템 개선 
(4)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3. u-Health 표준화 현황과 발전 방향 
1) 스마트 의료정보 표준 포럼 운영 
(1) 국내외 현황 
가.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나.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2) 포럼 구성 및 운영 
가. 목적 및 필요성 
나. 연혁 
다.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2) 유헬스-웰니스 표준현황과 발전 방향 
(1) 유헬스와 웰니스 
가. 유헬스 흐름과 현황 
나. 웰니스(Wellness)의 정의 
다. 웰니스와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살펴 본 의료산업 현황 
(2) 웰니스 기술요소와 표준현황 
가. 웰니스 기술요소 및 표준화 대상 
나. 웰니스 표준현황 
(3) 향후 전망과 발전방향 

제Ⅲ장 mobile Health 산업 동향 분석 
1.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1) 현황 개요 
2) ICT 업계의 사업추진 현황 
(1) Telco 사들의 사업추진 현황 
(2) 이외 ICT 기업의 사업추진 현황 
3) 시장 현황 및 전망 
4) 추진과제 
2.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 해외 사례 및 정책 시사점 
1) 배경 및 목적 
2) 국민의료비 지출 규모와 전망 
3) 고령화가 국민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4) 우리나라의 고령층 건강관리서비스 현황 
5) mHealth 해외 사례 
(1) 미국: 만성질환 관리 중심의 mHealth 확대 추진 
(2) 일본: mHealth를 활용한 거택개호서비스 효율화 
(3) 인도: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mHealth 
6) mHealth 도입 시 기대효과 
7) 정책 시사점 
3. 모바일 헬스(mHealth) 세계 동향 
1) mHealth?況 
(1) モバイル技術を?療ㆍヘルスケア分野に活用 
(2) mHealth市場規模は2017年には230億ドル市場に 
(3) サ-ビスカテゴリ- 
2) 先進市場と新興市場でのmHealthの特色の違い 
(1) 先進市場の課題は「?療コスト?大」˜mHealthでコスト抑制を狙う 
(2) 新興市場の課題は「?療インフラ不足」˜mHealthを?療インフラに 
3) 各國のmHealthに?する政策と主要キャリアの取り組み 
(1) EU 
가. EUでのeHealthへの取り組み˜國境を越えた?療サ-ビス?現に向けて 
나. ?州キャリアにおける取り組み 
(2) 米國 
가. 米國の?療ICT政策˜2009年から4年に渡り200億ドルを投資 
나. 米國キャリアにおける取り組み 
(3) 韓國 
가. 韓國のuHealth?略˜2014年までに3兆ウォン市場規模に?大 
나. キャリアにおける取り組み 
(4) 新興市場(アフリカ、バングラデシュ) 
가. 新興市場でのmHealth普及を目指すmHealthアライアンス 
나. アフリカ 
다. バングラデシュ 
4) mHealthにおける課題 ˜最大の課題は「ビジネスモデルの確立」 
4.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및 표준화 동향 
1) 기술개요 및 최근 주요이슈 
(1) 모바일 바이오인식 융합보안기술 
(2) 지능형 CCTV 영상감시 융합보안기술 
(3) 모바일 메디컬 바이오인식 융합기술 
2) 국내외 모바일 바이오인식 산업동향 및 전망 
(1) 해외 시장규모 및 업체동향 
가. 해외 관련시장 규모 
나. 해외 관련업체 동향 
(2) 국내 시장규모 및 업체동향 
가. 국내 관련시장 규모 
나. 국내 관련업체 동향 
(3)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분석 
가. 기술적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나. 시장/상용화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다. 특허/논문/표준화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라. 정부정책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마. 글로벌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국내 대응전략 
3) 국내외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동향분석 
(1) 모바일 바이오인식 융합보안기술 동향 
(2) 지능형 CCTV 영상감시 보안기술 동향 
(3) 모바일 메디컬 바이오인식 융합보안기술 동향 
4) 국내외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화 현황 및 전망 
(1) 국제표준화 활동현황 및 전망 
가. ISO분야 
나. ITU 분야 
다. 아시아 사실표준 분야 
라. 국내외 표준화 수준 및 전망 
(2)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연구회 활동현황 및 향후계획 
5) 정부정책 제언 및 시사점 

제Ⅳ장 차세대 ICT 바이오의료 융합기술 개발동향 
1. 기술의 개요 
1) 초소형 의료 로봇 기술 
2) 지능형 진단 칩 기술 
(1) 실시간 건강 진단용 전자헬스 칩 기술 
(2) 랩온어칩(Lab-on-a-chip) 기술 
3) 의료영상기술의 융합화 및 레이저 의료기술 
4)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 
5) 원격수술시스템 기술 
2. 차세대 IT바이오의료융합기술의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1) 주요국의 IT바이오의료융합기술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한국 
가. 융합기술의 정의 및 정책 
나. 융합기술의 추진현황 
다. 국내 연구개발 수준 
2) 초소형 의료 로봇 기술 
(1) 기어 다니는 초소형 로봇 
(2) 딱정벌레 모양의 초소형 로봇 
(3) 마이크로 로봇 
(4) 캡슐형 내시경 로봇 
3) 지능형 진단 칩 기술 
(1) 전자헬스 칩 
(2) 랩온어칩(Lab-on-a-chip) 
가. 모세관형시스템 
나. 압력구동형 시스템 
다. 동전기형 시스템 
4) 의료영상기술의 융합화 및 레이저 의료기술 
(1) PET-CT 영상, PET-MRI 영상 등 영상기술의 융합화 
(2)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기술 및 진단기술 
가.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기술 
나. 레이저를 이용한 진단기술 
5)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 
(1)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의 정의 
(2) 주요국의 의료정보화 정책 
(3) u헬스케어 서비스 개발동향 
(4) u헬스케어 서비스 기대효과 및 현안과제 
6) 원격수술시스템 
(1) 다빈치 원격수술시스템 
(2) 원격로봇수술 
3. 국내외 학술연구정보 분석 
1) 연도별 학술논문 분석 
2) 주요 국가별, 연구기관별 논문실적 분석 
4. 기술 전망 및 정책 제언 
1) 기술의 전망 
2) 정책제언 

제2편 ICT 의료기기 산업 동향 분석
제Ⅰ장 국내ㆍ외 의료기기 산업 동향 
1. 의료기기산업 개요 
1) 의료기기산업의 정의 및 특성 
(1) 의료기기산업의 정의 
(2) 의료기기산업의 특성 
2) 의료기기 분류 
(1) 일반 분류 
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료기기 분류 
나. 과학기술표준분류의 의료기기 분야 
다. 지식경제부의 산업기술분류(바이오ㆍ의료) 
(2) 산업 및 시장 관련 분류체계 
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의료기기산업 관련 분야 
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기기 유형군 분류(16개 유형) 
다.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등의 의료기기산업 범위 
2. 세계 의료기기산업 동향 
1) 세계 의료기기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2) 세계시장 전망 
(3) 주요 국가별 동향 
2) 주요국 의료기기 시장 동향 
(1) 미국 
가. 시장현황 
나. 수출입 현황 
(2) 중국 
가. 시장현황 
나. 수출입 현황 
(3) 독일 
가. 시장현황 
나. 수출입 현황 
(4) 브라질 
가. 시장현황 
나. 수출입 현황 
3. 국내 의료기기산업 동향 
1) 시장 동향 
(1) 개요 
(2) 업체 현황 
(3) 인력 현황 
(4) 생산 현황 
(5) 매출 현황 
가. 의료기기 제조업체 매출현황 
나. 의료기기 수입업체 매출현황 
(6) 수ㆍ출입 현황 
2) 주요 교역국에 대한 수출입 동향 
(1) 우리나라 의료기기의 對 4개국 수출입 현황 
가. 對 4개국 수출액 규모 
나. 對 대 4개국 수입액 규모 
(2) 미국 
가. 對 미국 수출입규모 
나. 對 미국 수출입 주요 품목 
(3) EU 
가. 對 EU 수출입규모 
나. 對 EU 수출입 주요 품목 
(4) 일본 
가. 對 일본 수출입 규모 
나. 對 일본 수출 주요 품목 
(5) 중국 
가. 對 중국 수출입 규모 
나. 對 중국 수출 주요 품목 
3) 주요 기업 경영성과 
(1) 분석 개요 
(2) 성장성 주요 지표 
가. 매출액 증가율 
나. 총자산 증가율 
다. 유형자산 증가율 
(3) 수익성 지표 
가. 매출액 영업이익률 
나. 매출액 대 EBIT 
다. 매출원가율 
라. 매출액 대 판매관리비 
(4) 안정성 주요 지표 
가. 부채비율 
나. 자기자본비율 
다. 유동비율 

제Ⅱ장 ICT 의료기기 기술개발 동향 분석 
1. 의료기기의 융합화ㆍ스마트화 기술 동향 개요 
1) 의료기기의 융합화ㆍ스마트화 동향 
(1) 진단 
가. 정확성 향상 
나. 신속성 향상 
다. 접근성 향상 
(2) 치료 
(3) 사후 관리 
2)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국내외 원격의료 동향 
(1) 스마트폰 앱 이용 원격의료 개요 
(2)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의료 동향 
가. 국외시장 현황 
나. 국내시장 현황 
(3)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의료의 난제 
가. 원격의료 주체 간 제약 
나. 의료정보 보호 
(4)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의료의 전망과 해결방안 
3) 유헬스케어를 위한 인체통신망 기반의 인지무선 보안 고려사항 
(1) 보안 기술 개요 
(2) 관련연구 
가. 유헬스케어 
나. 인체통신망 
다. 인지무선 
(3) 인체통신망 기반의 인지무선(CR-MBAN) 
(4) 유헬스케어를 위한 인지무선 기반 인체통신망의 보안 고려사항 
2. 의료정밀기기 u-헬스케어 기반 기술 시장 동향 
1) u헬스케어 핵심장비로 의료정밀기기 부상 
2) u헬스케어 기반 기술 동향 
(1) ICT기반 의료서비스 
(2) 병원과 개인의 일원화 
가. ‘U-헬스’ 산업구조 
나. ‘U-헬스케어’ 성장을 위한 정책적 선결과제 
(3) 대기업 진출 동향 
가. 삼성 그룹의 헬스케어 사업 진출 현황 
나. LG 그룹의 헬스케어 사업 진출 현황 
다. SK 그룹의 헬스케어 사업 진출 현황 
라. KT 그룹의 헬스케어 사업 진출 현황 
3) 사회적 배경 
(1)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가. 박근혜 정부의 ‘보건산업을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 중소기업 성장 정책 
나. 정부의 헬스케어 산업 관련 활동 
(2) 초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의료기기 
4) 의료정밀기기 수출, 생산현황 
(1) 수출 현황 
(2) 생산 현황 
3. 융합기술을 통한 재활의료기기 기술 동향 및 전망 
1) 재활의료기기 기술 개요 
(1) 성장배경 
(2) 분류 
(3) 법적/제도적 배경 
2) 산업전망 
(1) 세계 주요 시장 규모 및 현황 
(2) 국내 재활의료기기 생산 규모 
3) 기술동향 
(1) 재활의료기기 기술의 범위 
(2) 이동지원기기 기술 동향 
가. 첨단 전동휠체어 기술 동향 
나. 자율주행 지원기술 
다. 근력보조슈트 기술 
라. 생활지원기기 
마. 고령자 일상 활동 분석 및 간병 지원을 위한 모바일 기기 동향 
바. 신체기능 복원기기 
사. 재활훈련기기 
4) 전망 및 정책제언 
(1) 재활의료기기 전망 
(2) 정책 제언 
4. 융합전자 의료기기 국내ㆍ외 최신 동향 
1) FDA ISSUE 
(1) FDA, 소아 심부전환자용 인공보조심장장치 승인(FDA approves mechanical cardiac assist device for children with heart failure) 
(2) FDA, 의료기기 허가 고려사항 관련 신규 가이던스 발행(New FDA guidance on consideration used in device approval, de novo decisions) 
(3) FDA, 체외형인공심장박동기 2등급 재분류 작업 지원 가이던스 초안 발행(FDA proposes lower risk classification, special controls for external pacemaker) 
(4) FDA, 환자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민ㆍ관 협력지원 컨소시엄 구성 추진(FDA announces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develop regulatory science that will speed patient access to new medical device technologies) 
(5) FDA, 피하 이식형심장충격기 첫 승인(FDA approves first subcutaneous heart defibrillator) 
(6) FDA, 치밀형 유방조직 진단하는 유방초음파진단장치 첫 승인(FDA approves first breast ultrasound imaging system for dense breast tissue) 
(7) FDA, 세인트쥬드메디칼 이식형심장충격기 Riata 리드의 조기절연 결함, X-ray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한 모니터링 권고 
(8) FDA 의료기기 식별코드 시스템 발표(FDA proposes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2) 최신 국제규격 정보 
(1) ISO 제ㆍ개정 현황 
(2) IEC 제ㆍ개정 현황 
(3) 유럽의 국제규격 조화 및 적용 현황 
3) 최신 국내 규제 동향 
(1)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ㆍ개정 현황 
(2) 식품의약품안전청 가이드라인 발간 현황 
4) 해외 연구 개발 동향 
(1) 음악을 통한 자동 충전 의료기기 
(2) 로봇 팔을 이용한 뉴런 활동정보 자동 분석 
(3) 태아 심음 측정을 위한 블루투스 모니터링 시스템 
(4) 초고속 레이저를 이용한 탁상용 X-ray 개발 
(5) 10분극 심장제세동기 시스템 첫 승인 
(6) FDA, 유방암 진단 시스템(Breast Companion? Software System) 승인 
(7) "인간의 뇌활동을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초소형 센서 개발" 
(8) 선천적 시각장애인을 위한 Sonar Vision 시스템 
(9) 생체 신호를 저비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 
(10) 귀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의료 장치 
(11) 머리 내에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스위치 
(12) 난치성 고혈압 치료 ''심플리시티'' 
(13) 이식형 심장 펌프의 무선 충전 시스템 
5) 국내 연구 개발 동향 
(1) 근적외선 형광 이용 癌진단 장비 개발 
(2) 올해 의료기기 시장 키워드 ‘소형화ㆍ모바일화’ 
(3) 지경부, 건강모니터링 매트리스 등 협력과제 개발 추진 
(4) 양성자치료기ㆍ128채널 PET-CT 등 도입 가속화 
(5)‘PET-MR’美FDA 승인-멀티트랜스미트-아스토니시 기술 등 최첨단 테크놀로지 도입 
(6) 3D 입체 경성 내시경 출시, CCD센서, LED광원 등 첨단 기술 적용 
(7) 뇌에 칩 이식 - 인간제어 美특허 
(8) 스마트폰과 연동해 사용하는 의료장비 개발 활발 
(9) AB코리아ㆍ포낙 등 편리성 강화된 제품 출시 
(10) 재활 치료용 3차원 균형훈련기 개발 
(11) 인성정보, 글로벌 유헬스 시장 ‘정조준’ 
(12) 썸텍, 국내최초 3D 입체 복강경 식약청 승인 
(13) 삼성메디슨 초음파기기 ‘UGEO G60’ 출시 
(14) KERI, 스마트 원격의료기기 개발 
(15) 혈관 ‘구석구석’을 누비는 마이크로로봇 
(16) MRI 검진 가능 인공심장박동기 

제Ⅲ장 스마트의료ㆍ의료기기 표준화 동향 및 특허 현황 
1. 스마트의료ㆍ의료기기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스마트의료(홈헬스케어)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범위 
가. 법적인 범위 
나. 기술적 범위 
다. 기능적 범위 
라. 구성적 범위 
3) 산업기술 및 연구동향 
(1) 기술동향 및 연구개발 현황 
가. 기술동향 
나. 우리나라 각 정부 부처별 연구개발 사업현황 
(2) 산업 동향 
가. 한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유럽 
(3) 시장 동향 
(4) 제품 개발 및 상용화 사례 
가. 국내 홈헬스케어 의료기기 개발 및 서비스 사례 
나. 국외 홈헬스케어 의료기기 개발 및 서비스 사례 
2. 스마트의료(홈헬스케어) 의료기기 표준화 동향 
1) 표준화 목표 및 필요성 
(1) 표준화 대상항목 
(2) 중점 표준화 항목별 중기(3개년) 표준화 로드맵 
(3) IEEE 802.15.4 표준화 
(4) IEEE 1451.x 표준화 
(5) 홈헬스케어 관련 기술별 표준화 동향 
가. 질환별 행위패턴 DB 구축 및 행위 추적 기술 
나. 고혈압, 심장병, 암, 치매 등 성인병 관련 행위분석을 통한 위험행동 판단/경고 기술 
다. Smart환경에서의 적응형 케어 기술 
2) 홈헬스케어 의료기기 표준화 추진 체계 구축 
(1) 홈헬스케어 의료기기의 정보교환 
(2) 에이전트와 매니저 사이의 정보 교환 
가. 응용계층에서의 자료교환 표준 
나. 기기별 특성 표준 
(3) 매니저와 응용시스템 사이의 정보교환 
(4) manager와 server 사이의 정보교환 
(5) 홈헬스케어 의료기기의 정보보안 
가. 정보 보안의 3요소 
나. 정보 보안 3요소에 따른 보안 원칙 
(6) 사용자 정보 보안 
가.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 
나. 사용자 정보의 무결성 
(7) 네트워크 정보 보안 
가. 정보 전송에 대한 사항 
나. 사용자 인증 및 접속 권한에 대한 사항 
다. 사용자 정보에 대한 통제권 
3) 홈헬스케어 의료기기의 신뢰성 
(1) 기술적 신뢰성 
가. 전기ㆍ기계적 안전성 
나. 통신 
다. 콘텐츠/서비스(Contents/Service) 
(2) 임상적 신뢰성 
가. 임상적 신뢰도 
나. 임상적 표준화의 필요분야 
3. 스마트의료(홈헬스케어) 의료기기 특허 현황 
1) 분석대상 특허 
(1) 특허기술동향 분석대상 특허 
(2) NPEs 보유특허 및 소송특허 
2) 특허기술 분류체계 
3) U-Health 기술 세부 특허 동향 
(1) 주요 시장국 연도별 특허동향 
(2) IP(특허)로 본 각국의 질적 수준 및 시장 확보력 
(3) 관련 분야 주요 경쟁자 현황 
(4) 관련 분야 신규 시장 진입자 
(5) 산업 기술별 세부 동향 
4) U-Health 기술 성장 가능성 
(1) 주요 기술별 부상성 
(2) 주요 기술별 기술 분화 및 부상 현황 
(3) 주요 기술별 성장 가능성 
(4) 세부 기술의 다출원인 시장 점유 
5) 스마트의료(U-Health) 분야 특허 경쟁력 
(1) 특허 소유권자 분포 
(2) 세부기술별 특허 평가 분석 
가. 원격의료기술 
나. 의료장비와 의료정보의 연계기술 
다.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라. 의료정보의 교환/보안 
마. 의료지식의 표현 
4. 표준화동향 및 특허현황 시사점 

제Ⅳ장 스마트의료ㆍ의료기기 표준화ㆍ특허 
1. 의료기기 적용 가능 규격 
2. 의료정보 표준 현황 
1) 제정된 국제표준(규격) 현황 
2) 현재 제정 중인 국제 표준(의료정보) 
통계 (도표) 목차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