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전(正典) 형성의 논리

정전(正典) 형성의 논리 (2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형대 李亨大, 편 강상순 姜祥淳, 저 권오현, 저 기현주 奇賢珠, 저 김승우 金承宇, 저 김윤희 金允姬, 저 김장환 金長煥, 저 김풍기 金豊起, 저 박상진 朴商辰, 저 백승욱 白勝旭, 저 송상기 宋相奇, 저 안영희 安英姬, 저 오윤선, 저 윤혜준 尹惠浚, 저 이석호 李錫虎, 저 이영섭 李永燮, 저
서명 / 저자사항
정전(正典) 형성의 논리 = Logics of canon formation / 이형대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형태사항
512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문화동역학 라이브러리 ;14
ISBN
9788956269092 9788956268514 (세트)
일반주기
글쓴이: 강상순, 권오현, 기현주, 김승우, 김윤희, 김장환, 김풍기, 박상진, 백승욱, 송상기, 안영희, 오윤선, 윤혜준, 이석호, 이영섭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2123namcc2200649 c 4500
001 000045772119
005 20131029093035
007 ta
008 131025s2013 ulka b 000c kor
020 ▼a 9788956269092 ▼g 94800
020 1 ▼a 9788956268514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01.95 ▼2 23
085 ▼a 801.95 ▼2 DDCK
090 ▼a 801.95 ▼b 2013z1
245 0 0 ▼a 정전(正典) 형성의 논리 = ▼x Logics of canon formation / ▼d 이형대 엮음
246 3 ▼a 정전 형성의 논리
260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13
300 ▼a 512 p. : ▼b 삽화 ; ▼c 24 cm
440 1 0 ▼a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문화동역학 라이브러리 ; ▼v 14
500 ▼a 글쓴이: 강상순, 권오현, 기현주, 김승우, 김윤희, 김장환, 김풍기, 박상진, 백승욱, 송상기, 안영희, 오윤선, 윤혜준, 이석호, 이영섭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책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700 1 ▼a 이형대 ▼g 李亨大, ▼e▼0 AUTH(211009)68432
700 1 ▼a 강상순 ▼g 姜祥淳, ▼e▼0 AUTH(211009)134583
700 1 ▼a 권오현, ▼e▼0 AUTH(211009)144053
700 1 ▼a 기현주 ▼g 奇賢珠, ▼e▼0 AUTH(211009)59769
700 1 ▼a 김승우 ▼g 金承宇, ▼e▼0 AUTH(211009)117942
700 1 ▼a 김윤희 ▼g 金允姬, ▼e▼0 AUTH(211009)68735
700 1 ▼a 김장환 ▼g 金長煥, ▼e▼0 AUTH(211009)130006
700 1 ▼a 김풍기 ▼g 金豊起, ▼e▼0 AUTH(211009)109780
700 1 ▼a 박상진 ▼g 朴商辰, ▼e▼0 AUTH(211009)67485
700 1 ▼a 백승욱 ▼g 白勝旭, ▼e▼0 AUTH(211009)132969
700 1 ▼a 송상기 ▼g 宋相奇, ▼e▼0 AUTH(211009)39855
700 1 ▼a 안영희 ▼g 安英姬, ▼e▼0 AUTH(211009)15299
700 1 ▼a 오윤선, ▼e▼0 AUTH(211009)132900
700 1 ▼a 윤혜준 ▼g 尹惠浚, ▼e▼0 AUTH(211009)104204
700 1 ▼a 이석호 ▼g 李錫虎, ▼e▼0 AUTH(211009)45635
700 1 ▼a 이영섭 ▼g 李永燮, ▼e▼0 AUTH(211009)50058
900 1 0 ▼a Lee, Hyung-dae, ▼e
900 1 0 ▼a Kang, Sang-soon, ▼e
900 1 0 ▼a Kwon, Oh-hyun, ▼e
900 1 0 ▼a Ki, Hyun-joo, ▼e
900 1 0 ▼a Kim, Seung-u, ▼e
900 1 0 ▼a Kim, Yun-hee, ▼e
900 1 0 ▼a Kim, Jang-hwan, ▼e
900 1 0 ▼a Kim, Pung-gi, ▼e
900 1 0 ▼a Park, Sang-jin, ▼e
900 1 0 ▼a Baik, Seung-wook, ▼e
900 1 0 ▼a Song, Sang-hee, ▼e
900 1 0 ▼a An, young-hee, ▼e
900 1 0 ▼a Oh, Yoon-sun, ▼e
900 1 0 ▼a Yoon, Hye-joon, ▼e
900 1 0 ▼a Lee, Seok-ho, ▼e
900 1 0 ▼a Lee, young-sub,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117055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9205739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51320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117055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9205739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1.95 2013z1 등록번호 151320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어디까지가 고전·명작 일까? 유명한 문학상을 받았다 하여 다 정전 취급을 받는 것도 아니요, 오래된 작품이라고 모두 시대적 가치를 초월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을 담은 연구서 <정전 형성의 논리>가 출간되었다.

정전의 문제의식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가운데 벼려지며, 더 나은 삶과 공동체를 위한 미래의 기획 속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막대하다. 단언컨대 정전은 중요하지 않았던 적이 없었다. 그러나 그 중요성과 독서의 실천 사이에는 언제나 큰 간극이 존재해왔다.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읽히지 않는 책이 고전이라는 식의 시니컬한 언술은 이제 그리 낯설지 않다.

그만큼 고전은 누구나 관심이 있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혹은 접근할 마음을 내지 않는 책으로 인식된다. 우리는 이러한 간극 속에서 도대체 ‘고전’은 어떻게 결정되며 그 가치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전 형성의 논리>가 그 해답이 될 것이다.

정전canon은 흔히 학교 등의 교과과정 속에서 공인된 텍스트나 해석 혹은 모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널리 인정받은 텍스트를 말한다. 이 용어는 표준과 기준, 기원을 함의하므로, 역사적으로 정전은 그것이 지닌 원래적인 권위와 그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으로 지탱되어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렇게 인정되는 정전들은 (세계의 문학은 말할 것도 없고) 한 국가의 문학 범주 내에서도 어떤 것이 정전이냐에 대한 합의는 말끔하게 정리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쯤에서 우리는 이러한 의문을 마주하게 된다. 서울대 필독 도서가 정전이면 셜록 홈즈는 정전이 아닌 것인가. 어디까지가 ‘고전 / 명작’일까? 앞서 편의상 공인된 텍스트라고는 했지만 공인이라는 것이 나라에서 KS품질보증을 해주듯 도장을 쾅쾅 찍어주는 것도 아니고, 널리 인정받았다는 것도 사실 애매하다. 유명한 문학상을 받았다 하여 다 정전 취급을 받는 것도 아니요, 오래된 작품이라고 모두 시대적 가치를 초월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을 담은 연구서 <정전 형성의 논리>(2013, 소명출판)가 출간되었다.

정전은 형성의 사회문화적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 문명권이나 지역 국가에 따라 그리고 시대에 따라 정전화 및 탈정전화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행 정전 연구는 현재중심주의적 편향된 것이 사실이다. <정전 형성의 논리>는 이러한 좁은 연구의 시야를 극복하고자 시기적으로는 근대 이전의 중세나 고대까지, 공간적으로는 비서구 지역의 다양한 문명권까지, 대상 텍스트로는 협애화 된 근대적 의미의 문학텍스트를 넘어 인문학텍스트 전반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는 그간 서구 중심으로 수행된 정전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타자적 맥락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전의 문제의식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가운데 벼려지며, 더 나은 삶과 공동체를 위한 미래의 기획 속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막대하다. 단언컨대 정전은 중요하지 않았던 적이 없었다. 그러나 그 중요성과 독서의 실천 사이에는 언제나 큰 간극이 존재해왔다.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읽히지 않는 책이 고전이라는 식의 시니컬한 언술은 이제 그리 낯설지 않다. 그만큼 고전은 누구나 관심이 있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혹은 접근할 마음을 내지 않는 책으로 인식된다. 우리는 이러한 간극 속에서 도대체 ‘고전’은 어떻게 결정되며 그 가치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전 형성의 논리>가 그 해답이 될 것이다.

[필자소개]
강상순 姜祥淳 Kang, Sang-soon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
권오현 權?鉉 Kwon, Oh-hyun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 교수
기현주 奇賢珠 Ki, Hyun-joo 세종대학교 초빙교수
김승우 金承宇 Kim, Seung-u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김윤희 金允姬 Kim, Yun-hee 고려대학교 강사
김장환 金長煥 Kim, Jang-hwan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김풍기 金豊起 Kim, Pung-gi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박상진 朴商辰 Park, Sang-jin 부산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 교수
백승욱 白勝旭 Baik, Seung-wook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송상기 宋相琦 Song, Sang-kee 고려대학교 서어서문학과 교수
안영희 安英姬 An, Young-hee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연구원
오윤선 吳侖鮮 Oh, Yoon-sun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윤혜준 尹惠浚 Yoon, Hye-joon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이석호 李錫虎 Lee, Seok-ho (사)아프리카문화연구소장
이영섭 李永燮 Lee, Young-sub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이형대 李亨大 Lee, Hyung-dae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형대(엮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의 옛 시가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시가학회, 한민족문화학회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인문학의 대중적 확산과 공유를 위한 활동에도 관심이 높다. 저서로 『정전 형성의 논리』, 『신라인의 마음, 신라인의 노래』, 『한국 고전시가와 인물형상의 동아시아적 변전』,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어우야담』, 『고산유고』(이상 공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정전(연구)의 새로운 지평 : 정전성의 정치학 / 박상진
  1. 정전의 정전성 = 15
  2. 서양 정전(연구)의 계보 = 23
  3. 정전 연구의 지평 = 37
  4. 정전성의 정치학 = 52
 (비평)이론과 정전, (비평)이론의 정전 / 윤혜준   
  1. 들어가며 = 62
  2. 이글튼 = 63
  3. 비평이론과 정전 = 67
  4. (비평)이론의 정전 = 72
  5. 나가며 = 84
 고전의 번역과 대중화, 그 현실과 전망 / 김풍기   
  1. 고전의 두 얼굴 = 89
  2. 고전 번역의 방식과 그 의미 = 91
  3. 고전의 해석과 훼손 사이 : 정전의 계승과 새로운 정전의 발견 = 98
  4. 새로운 고전의 발견 = 105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이형대   
  1. 서론 = 110
  2. 근대계몽기, 국권회복의 기획과 시조의 위상 = 112
  3. 1920∼30년대 국민문학으로서 시조의 재발견과 정전화 과정 = 118
  4. 선택 빈도 통계를 통해 본 개별 작품의 정전적 위상 = 132
  5. 결론 = 138
 김태준의 시가사 인식과 고려가사의 정전화 양상 / 김승우   
  1. 들어가며 = 142
  2. 고려시대에 대한 초기 국문학사의 시각 = 145
  3. 김태준의 시가사 인식과 ;고려가사'의 성립 = 154
  4. 나가며 : 고려가사 논의의 향방과 의의 = 172
 『송강가사』에 대한 가람 이병기의 비평과 정전화의 실제 / 김윤희   
  1. 서론 = 180
  2. 가람 이병기의「『송강가사』의 연구」와 실천적 고전 비평 = 185
  3.『송강가사』의 해석 및 비평을 통해 본 정전화의 실제 = 192
  4. 결론 = 206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 강상순     
  1. 들어가며 = 211
  2. 근대 이전 정전 체계 속에서 소설의 위상 = 218
  3. 1900∼10년대 소설 장르의 재발견과 고전소설 부정론 = 221
  4. 1920∼30년대 고전소설의 역사화와 고전적 가치의 재인식 = 230
  5. 나가며 = 251
 19C 말∼20C 초 영역 작업을 통해 본 외국인의 한국 고전문학 인식 / 오윤선   
  1. 들어가며 = 257
  2. 19C 말∼20C 초 국외에 영역 소개된 한국 고전문학 = 258
  3. 외국인의 한국설화 영역태도 = 267
  4. 외국인의 왜곡된 한국문화 묘사 = 283
  5. 나가며 = 297
제2부    
 중국 정전의 성립과 변천 :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 김장환 ; 이영섭      
  1. 동양의 정전인 경전의 탄생 = 305
  2. 경전 해석의 전개와 변천 = 310
  3. 경전과 현대사회 = 323
 일본 사소설의 정전 형성 :『이불』을 중심으로 / 안영희     
  1. 서론 = 328
  2. 사소설의 탄생과『이불』의 정전화 = 330
  3.『이불』과 독자 = 341
  4. 근대 그리고 젠더 = 349
  5. 결론 = 355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문학과 현대적 전유의 가능성 / 이석호   
  1. 서론 : 문학사 기술의 어려움 = 359
  2. 남부 아프리카와 구전 혹은 구연의 배경 = 361
  3.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문학과 관련한 연구사 전통 = 364
  4. 남부 아프리카 구전문학의 4단계 분석틀 = 366
  5. 구전의 현대적 전유 = 374
  6. 결론을 대신하여 = 377
 스페인 중세 문학과 정전 / 백승욱   
  1. 들어가며 = 380
  2. 알폰소 현왕과 13세기 언어 개혁 : 스페인문학 정전의 생성 = 385
  3. 15세기 문학 정전과 스페인문학사의 확립 = 389
  4. 스페인 중세 문학의 근현대적 재구성 = 394
  5. 나가며 = 401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의 형성과 새로운 가능성 : 소외된 문학 장르의 정전화에 대한 소고 / 백승욱      
  1. 들어가며 = 406
  2.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 논의와 문제점 = 409
  3.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과 정전화 = 415
  4. 나가며 = 428
 토대를 일구는 라틴아메리카문학과 세계문학으로의 출현 / 송상기  = 433
 독일의 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의 선별 기준과 정전 문제 / 권오현   
  1. 들어가며 = 452
  2. 독일 학교의 문학 교육 : 기본 방향 = 454
  3. 문학 교육에서 정전과 탈정전 논의 = 457
  4. 탈정전으로서의 동시대 문학 = 463
  5. 탈정전 시대의 작품 선별 기준 = 469
  6. 나가며 : 시사점 = 475
 다문화주의적 사회를 위한 '지역 정전' 확립과 필리핀계 미국인 작품 읽기 / 기현주   
  1. 서론 = 479
  2. 정전 확대에 따른 '지역 정전' 확립의 필요성 = 482
  3.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본 필리핀계 미국 소설과 희곡 = 487
  4. 결론 = 503
필자 소개 = 5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