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서론 = 1
1. 신경계통의 구성 = 2
1) 중추신경계통 = 2
2) 말초신경계통 = 2
2. 신경계통의 발생 = 5
1) 신경관의 발생 = 6
2) 뇌의 발생 = 6
3) 신경아교세포의 발생 = 16
3. 선천성 기형 = 16
1) 뇌없음증(무뇌증) = 16
2) 척추갈림증(이분척추) = 16
3) 물뇌증(수두증) = 17
4) 뇌이랑없음증(무뇌회증) = 17
CHAPTER 02 신경계의 구성 = 19
1. 신경계통의 구분 및 기능 = 19
1) 신경계통의 구분 = 19
2) 신경계통의 기능 = 19
2. 신경계통의 세포 구성 = 20
1) 신경세포(신경원)의 구조 = 20
3. 신경세포(신경원)의 분류 = 24
1) 구조적 분류 = 24
2) 기능적 분류 = 26
4. 신경섬유 = 36
1) 말이집신경섬유, 민말이집신경섬유 = 36
2) 말이집 = 37
3) 신경집 = 38
5. 신경아교 = 40
1) 중추신경계통의 신경아교세포 = 40
2) 말초신경계통의 신경아교 = 42
6. 신경연접 = 42
1) 연접부위의 기본적 구조 = 42
2) 종말연접과 곁(측부)연접 = 44
3) 전기 연접과 화학연접 = 44
4) 연접의 전달과정 = 47
5) 신경전달물질 = 49
6) 연접차단제 = 53
7. 개별감각 양식의 검사 = 54
CHAPTER 03 신경계통의 생리 = 57
1. 신경계통의 흥분전도 = 57
1)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는 곳 = 57
2) 안정막전위 = 57
3) 활동전위 = 60
4) 신경계통의 부호화 = 63
5) 연접전위 = 63
6) 세포막의 통합장치 = 66
7) 문턱ㆍ실무율 및 불응기 = 66
2. 신경회로 = 67
1) 조절회로 = 67
2) 집중과 퍼짐 = 69
3) 가중 = 69
4) 촉진소통(소통) = 69
5) 막힘(폐쇄) = 70
6) 억제 = 70
7) 통합 = 71
8) 도약전도 = 71
9) 신경성장인자와 형성성 = 71
3. 중추신경계통의 노화 = 73
1) 뇌의 육안적 변화 = 73
2) 뇌의 조직학적 변화 = 73
3)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변화 = 73
4. 신경세포의 변성과 재생 = 74
1) 변성 = 74
2) 재생 = 74
5 . 신경절단의 증상과 징후 = 76
1) 변화 = 76
2) 감각변화 = 76
3) 혈관운동, 땀분비, 영양기능의 변화 = 76
6. 신경절단 회복의 증상과 징후 = 77
1) 운동기능 회복 = 77
2) 감각기능 회복 = 77
7. 손상 후의 중추신경계통의 기능 회복 = 77
8. 운동의 조절 = 77
1) 운동신경세포 = 77
2) α-운동신경세포의 배열 = 79
3) 앞뿌리 또는 뒤뿌리 = 79
9. 반사 = 80
1) 반사활(반사궁) = 82
2) 반사활의 구조 = 82
3) 뻗침반사 = 84
4) 힘줄반사 = 84
5) 굽힘반사 = 86
6) 교차폄반사 = 86
7) γ-반사 = 87
10. 운동실조 = 88
1) 척수뒤섬유단 운동실조 = 89
2) 소뇌운동실조 = 89
3) 안뜰미로운동실조 = 89
11. 운동마비 = 90
1) 경직마비 = 90
2) 이완마비 = 90
12. 반사의 검사 = 91
1) 깊은힘줄반사 = 91
2) 얕은반사 = 92
3) 병적 반사 = 92
13. 신경ㆍ근육의 전기진단법 = 93
1) 근전도검사 = 93
2) 신경전도속도 = 93
CHAPTER 04 대뇌 = 95
Ⅰ. 뇌의 육안해부 = 95
1. 대뇌반구 = 95
1) 대뇌반구의 가쪽면 = 96
2) 대뇌반구의 안쪽면 = 103
3) 대뇌반구의 아랫면 = 104
2. 대뇌속질 = 105
1) 대뇌속질의 투사섬유 = 107
2) 대뇌속질의 교차섬유 = 108
3) 대뇌속질의 연합섬유 = 112
3. 대뇌반구의 장애 = 112
1) 이마엽(전두엽) = 112
2) 마루엽(두정엽) = 113
3) 관자엽(측두엽) = 113
4) 뒤통수엽(후두엽) = 115
5) 맞교차섬유(교련섬유) = 116
6) 연합섬유 = 116
Ⅱ. 대뇌겉질 = 118
1. 대뇌겉질의 신경세포 = 118
2. 대뇌겉질의 층구조 = 120
3. 대뇌겉질의 신경섬유 연락 = 122
1) 대뇌겉질로 들어가는 들신경섬유 = 122
2) 대뇌겉질에서 나오는 날신경섬유 = 122
4. 대뇌겉질의 기능영역 = 123
1) 운동영역 = 125
2) 감각(지각)영역 = 127
3) 고위 기능영역 = 129
4) 고위 기능영역의 장애 = 129
5) 우성반구와 비우성반구 = 132
6) 대뇌 왼ㆍ오른쪽 차이 = 133
7) 뇌들보의 기능 = 134
Ⅲ. 바닥핵 = 135
1. 바닥핵의 구조 = 135
1) 꼬리핵(미상핵) = 137
2) 렌즈핵 = 137
3) 편도체와 편도핵 = 138
4) 담장 = 138
2. 새줄무늬체 및 창백핵의 구조 = 138
3. 바닥핵의 신경섬유 연락 = 139
1) 새줄무늬체의 신경섬유 연락 = 139
2) 옛줄무늬체의 신경섬유 연락 = 142
3) 줄무늬체의 조절회로 = 143
4) 아래시상(시상배쪽부분 또는 배쪽시상) = 144
4. 담장 또는 띠이랑핵 = 145
5. 바닥핵의 기능 = 145
6. 바닥핵의 장애 = 146
1) 무도병 = 146
2) 꼼지락운동(무정위운동증) = 146
3) 반쪽무도병(편무도병) = 147
4) 근육경직과 근육긴장저하 = 147
5) 파킨슨병 = 147
Ⅳ. 둘레계통 = 148
1. 해마체 = 151
1) 해마체의 구조와 경로 = 152
2) 해마(암몬뿔)의 구조 = 153
3) 해마이음부(해마대) = 155
4) 해마체의 신경섬유연락 = 155
5) 해마의 기능 = 159
2. 사이막영역(중격영역) = 160
3. 편도체 = 161
1) 편도체의 핵 = 161
2) 편도체의 신경섬유 연락 = 162
3) 편도체의 기능 = 162
Ⅴ. 대뇌의 특수기능 = 163
1. 뇌파도(뇌전도) = 163
2. 수면 = 165
3. 의식 = 168
4. 기억 = 170
5. 언어활동 = 177
6. 학습과 조건반사 = 178
CHAPTER 05 소뇌
1. 소뇌의 외부모양 = 181
2. 소뇌의 구분 = 183
3. 소뇌와 뇌줄기의 신경섬유 연락 = 186
4. 소뇌겉질 = 189
1) 분자층 = 189
2) 조롱박세포층(푸르키녜세포층) = 189
3) 과립층 = 189
4) 소뇌겉질로 들어가는 들신경 전달 = 192
5. 소뇌겉질의 세포구성 = 194
1) 조롱박세포(푸르키네세포) = 194
2) 골지세포 = 194
3) 과립세포 = 195
4) 바구니세포와 별모양세포 = 195
6. 소뇌의 현미경적 구조 = 195
1) 이끼섬유 = 195
2) 등반섬유 = 196
7. 소뇌핵 및 소뇌다리 = 197
1) 소뇌핵 = 197
2) 소뇌다리 = 200
8. 올리브 소뇌계통 = 200
1) 올리브핵의 구조 = 200
2) 올리브핵으로 들어가는 들신경섬유 = 201
3) 올리브핵에서 나오는 날신경섬유 = 201
9. 소뇌의 기능 및 기능부전 = 201
1) 소뇌의 기능 = 201
2) 소뇌 기능 검사 = 202
3) 소뇌증후군 = 203
CHAPTER 06 사이뇌 = 205
1. 중간뇌-사이뇌의 연결 = 206
2. 꼬리쪽사이뇌 = 206
1) 시상의 등쪽변 = 208
2) 시상밑부 = 210
3) 시상후부 = 210
4) 시상밑부 또는 사이뇌뒤판(간뇌피개) = 211
3. 시상부챗살과 속섬유막 = 212
4. 시상 = 214
1) 시상의 구성 = 214
2) 특이핵 = 214
3) 연합핵군 = 219
4) 비특이핵 = 220
5) 시상신경세포의 형태 = 221
6) 시상의 신경회로 = 222
7) 시상의 기능 = 222
8) 시상의 병변 = 222
5. 시상상부 = 223
1) 고삐핵(수강핵) = 223
2) 솔방울샘(송과체) = 224
6. 시상하부 = 224
1) 시상하부의 바깥모양 = 224
2) 시상하부의 형태학적 특징 = 225
3) 시상하부의 국소해부학적 분류 = 225
4) 시상하부의 기능 = 230
5) 시상하부의 기능장애 = 231
CHAPTER 07 뇌줄기 = 233
1. 중간뇌 = 234
1) 중간뇌의 외부구조 = 235
2) 중간뇌의 내부구조 = 236
3) 아래둔덕(하구) = 237
4) 위둔덕 = 240
5) 흑색질(흑질) = 241
6) 적색핵(적핵) = 242
7) 중간뇌뒤판(중뇌개) = 243
8) 대뇌다리 = 243
9) 덮개앞구역 = 243
2. 다리뇌 = 245
1) 다리뇌의 내부구조 = 245
2) 다리뇌배쪽부위 = 246
3) 다리뇌등쪽부위 또는 다리뇌뒤판(교뇌피개) = 248
4) 다리뇌의 주요 핵 및 신경로 = 249
3. 숨뇌 = 251
1) 숨뇌의 바깥구조 = 252
2) 숨뇌의 속부위구조 = 253
3) 숨뇌에 존재하는 신경로 = 260
4) 숨뇌 기능장애증후군 = 261
4. 뇌줄기 그물체 = 263
1) 그물핵(망상핵) = 264
2) 그물체의 기능 = 268
3) 그물체와 대뇌겉질의 상호작용 = 270
4) 그물체의 기능장애 = 270
5. 뇌줄기의 운동 및 반사 = 271
1) 뇌줄기의 운동기능 = 271
2) 뇌줄기의 반사기능 = 273
CHAPTER 08 척수 = 277
Ⅰ. 척수의 육안적 해부 = 277
1. 척수의 일반적 구조 = 277
1) 척수의 회색질 = 279
2) 척수의 백색질 = 282
3) 척수분절 = 283
4) 척주관 속에서의 척수의 고정 = 284
5) 척주의 인대 = 285
2. 척수의 이동 = 287
Ⅱ. 척수의 현미경적 해부 = 287
1. 척수의 세포구조 = 287
1) 앞뿔(전각) = 287
2) 사이신경세포 = 288
3) 기쪽뿔(측각) = 289
4) 뒤뿔(후각) = 289
5) Bell-Magendie법칙 = 289
2. 척수의 충(Rexed의 층) = 289
3. 렉시드층의 기능 = 291
4. 아교질의 구조 = 292
Ⅲ. 척수의 신경로 = 293
1. 오름(감각)신경로 = 293
1) 뒤섬유단-안쪽섬유띠로 = 294
2) 척수시상로 = 296
3) 척수소뇌로 = 300
2. 내림(운동)신경로 = 301
1) 피라미드로(추체로) = 301
2) 피라미드외로(추체외로) = 305
Ⅳ. 척수의 기능장애 = 310
1. 척추원반병변(추간원판병변) = 310
2. 척추분리증(척추증) = 310
3. 척추인대뼈되기증(척주인대골화증) = 310
4. 척수종양 = 311
5. 척수의 혈관병변 = 312
1) 앞척수동맥증후군 = 312
2) 뒤척수동맥증후군 = 312
6. 척주와 척수외상 = 312
7. 척주와 척수의 염증질환 = 313
8. 브라운세이카르증후군 = 313
9. 가로척수염(횡단성 척수염) = 314
10. 해리감각장애 = 314
11. 피라미드로(추체로) 증상 = 314
CHAPTER 09 말초신경계통 = 317
Ⅰ. 뇌신경 = 317
1. 후각신경 = 321
1) 후각망울(후구) = 321
2) 후각로(후삭) = 321
3) 후각삼각 = 324
4) 가쪽후각줄(외측후조) = 324
2. 시각신경 = 325
1) 시각수용기 = 325
2) 시각신경 = 325
3) 시각교차 = 326
4) 시각로(시삭) = 327
5) 가쪽무릎체(외측슬상체) = 327
6) 위둔덕 들섬유 = 328
7) 시각성 대뇌겉질 = 328
3. 눈돌림신경 = 329
4. 도르래신경 = 330
5. 삼차신경 = 332
1) 감각부분 = 332
2) 운동부분 = 335
6. 갓돌림신경 = 336
7. 얼굴신경 = 336
1) 감각부분 = 337
2) 운동부분 = 339
8. 속귀신경 = 341
1) 안뜰신경 = 342
2) 달팽이신경 = 343
9. 혀인두신경 = 344
10. 미주신경 = 346
11. 더부신경 = 347
12. 혀밑신경 = 349
13. 뇌신경과 척수신경의 요소 = 351
1) 들신경 요소(구심성 요소) = 351
2) 날신경 요소(원심성 요소) = 352
14. 뇌신경의 검사 및 장애 = 352
1) 후각신경 = 352
2) 시각신경 = 354
3) 눈돌림신경, 도르래신경 및 갓돌림신경 = 354
4) 삼차신경 = 357
5) 얼굴신경(안면신경) = 358
6) 속귀신경 = 360
7) 혀인두신경 = 362
8) 미주신경 = 363
9) 더부신경(부신경) = 364
10) 혀밑신경(설하신경) = 364
Ⅱ. 척수신경 = 365
1. 척수, 척수신경 및 척주 = 365
2. 척수신경의 구성 = 367
3. 척수신경의 분포 = 368
1) 목신경 = 368
2) 가슴신경 = 368
3) 허리신경 = 368
4) 엉치신경 및 꼬리신경 = 368
4. 척수신경얼기 = 372
1) 목신경얼기(경신경총) = 372
2) 팔신경얼기(완신경총) = 373
3) 허리신경얼기(요신경총) = 377
4) 엉치신경얼기(천골신경총) = 379
5) 음부신경얼기(음부신경총) = 383
6) 꼬리신경얼기(미골신경총) = 384
5. 척수신경의 장애 = 384
1) 목신경얼기의 병변 = 384
2) 팔신경얼기의 병변 = 384
3) 팔의 말초신경 손상 = 386
4) 허리신경얼기(요골신경총) = 387
5) 영치신경얼기(천골신경총) = 388
Ⅲ. 자율신경계통 = 389
1. 교감신경 = 390
2. 부교감신경부분 = 390
1) 날신경섬유(원심성신경섬유) = 394
2) 들신경섬유 = 398
3. 자율신경계통의 상위조절 = 398
4. 자율신경절의 생리 = 399
1)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 399
2) 자율신경절의 약리 = 403
3) 신경절이후신경종말의 약리 = 405
5. 자율신경계통의 기능 = 405
1) 부교감신경의 기능 = 405
2) 교감신경의 기능 = 407
3) 효과기 지배의 양식 = 408
4) 이중 신경분포가 없는 기관 = 409
6. 주요 자율신경지배 = 409
1) 눈 = 409
2) 침샘(타액선) = 410
3) 눈물샘(누선) = 411
4) 심장 = 411
5) 허파(폐) = 411
6) 위ㆍ창자관 = 413
7) 콩팥(신장) = 414
8) 부신속질 = 414
9) 항문관의 불수의속항문조임근 = 414
10) 방광 = 414
11) 음경과 음핵의 발기 = 416
12) 사정 = 416
13) 팔의 동맥 = 417
14) 다리의 동맥 = 417
7. 자율신경을 포함한 주요 생리적 반사 = 417
1) 내장반사 = 417
8. 연관통증(관련통) = 419
9. 신경계통의 자율신경 기능검사 = 420
1) 약물학적 검사 = 421
2) 임상검사 = 421
CHAPTER 10 뇌척수막 및 뇌실계통 = 423
1. 뇌실 = 423
1) 가쪽뇌실(측뇌실) = 423
2) 셋째뇌실 = 425
3) 중간뇌수도관(중뇌수도) = 426
4) 넷째뇌실(제4뇌실) = 426
5) 중심관 = 427
2. 뇌수막 = 427
1) 경질막(경막) = 427
2) 거미막(지주막) = 432
3) 연질막(연막) = 433
3. 척수 수막 = 436
1) 경질막 = 436
2) 거미막 = 437
3) 연질막 = 437
4. 뇌척수액 = 437
1) 뇌척수액 = 437
2) 백락얼기와 뇌척수액의 생성 = 438
3) 뇌척수액의 순환과 재흡수 = 439
4) 뇌척수액의 압력 = 441
5) 혈액-뇌장벽 = 441
5. 뇌실계통 질환 = 443
1) 뇌 헤르니아 현상 = 443
2) 뇌실막세포종(상의세포종) 및 연관된 종양 = 445
3) 물뇌증(수두증, 뇌수종) = 445
4) 중간경질막동맥과 경질막바깥출혈 = 445
5) 마비 = 445
6) 척추손상질병 = 446
CHAPTER 11 중추신경계통의 혈액공급 = 447
1. 뇌의 혈관 = 449
1) 뇌동맥의 특징 = 449
2) 목동맥계통 = 451
3) 척추동맥계통 = 456
4) 대뇌동맥고리(대뇌동맥륜) = 458
5) 뇌동맥의 신경지배 = 461
2. 척수의 혈관 = 461
1) 척수의 동맥 = 461
2) 척수의 정맥 = 462
3. 정맥순환 = 462
1) 경질막정맥굴 = 463
2) 뇌의 정맥 = 465
4. 혈관 질환 = 468
1) 고혈압 = 468
2) 저혈압 = 470
3) 쇼크 = 470
4) 동맥경화증 = 471
찾아보기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