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천ㆍ지ㆍ인 통합의 기호론적 공간 = 9
Ⅰ. 연구사 검토 및 시적 공간의 의미 = 9
1. 연구사 개관 = 9
2. 연구 목적 = 14
3.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15
Ⅱ. 시 텍스트 산출의 발화점 = 22
1. 신체공간의 定位와 기호작용 = 22
2. 공간의 분절과 의미작용 = 26
Ⅲ. 수직공간의 텍스트와 그 의미작용 = 42
1. 산ㆍ방의 기호체계와 천상지향의 매개공간 = 45
2. 줄ㆍ배설물의 기호체계와 상하운동의 매개공간 = 79
3. 꽃의 기호체계와 개화ㆍ개방의 매개공간 = 107
4. 동물의 기호체계와 비상의 매개공간 = 125
5. 신체의 기호체계와 우주화의 매개공간 = 137
Ⅳ. 수평공간의 텍스트와 그 의미작용 = 150
1. 길의 기호체계와 공간적 의미작용 = 151
2. 벽ㆍ창문의 기호체계와 공간적 의미작용 = 167
3. 집의 기호체계와 공간적 의미작용 = 177
4. 신비체로서의 몸의 공간적 의미작용 = 189
5. 금가락지ㆍ굴헝의 기호체계와 공간적 의미작용 = 201
Ⅴ. 수직ㆍ수평공간의 통합과 그 의미작용 = 212
1. 수직ㆍ수평의 분리와 해체 공간 = 212
2. 수직ㆍ수평의 결합과 복합 공간 = 223
Ⅵ. 결론 = 236
제2장「映山紅」의 구조와 기호론적 讀解 = 245
Ⅰ. 시 텍스트의 공간적 독해 = 245
Ⅱ. 표층구조의 분석 체계 = 248
Ⅲ. 기호론적 독해 = 254
1. 전경화의 요소 = 254
2. 의미론 再構 = 258
3. 의미론적 층위 = 263
Ⅳ. 결론 = 272
제3장『山詩』의 공간구조와 의미작용 = 277
Ⅰ. 인간ㆍ자연ㆍ우주를 매개하는 '산' = 277
Ⅱ. 산과 인간의 상동적 구조와 상승적인 삶의 세계 = 279
Ⅲ. 성적 욕망의 교환 구조와 여성의 의미 = 286
Ⅳ. 연기설의 기법구조와 역사적 동일체로서의 산 = 294
Ⅴ. 결론 = 301
參考文獻 = 303
찾아보기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