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미생물학 총론 = 1
제1절 미생물의 구성 = 2
1. 미생물의 종류 = 2
2. 미생물의 생물학적 위치 = 2
제2절 병원미생물학의 영역과 의의 = 3
제3절 병원미생물학의 발전 = 4
1. 감염병학의 기원 = 4
2. 현미경에 의함 미생물의 관찰과 기록 = 5
3. 현대미생물의 기원 = 5
4. 예방의학의 확립과 면역학 = 8
제4절 우리나라 미생물학의 발전과정 = 11
제2장 세균학 총론 = 13
제1절 세균의 분류와 명명법 = 14
제2절 세균의 형태와 구조 = 16
1. 세균의 크기 = 16
2. 세균의 형태 = 16
3. 세균의 구조와 기능 = 18
4. 세균의 관찰 = 24
제3절 세균의 영양과 대사 = 34
1. 세균의 영양 = 34
2. 세균의 대사(Metabolism) = 36
제4절 세균의 증식 = 43
1. 세균의 증식 = 43
2. 세균의 증식조건 = 47
3. 세균의 배양 = 49
제5절 세균의 유전과 변이 = 52
1. 세균의 유전(Genetics) = 52
2. 세균의 변이(Mutation) = 54
3. 세균 간 유전형질의 전달과 발현 = 57
제6절 감염과 발병 = 60
1. 감염과 발병 = 60
2. 감염병의 추이 = 61
3. 감염병의 성립 = 63
제7절 감염병의 진단 = 73
1. 균의 분리 및 동정 = 74
2. 균의 생화학적 성상 = 75
3. 면역학적 검사 = 79
제8절 멸균과 소독 = 80
1. 멸균과 소독의 정의 = 80
2. 멸균방법 = 81
3. 소독방법 = 85
제9절 화학요법 = 91
1. 화학요법의 정의와 역사 = 91
2. 항균범위(Antibacterial spectrum) = 92
3. 상승작용과 길항작용(Synergism and antagonism) = 92
4. 화학요법제의 작용기전 = 93
5. 화학요법의 수반현상 = 102
제10절 병원감염 = 106
1. 발생요인 = 107
2. 감염경로 = 107
3. 병원감염의 원인 미생물 = 107
4. 병원감염의 방지대책 = 109
제11절 감염병의 종류와 그 대책 = 112
1. 감염병의 종류 = 112
2. 감염병의 대책 = 114
3. 예방접종(Vaccination) = 115
제3장 면역학 = 119
제1절 면역학 = 120
1. 면역반응의 특징 = 120
2. 면역계의 구성 = 121
3. 면역의 종류 = 123
4. 시토카인 = 124
제2절 항원 = 125
1. 항원과 항원성 = 125
2. 항원의 분류 = 126
3. 애쥬번트(Adjuvant) = 127
제3절 항체 = 127
1. 항체의 기본구조 = 127
2. 항체생산 = 128
3. 면역글로불린의 종류와 성상 = 130
4. 항원-항체 반응 = 132
5. Monoclonal 항체 = 137
제4절 면역관련 질환 = 138
1.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 = 138
2.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 142
3. 면역증식증후군(Immunoproliferative syndrome) = 143
4. 면역부전증후군 = 144
제5절 이식면역과 종양면역 = 145
1. 이식면역 = 145
2. 종양면역 = 147
제4장 세균학 각론 = 149
제1절 Gram양성 통성 무산소성 및 산소성 알균 = 150
1. Micrococcus과(Family Micrococcaceae) = 150
2. Deinococcus과(Family Deincoccaceae) = 154
제2절 Gram음성 통성 무산소성 막대균 = 159
1.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 159
2. Vibrio과(Family Vibrionaceae) = 171
3. Pasteurella과(Family Pasteurellaceae) = 176
4. 기타 = 177
5. 장관 감염증의 원인미생물의 종류와 분류 = 177
제3절 Gram음성 산소성 막대균 및 알균 = 178
1. Pseudomonas과(Family Pseudomonaceae) = 179
2. Legionella과(Family Legionellaceae) = 181
3. Neisseria과(Family Neisseriaceae) = 182
4. 과가 불분명한 속의 균 = 185
제4절 Gram양성 산소성 및 통성 무산소성 막대균
1. 유아포균 = 188
2. 무아포균 = 192
제5절 편성 무산소균(혐기성균) = 197
1. 무산소성 Gram양성 알균 = 197
2. 무산소성 Gram음성 알균 = 198
3. 무산소성 Gram양성 막대균 = 198
4. 무산소성 Gram음성 막대균 = 206
제6절 Mycobacteria = 207
제7절 Actiomyces = 212
제8절 나선균군 = 215
제9절 Spirochates = 221
제10절 Mycoplasma = 229
제11절 Rickettsia = 233
1. 개요 = 233
2. Rickettsia 각론 = 236
제12절 Chlamydia = 240
제5장 바이러스학 총론 = 245
제1절 개요 = 246
1. 바이러스학의 역사 = 246
2. 바이러스의 구조와 분류 = 247
3. 바이러스의 증식과 배양 = 250
제2절 바이러스 감염과 생체반응 = 256
1. 바이러스의 감염양식 = 256
2. 바이러스 감염과 간섭현상 = 260
3.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 263
제3절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의 종양화 = 268
1.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의 종양화 = 268
2. 바이러스의 암 유전자와 세포의 암 유전자 = 268
3. DNA 종양 바이러스 = 270
4. RNA 종양 바이러스 = 272
제4절 바이러스의 전파경로와 예방 = 273
1. 바이러스의 전파 = 274
2.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 276
제5절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 277
1. 항바이러스제(Antiviral compound) = 278
2. 면역요법 = 279
제6절 바이러스 감염증의 검사법 = 280
1. 바이러스의 분리와 동정 = 280
2. 혈청학적 진단법 = 282
3. 조직ㆍ병리학적 진단법 = 285
4. 분자생물학적 진단법 = 286
제6장 바이러스학 각론 = 289
제1절 DNA 바이러스 = 290
1. Poxvirus과(Family Poxviridae) = 290
2. Herpesvirus과(Family Herpesviridae) = 293
3. Adenovirus과(Family Adenoviridae) = 297
4. Papovirus과(Family Papovaviridae) = 299
제2절 RNA 바이러스 = 301
1. Orthomyxovirus과(Family Orthomyxoviridae) = 301
2. Paramyxovirus과(Family Paramyxoviridae) = 304
3. Rhabdovirus과(Family Rhabdoviridae) = 309
4. Togavirus과, Flavivirus과 = 311
5. Arenavirus과(Family Arenaviridae) = 314
6. Bunyavirus과(Family Bunyaviridae) = 315
7. Picornavirus과(Family Picornaviridae) = 317
8. Reovirus과(Family Reoviridae) = 321
9. Calicivirus과(Family Caliciviridae) = 324
10. Retrovirus과(Family Retroviridae) = 325
제3절 감염 바이러스 = 328
1. 간염 바이러스 = 328
제7장 진균학 총론 = 335
제1절 진균이란 = 336
제2절 형태와 증식 = 337
1. 진균의 형태와 구조 = 337
제3절 분류와 병원성 = 342
1. 진균의 분류 = 342
2. 진균의 병원성 = 345
제4절 생체의 반응과 검사법 = 347
1. 생체의 반응 = 347
2. 진균의 검사법 = 347
제5절 치료와 예방 = 351
1. 치료 = 351
2. 예방 = 353
제8장 진균학 각론 = 355
제1절 심재성 진균증(심부진균증) = 356
1. 원발성 감염증(Systemic Mycosis) = 356
2. 기회감염증(Opportunistic Mycosis) = 358
제2절 피하진균증 = 362
1. Sporothrix증 = 362
2. 흑색진균증(흑색분아균증, Chromomycosis) = 363
제3절 표재성 피부진균증 = 364
1. 피부사상균증 = 364
제9장 원충학 = 369
제1절 총론 = 370
1. 원충의 형태 = 370
2. 원충의 생식, 감염 = 370
3. 원충의 분류 = 371
제2절 각론 = 372
1. 소화기 기생 아메바 = 372
2. 조직 기생 아메바 = 374
3. 소화기 기생 편모충 = 375
4. 비뇨생식기 기생 편모충 = 375
5. 혈액ㆍ조직 기생 편모충 = 376
6. 소화기 기생 섬모충 = 380
7. 소화기 기생 포자충 = 381
8. 혈액, 조직 기생포자충 = 381
찾아보기 =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