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70camcc2200397 c 4500 | |
001 | 000045771118 | |
005 | 20131024143045 | |
007 | ta | |
008 | 131023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401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03757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71.78 ▼2 23 |
085 | ▼a 371.78 ▼2 DDCK | |
090 | ▼a 371.78 ▼b 2010z1 | |
110 | ▼a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b 학교건강위원회 | |
245 | 1 0 | ▼a 학교위기개입 / ▼d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교건강위원회 편 |
246 | 1 1 | ▼a Crisis intervention in schools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0 | |
300 | ▼a 33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저자: 강윤형, 고복자, 곽영숙, 김붕년, 김영덕, 김재원, 김태숙, 민혜영, 서동수, 안동현, 이소영, 이영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윤형, ▼e 저 |
700 | 1 | ▼a 고복자, ▼e 저 |
700 | 1 | ▼a 곽영숙, ▼e 저 |
700 | 1 | ▼a 김붕년, ▼e 저 |
700 | 1 | ▼a 김영덕, ▼e 저 |
700 | 1 | ▼a 김재원, ▼e 저 |
700 | 1 | ▼a 김태숙, ▼e 저 |
700 | 1 | ▼a 민혜영, ▼e 저 |
700 | 1 | ▼a 서동수, ▼e 저 |
700 | 1 | ▼a 안동현, ▼e 저 |
700 | 1 | ▼a 이소영, ▼e 저 |
700 | 1 | ▼a 이영식,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78 2010z1 | Accession No. 1117053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최근의 학교는 학생들이 안심하고 다니기 어려운 곳이 되고 있다. 학교폭력, 성폭력, 자살, 자연재해 그리고 학교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고 등으로 인해 학생들은 신체적 상해를 입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 책은 학교 현장에서 이와 같은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위기개입이라는 전략을 통하여 위기를 겪은 학생들을 위기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회복시키며 가족 기능을 안정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지침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학교 현장에서 위기개입의 일반지침과 상세한 대응 전략을 담은 매뉴얼을 포함하고 있다. 제2부는 여러 위기 상황, 즉 학교폭력, 성폭력, 자살, 자연재해 및 학교 내 사고가 발생했을 때 도움이 되는 세부 개입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제3부는 학교 내 위기의 실제 상황을 담아서 앞으로 이 책이 학교에서의 위기개입을 넘어, 사회 전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위기 상황에서도 유익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학교 위기개입 일반지침 01 위기의 정의와 이해 = 11 1. 위기의 정의 = 11 2. 위기의 구성요소 = 12 3. 위기의 단계 = 16 4. 위기에 처한 내담자의 감정 = 19 5. 위기가 초래하는 심리적인 영향 = 20 6. 요약 = 24 02 학교 위기개입 일반지침 = 27 1. 위기개입의 목표 = 30 2. 위기개입의 단계 = 32 3. 위기개입의 일반지침 = 35 4. 위기 선별 면담 예시 = 38 5. 위기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 = 42 6. 연령에 따른 위기에 대한 반응 = 44 7. 면담자의 태도 = 49 8. 정신과 전문의에게 의뢰해야 하는 경우 = 54 9. 발생 후 즉각적인 대처 및 치료 = 55 10. 부모 및 교사에 대한 조언 = 63 제2부 학교 위기개입 세부지침 03 학교폭력 위기개입 = 91 1.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 = 91 2. 개별 사례 = 100 3. 학교폭력의 대책 = 104 4. 정신의학적 개입 = 111 5. 결론 = 116 04 성폭력 위기개입 = 121 1. 성폭력에 대한 이해 = 122 2. 성폭력의 피해 = 132 3. 성폭력의 평가 = 137 4. 성폭력에 대한 개입 = 152 5. 부모를 위한 권고 = 158 6. 교사를 위한 권고 = 160 7. 신고 및 법적 문제 = 169 05 자살 위기개입 = 175 1. 청소년 자살에 대한 이해 = 176 2. 자살 시 학교 위기개입 및 관리 지침 = 184 06 자연재해 위기개입 = 215 1. 자연재해에 대한 이해 = 215 2. 치료 시 고려해야 할 아동의 연령적 특이성 = 220 3. 초기 평가 작업 = 222 4. 치료 계획 수립 = 222 5. 예방 프로그램 = 223 6. 다양한 치료 기법 = 224 7. 결론 = 232 07 학교 내 사고에 의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접근 = 235 1. 학교 내 사고에 대한 이해 = 235 2. 학교 내 사고와 같은 위기 상황과 아동의 반응 = 237 3. 실제 학교 내 사고 발생과 대처 과정 = 240 4. 2007년 경험을 통해 본 학교 내 사고 대처 방안 = 256 제3부 학교 현장에서의 위기개입 실제 08 학교 위기 상황 대응 매뉴얼 = 263 1. 학교 위기 상황 대응 방법 = 264 2. 위기 상황별 처리 방법 = 266 09 통계로 본 학교 안전사고와 보상 = 283 1. 학교안전공제회 연혁 = 283 2. 학교안전공제제도 = 284 3. 공제급여 관리시스템 = 286 4. 학교 안전사고 통계자료 주요 내용 = 286 5. 학교 안전사고 통계자료 개선방향 = 322 6. 사고통지 및 업무처리 흐름도 = 326 7. 학교안전공제 사각지대의 발생 = 328 8. 결론 = 329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