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실을 상상하다 : 다큐멘터리의 철학과 작업

현실을 상상하다 : 다큐멘터리의 철학과 작업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ousins, Mark, 1965-, 편 Macdonald, Kevin, 1967-, 편 최정민, 역
서명 / 저자사항
현실을 상상하다 : 다큐멘터리의 철학과 작업 / 마크 커즌스, 케빈 맥도널드 엮음 ; 최정민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형태사항
xii, 653 p. : 삽화 ; 23 cm
원표제
Imagining reality : the Faber book of the documentary
ISBN
9791130400235
일반주기
색인수록  
부록: 폴린 카엘에게 부치는 답변  
일반주제명
Documentary films -- History and criticism
000 01033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772200
005 20131028101359
007 ta
008 131016s2013 ulka 001c kor
020 ▼a 9791130400235 ▼g 93680
035 ▼a (KERIS)REW000000191698
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70.1/8 ▼2 23
085 ▼a 070.18 ▼2 DDCK
090 ▼a 070.18 ▼b 2013
245 0 0 ▼a 현실을 상상하다 : ▼b 다큐멘터리의 철학과 작업 / ▼d 마크 커즌스, ▼e 케빈 맥도널드 엮음 ; ▼e 최정민 옮김
246 1 9 ▼a Imagining reality : ▼b the Faber book of the documentary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3
300 ▼a xii, 653 p. : ▼b 삽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0 ▼a 부록: 폴린 카엘에게 부치는 답변
650 0 ▼a Documentary films ▼x History and criticism
700 1 ▼a Cousins, Mark, ▼d 1965-, ▼e▼0 AUTH(211009)99325
700 1 ▼a Macdonald, Kevin, ▼d 1967-, ▼e▼0 AUTH(211009)114394
700 1 ▼a 최정민, ▼e▼0 AUTH(211009)135487
900 1 0 ▼a 커즌스, 마크, ▼e
900 1 0 ▼a 맥도널드, 케빈,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13 등록번호 11170549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1-2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8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최고로 손꼽히는 다큐멘터리 작품과 감독에 주목해 평론과 인터뷰, 기고문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다큐멘터리 역사를 건조하게 서술한 기존의 책과 비교해 이 책이 지닌 가장 큰 미덕은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인 두 저자가 제작자의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간과해온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창의성과 형식의 다양성을 부각하고자 했다.

2006년 개정판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뛰어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기 시작한 ‘다큐멘터리 장르의 귀환’ 현상에 주목한다. 아울러 과감한 미학적 실험과 관습의 전복을 시도한 아시아와 유럽에 걸친 동시대 다큐멘터리 영화의 최신 흐름까지 짚고 있다.

또한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다큐멘터리 장르를 새로운 미지의 영역으로 이끈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놀라운 실험도 언급하고 있다. TV 화면을 점령한 리얼리티 쇼의 세계적 흐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와 함께 제작지원이 줄고 있는 사회 정치적 다큐멘터리의 활로 모색에 대한 고민도 다루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케빈 맥도날드(지은이)

관객의 호평을 받은 바 있는 다큐멘터리 [9월의 어느 날(One Day In September)] (1999년 아카데미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수상)과 [터칭 더 보이드(Touching the Void)][2003년 BAFTA(영국영화·텔레비전예술협회) 최우수 영국영화상 수상]의 감독으로 2006년도에 자신의 장편 극영화 데뷔작인 [라스트 킹(The Last King of Scotland)]을 완성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조부인 에머릭 프레스버거(Emeric Pressburger)의 일대기를 다룬 수상작 [시나리오 작가의 삶과 죽음]의 저자이기도 하다.

마크 커즌스(지은이)

작가, 방송인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이다. 에든버러필름페스티벌(Edinburgh Film Festival)의 디렉터로서 인터뷰 형식의 [Scene by Scene]을 기획해 BBC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았고 로렌스 킹(Laurence King)과 책으로 발행하기도 했다. 2004년도에 저서 The Story of Film을 출간했으며 최근 연출한 다큐멘터리로는 채널4에서 방영한 바 있는 [키아로스타미와의 여정(On the Road with Kiarostami)]과 [시네마 이란(Cinema Iran)]이 있다.

최정민(옮긴이)

10여 년간 방송 PD로 활동하며 Q채널 [휴먼다큐 뷰파인더]를 비롯한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다수 연출했다. 칼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대학원에서 필름·비디오 석사과정 MFA을 마쳤고 독립 다큐멘터리 연출작으로 [검은 명찰](2008년 부산국제영화제, 2009년 핫독스 다큐멘터리 필름페스티벌 초청)과 [고가도로](2011년 위스콘신 필름페스티벌 초청], 실험 다큐멘터리 [부서진](2013년 전주국제영화제 초청) 등이 있다. 2013년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외국어대학교, 중앙대학교 등에서 다큐멘터리 및 영상제작 수업을 가르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 ⅴ 
서문 = ⅸ 
1부 
 01 그림자 왕국 
  도입 = 3 
  그림자 왕국ㆍ막심 고리키 = 8 
  조르주 멜리에스와 현실의 환영 = 12 
  1896년 : 러시아 제국의 뉴스 촬영물 검열ㆍ프란시스 듀블리에 = 14 
  볼레스와프 마투세프스키와 다큐멘터리 아이디어 = 16 
  카메라를 전장(戰場)으로 가져가다ㆍ앨버트 스미스 = 18 
 02 극단으로 향하다 
  도입 = 22 
  전쟁터로 간 한 여성ㆍ제시카 보스위크 = 25 
  〈헤드헌터의 땅에서〉ㆍ에드워드 커티스 = 27 
  판초비야, 카메라 앞에서 전투하다ㆍ테리 램세이 = 29 
  세계 최악의 야외 촬영지 : 남극의 허버트 폰팅ㆍ데니스 린치 = 32 
  진정한 전쟁 영화ㆍ스티븐 부시와 클라인슈미트 대장 = 35 
  죽음을 찍다ㆍ벨라 발라즈 = 38 
  로웰 토머스와 '아라비아의 로렌스'ㆍ 케빈 브라운로 = 42 
  로버트 플래허티가 말하다 = 48 
  〈초원 : 삶을 위한 민족의 투쟁〉ㆍ메리언 쿠퍼 = 57 
 03 키노아이와 선전열차들 
  도입 = 64 
  지가 베르토프 : 카메라를 든 사나이 = 67 
  에스더 셔브와 편집의 예술ㆍ제이 레이다 = 75 
  선전열차와 이동 현상소ㆍ로먼 칼멘 = 83 
  키녹이 말하다ㆍ미하일 카우프만의 인터뷰 = 86 
 04 다큐멘터리와 전위예술가들 
  도입 = 94 
  〈핵산 : 시대별 마녀 이야기〉ㆍ톰 밀른 = 95 
  루트만의 베를린 = 98 
  베를린의 결함ㆍ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 = 100 
  〈비〉제작기ㆍ요리스 이벤스 = 101 
  장 팽르베ㆍ레이먼드 더르나트 = 108 
  〈니스에 관하여〉ㆍ보리스 카우프만 = 110 
  루이스 부뉴엘이〈빵 없는 대지〉를 논하다 = 113 
2부 
 05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운동 
  도입 = 123 
  그리어슨의 개인적 배경과 사상적 기원 = 126 
  다큐멘터리의 최우선 원칙들ㆍ존 그리어슨 = 128 
  〈실론의 노래〉ㆍ세실 스타가 진행한 베실 라이트 인터뷰 = 135 
  〈BBC : 영국의 목소리〉ㆍ그레이엄 그린 = 148 
  알베르토 카발칸티의 역할ㆍ엘리자베스 서섹스 = 149 
  〈야간우편〉ㆍ다이 반 = 158 
  사회적 문제들과 씨름하다 = 162 
 06 마음을 향한 싸움 
  도입 = 168 
  새로운 영화들ㆍ벨라 발라즈 = 170 
  레니 리펜슈탈, 예술과 선전ㆍ마놀라 다지스 = 172 
  〈스페인의 대지〉ㆍ요리스 이벤스 = 179 
  〈방황하는 유대인〉ㆍ어윈 라이저 = 187 
  전쟁 시기의 존 휴스턴ㆍ스콧 해먼 = 194 
  오직 연결하라 : 험프리 제닝스 작품의 몇 가지 측면ㆍ린지 앤더슨 = 201 
 07 아시아의 양상
  도입 = 214 
  창조의 순간ㆍ아룬 코팔 = 216 
  구령들ㆍ톰 워 = 223 
  일본 다큐멘터리 현황에 대한 외국인의 견해ㆍ스콧 싱클러 = 233 
  이와사키와 점령된 스크린ㆍ에릭 바누 = 241 
  갈등, 오가와와 일본 영화제작ㆍ앙드레 뚜흐네 = 263 
  이마무라 쇼헤이 인터뷰ㆍ나카타 도이치 = 267 
  〈천황의 군대는 진군한다〉ㆍ질 포브스 = 272 
3부 
 08 에세이스트들 
  도입 = 279 
  〈오 꿈의 나라〉ㆍ게빈 램버트 = 280 
  〈일요일의 연주자들〉ㆍ크쥐시토프 키에슬롭스키 = 284 
  〈밤과 안개〉ㆍ아네트 인스도르프 = 288 
  워홀의〈수면〉ㆍ요나스 메카스 = 291 
  오손 웰스의〈거짓의 F〉ㆍ리처드 콤즈 = 293 
  마르셀 오퓔스ㆍ이언 부루마 = 298 
  〈인도의 환영〉ㆍ루이 말 = 312 
  크리스 마커와〈태양 없이〉ㆍ테렌스 래퍼티 = 322 
 09 진실의 티끌 
  도입 = 332 
  리처드 리콕이 다이렉트 시네마의 기원을 기억하다 = 335 
  리처드 리콕ㆍ마크 시바스가 인터뷰 진행 = 339 
  메이슬리스 형제ㆍ제임스 블루가 인터뷰 진행 = 344 
  장 루슈ㆍG. 로이 레븐이 인터뷰 진행 = 353 
  장 루슈ㆍ제임스 블루가 인터뷰 진행 = 359 
  내레이션은 치명적일 수 있다ㆍ로버트 드류 = 362 
  〈김미 셸터〉ㆍ폴린 카엘 = 365 
  네 방향의 대화, 편집ㆍ프레더릭 와이즈먼 = 373 
4부 
 10 사회적 관심사를 다룬 영화 
  도입 = 383 
  산티아고 알바레즈 인터뷰 = 384 
  역사는 내 모든 영화의 테마다ㆍ에밀 드 안토니오 인터뷰 = 392 
  고문 희생자 촬영ㆍ헤스켈 웩슬러 = 401 
  〈로저와 나〉ㆍ로저 에버트 = 402 
  〈한 민족의 죽음〉ㆍ켄 로치 = 406 
  반동으로 :〈후프 드림스〉와 작품의 불만ㆍ폴 아서, 자넷 커틀러 = 408 
 11 다양성 
  도입 = 419 
  다큐멘터리의 독특한 역할ㆍ크쥐시토프 키에슬롭스키 = 420 
  쇼아 : 학살에 대한 증언ㆍJ. 호버만 = 426 
  무(無)의 실재ㆍ클로드 란즈만 인터뷰 = 435 
  겉모습과 현실ㆍ막시밀리안 셸의 〈마를레네〉에 대한 가브리엘 아난의 평 = 440 
  〈가늘고 푸른 선〉ㆍ테렌스 래퍼티 = 450 
  다큐멘터리가 다큐멘터리가 아닐 때ㆍ리지 프랑케 = 458 
  닉 브룸필드 : 옥에 티ㆍ앨리슨 피어슨 = 466 
  〈어둠의 심연 : 한 영화감독의 묵시록〉ㆍ로저 에버트 = 476 
  〈업〉다큐멘터리(1985)ㆍ로저 에버트 = 480 
  캠코더 문화의 부상ㆍ폴 바커 = 486 
  끄집어 내기ㆍ마이클 이튼 = 493 
 12 돌파구 
  하바나의 하늘ㆍ리처드 팔콘 = 505 
  베르너 헤어초크의 새로운 방향ㆍJ. 호버만 = 512 
  니콜라스 필리베르의 예측할 수 없는 발견ㆍ하워드 페인스타인 = 519 
  안개를 걷으며 : 에롤 모리스가 자신의 영화에 대답하다ㆍ리비아 블룸 = 524 
  L.A 컨피덴셜ㆍ에이미 토빈 = 530 
  결코 어설프지 않게, 제대로ㆍ케빈 맥도널드 = 536 
  일종의 진실한 고백ㆍ폴 아서 = 540 
  태국 사람들의 이야기ㆍ척 스티븐스 = 552 
  자아들이 강림했다ㆍ존 론슨 = 555 
  아담 커티스 : '나는 현대적 저널리스트다'ㆍ한나 이브스와 조너던 말로 = 562 
  이란의 준(準)다큐멘터리ㆍ마크 커즌스 = 569 
  곤충을 향한 앵글ㆍ마이클 X. 페라로 = 574 
  사회적 다큐멘터리에 무슨 일이 생겼을까ㆍ스티브 토머스 = 579 
 13 중요한 질문들 
  닉 브룸필드 = 591 
  아담 커티스 = 593 
  피터 데일 = 594 
  몰리 디넨 = 595 
  헤르츠 프랑크 = 597 
  니콜라스 프레이저 = 598 
  클라이브 고든 = 603 
  마이크 그릭스비 = 604 
  클로드 란즈만 = 605 
  리처드 리콕 = 610 
  킴 론지노토 = 612 
  필리파 로소프 = 614 
  크리스 마커 = 616 
  앨버트 메이슬리스 = 616 
  마르셀 오퓔스 = 620 
  파웰 파울리코우스키 = 626 
  펜베이커와 크리스 헤게더스 = 630 
부록 : 폴린 카엘에게 부치는 답변 = 632 
감사의 말 = 636 
찾아보기 = 642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