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2014년 및 중기 경제전망

2014년 및 중기 경제전망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후식, 저 유승선, 저 황종률, 저 김혜선, 저 원동아, 저
Corporate Author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과, 편
Title Statement
2014년 및 중기 경제전망 / [신후식 외 작성 ;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과 편집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국회예산정책처,   2013  
Physical Medium
xxiii, 96 p. : 삽화, 도표 ; 26 cm
Series Statement
경제전망 및 재정분석 ;1
ISBN
9788960736825
General Note
작성: 유승선, 황종률, 김혜선, 원동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72998
005 20171107152102
007 ta
008 131101s2013 ulkad 000c kor
020 ▼a 9788960736825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6.519 ▼2 22
085 ▼a 336.53 ▼2 DDCK
090 ▼a 336.53 ▼b 2010z5 ▼c 2013.1
245 0 0 ▼a 2014년 및 중기 경제전망 / ▼d [신후식 외 작성 ; ▼e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과 편집
246 3 ▼a 이천십사년 및 중기 경제전망
260 ▼a 서울 : ▼b 국회예산정책처, ▼c 2013
300 ▼a xxiii, 96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40 0 0 ▼a 경제전망 및 재정분석 ; ▼v 1
500 ▼a 작성: 유승선, 황종률, 김혜선, 원동아
700 1 ▼a 신후식, ▼e
700 1 ▼a 유승선, ▼e
700 1 ▼a 황종률, ▼e
700 1 ▼a 김혜선, ▼e
700 1 ▼a 원동아, ▼e
710 ▼a 한국. ▼b 국회예산정책처. ▼b 경제분석실. ▼b 거시경제분석과, ▼e
910 0 ▼a Republic of Korea. ▼b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e
910 0 ▼a Republic of Korea. ▼b NABO,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6.53 2010z5 2013.1 Accession No. 1117053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발간사 / 국경복


요약


목차


I. 중기 경제전망 21


1. 경제성장률 21


가. 2014년 전망 21


나. 2014년 이후 전망 29


다. 경상성장률 전망 36


2. 행정부와 비교 37


3. 경기하강 위험: 출구전략의 부정적 효과 확산 위험 38


4. 정책적 시사점 42


가. 선진국의 본격적인 출구전략에 대응 42


나. 경제활성화대책 강화 43


다. 일자리 확충 44


II. 부문별 중기 전망 45


1. 민간소비 45


가. 2014년 전망 45


나. 2013~2017년 전망 51


2. 건설투자 55


가. 2014년 전망 55


나. 2013~2017년 전망 60


3. 설비투자 65


가. 2014년 전망 65


나. 2013~2017년 전망 71


4. 대외거래 75


가. 2014년 전망 75


나. 2013~2017년 전망 79


5. 고용 81


가. 2014년 전망 81


나. 2013~2017년 전망 85


6. 물가 91


가. 2014년 전망 91


나. 2013~2017년 전망 93


7. 금리 96


가. 2014년 전망 96


나. 2013~2017년 전망 98


8. 환율 104


가. 2014년 전망 104


나. 2013~2017년 전망 106


III. 잠재성장률 109


[별첨] 주요 거시 경제지표 추이 115


1. 국내경제 동향 115


2. 최근(2013년) 경제동향 116


[BOX] 15


BOX 1. 베이비붐세대의 고령화 진전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53


BOX 2. 최근 금리스프레드의 추이 및 시사점 101


경제전망 및 재정분석 시리즈 117


판권기 118


[표 1] 2013~2017년 국내 경제전망 22


[표 2] 세계 경제성장률과 교역량 23


[표 3] 미국 경제 중기 전망 32


[표 4] 민간소비 동향 45


[표 5] 소비재판매지수 추이 46


[표 6] 취업자 규모와 비중 50


[표 7] 중기 민간소비 전망 52


[표 8] 건설투자 관련 지표 추이 55


[표 9] 현정부 출범 후 주택투자 관련 대책 59


[표 10] 설비투자 추이 66


[표 11] 설비투자 관련 월간지표 추이 67


[표 12] 본 전망과 지난 4월의 설비투자 전망 비교 72


[표 13] 산업별 설비투자 증감 및 비중 추이 74


[표 14] 고용지표 추이 81


[표 15] 연령계층별 취업자증감 추이 83


[표 16] 2013년 추경예산안 상 고용 창출 관련 내용 85


[표 17] 중기 고용 변수 전망 86


[표 18] 6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인구 변화 추이 87


[표 19] 정부의 ''고용률 70% 로드맵'' 단계별 중점과제 88


[표 20] 산업별 고용 증감 추이 89


[표 21] 산업부문별 취업계수 추이 90


[표 22] 최근 5년간 연령계층별 고용증감 추이 90


[표 23] 최근 품목별 물가지수 상승률 93


[표 24] 단위노동 비용지수 상승률 추이 94


[표 25] 자금수요 및 시장유동성(연평균 증가율) 99


[표 26] 대외채권 및 대외채무 추이 105


[표 27] 투입요소별 실질성장 기여도 추이 및 전망 110


[표 28] 중기 노동투입 전망 112


[표 29] 중기 자본투입 전망 112


[표 30] 투입요소별 잠재성장 기여도 추이 및 전망 113


[그림 1]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파급경로 21


[그림 2] 신흥시장에서의 민간자금 순유입액 23


[그림 3]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개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4


[그림 4] MSCI 주가지수 추이 24


[그림 5] 세계교역량과 한국 총수출 25


[그림 6] 2014년 세계경제성장률과 세계교역량 전망 26


[그림 7] 경기회복국면 하의 총수출 비교 26


[그림 8] 한국 재화수출물량과 산업생산 추이 27


[그림 9] 산업생산과 내수(총소비 + 총투자) 추이 27


[그림 10] 실질국민총소득(GNI)과 내수(총소비 + 총투자) 추이 28


[그림 11]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28


[그림 12]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29


[그림 13] 한국 및 세계 GDP 성장 추이 30


[그림 14] 한국의 부채 추이 31


[그림 15] 미국의 부채 추이 31


[그림 16] 세계교역량 전망 33


[그림 17] 국내 GDP 전망 33


[그림 18] 기업규모별 매출액영업이익률 34


[그림 19] 기업규모별 차입금의존도 35


[그림 20] 우리나라로의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순유입액 35


[그림 21] 연도별 경상GDP 전망 36


[그림 22] 연평균 경상GDP 전망 36


[그림 23] 국회예산정책처와 행정부의 2014년 실질 및 경상경제성장률 전망치 비교 37


[그림 24] 미국 금융정책 38


[그림 25] 미국 세전이익과 명목GDP 추이 39


[그림 26] 주요 선진국 금융기관 부실채권 비율(2012년 말) 40


[그림 27] 미국의 양적완화정책 축소가 신흥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41


[그림 28] 주요 신흥국에 대한 포트폴리오 투자 41


[그림 29] 개도국 수입과 우리나라 수출증가율 42


[그림 30] 민간소비와 국내총생산(GDP) 추이 47


[그림 31] 교역조건과 국내총소득(GDI) 추이 48


[그림 32] 민간소비, 실질임금, 취업자수 추이 50


[그림 33] 가계총처분소득가능 대비 가계신용비율 51


[그림 34] 중기 민간소비 전망 52


[그림 35] 건설수주와 전국 아파트가격 추이 56


[그림 36] 30대 건설사의 순차입금 추이 57


[그림 37] 수도권 아파트 준공물량 추이 61


[그림 38] 아파트 전세가격 추이 62


[그림 39] 주택점유 형태별 전세와 월세 추이 62


[그림 40] 주택투자(계절조정) 추이 63


[그림 41] 국가재정운용계획 상 SOC투자예산 64


[그림 42] 중기 건설투자 전망 65


[그림 43] 자본재 형태별 설비투자 증감 추이 67


[그림 44] 제조업의 설비투자조정압력 추이 68


[그림 45] IT부문의 수출 및 설비투자 추이 69


[그림 46] 환율, 자본재가격지수, 설비투자디플레이터 추이 70


[그림 47] 중기 설비투자 전망 72


[그림 48] GDP, 설비투자, 수출에서 IT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추이 74


[그림 49] 선진국 수입과 우리나라 수출증가율 75


[그림 50] 제조업 업종별 생산(부가가치기준) 추이 76


[그림 51] 아시아 주요국 전기전자 수출 기여도 76


[그림 52] 한국의 수출액과 중국의 수출액 추이 77


[그림 53] 통관기준 수출입액 추이 78


[그림 54] 수요와 수입물량 추이 78


[그림 55]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통관수출액(연평균) 비교 79


[그림 56]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통관수입액(연평균) 비교 80


[그림 57]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경상수지(연평균) 비교 80


[그림 58] 자영업자 증감 추이 82


[그림 59] 산업별 고용 증감 추이 83


[그림 60] 중기 취업자 전망 86


[그림 61] 농축수산물지수와 근원물가지수 추이 91


[그림 62] 상품 및 서비스물가지수 추이 92


[그림 63] 통화량 증가율의 추이 94


[그림 64] GDP 디플레이터 전망 96


[그림 65] 기준금리 추이 97


[그림 66] 채권금리와 금리스프레드(분기평균 값) 추이 98


[그림 67] 국고채 금리 전망 100


[그림 68] 원/달러 및 엔/달러 환율 추이 104


[그림 69] 미국의 장단기 금리 전망 106


[그림 70] 경상수지 및 원/달러 환율의 추이와 전망 108


[그림 71] 중기 환율 전망 108


[그림 72] 중기 잠재성장률 전망 110


[그림 73] 산출량갭 추이 및 전망 11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