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역사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Ellis, Jack C., 1922- McLane, Betsy A., 저 허욱, 역 김영란, 역 이장욱, 역 김계중, 역 노경태, 역
서명 / 저자사항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역사 / 잭 엘리스, 베시 멕레인 지음 ; 허욱 [외]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비즈앤비즈,   2011  
형태사항
427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비즈앤비즈 영화 비디오 시리즈 ;6
원표제
(A) new history of documentary film
ISBN
9788992607728
일반주기
공역자: 김영란, 이장욱, 김계중, 노경태  
부록: 1. 영화제, 2. 아카데미상 수상 다큐멘터리들, 3. 국립영화 등재 목록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Documentary films -- History and criticism
000 01265camcc2200397 c 4500
001 000045770306
005 20131018150725
007 ta
008 110223s2011 ulka b 000c kor
020 ▼a 9788992607728 ▼g 13680
035 ▼a (KERIS)BIB000012340019
040 ▼a 211044 ▼c 211044 ▼d 211044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70.1/8 ▼2 23
085 ▼a 070.18 ▼2 DDCK
090 ▼a 070.18 ▼b 2011z1
100 1 ▼a Ellis, Jack C., ▼d 1922- ▼0 AUTH(211009)80842
245 1 0 ▼a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역사 / ▼d 잭 엘리스, ▼e 베시 멕레인 지음 ; ▼e 허욱 [외] 옮김
246 1 9 ▼a (A) new history of documentary film
260 ▼a 서울 : ▼b 비즈앤비즈, ▼c 2011
300 ▼a 427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비즈앤비즈 영화 비디오 시리즈 ; ▼v 6
500 ▼a 공역자: 김영란, 이장욱, 김계중, 노경태
500 ▼a 부록: 1. 영화제, 2. 아카데미상 수상 다큐멘터리들, 3. 국립영화 등재 목록 외
504 ▼a 참고문헌 수록
650 0 ▼a Documentary films ▼x History and criticism
700 1 ▼a McLane, Betsy A., ▼e▼0 AUTH(211009)46104
700 1 ▼a 허욱, ▼e▼0 AUTH(211009)46105
700 1 ▼a 김영란, ▼e
700 1 ▼a 이장욱, ▼e
700 1 ▼a 김계중, ▼e
700 1 ▼a 노경태, ▼e
900 1 0 ▼a 엘리스, 잭, ▼e
900 1 0 ▼a 멕레인, 베시,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11z1 등록번호 1117048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비즈앤비즈 영화 비디오 시리즈 6권. 다큐멘터리 역사의 통찰과 진지한 연구를 담고 있다. 다큐멘터리의 탄생에서부터 2000년대 중 후반까지의 다큐멘터리를 다룬다. 거대한 다큐멘터리의 역사를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저술한 책으로, 다큐멘터리라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기록하려는 수많은 다큐멘터리 작가들을 위한 책이다.

다큐멘터리를 다큐멘터리하다
다큐멘터리 역사의 통찰과 진지한 연구


세상에 대한 뜨거운 호기심으로 다큐멘터리는 시작된다. 허구가 아닌 현실을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현실의 허구적인 해석 대신 현실 그대로를 전달하는 영화. 다큐멘터리에 대해 알려면 우선 다큐멘터리의 역사를 알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다큐멘터리의 탄생에서부터 2000년대 중 후반까지의 다큐멘터리를 다루는 방대한 책이다. 거대한 다큐멘터리의 역사를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저술한 책으로, 다큐멘터리라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기록하려는 수많은 다큐멘터리 작가들에게 뜨거운 손을 내밀며 이정표 역활을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잭 C. 엘리스(지은이)

노스웨스턴 대학교 명예교수 노스웨스턴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NYU, UCLA 등에서 강의 Society for Cinema Studies의 창립 멤버, 1998년 공로상 수상 저서 《A History of Film(Virginia Wright Wexman 공저)》

베시 A. 멕레인(지은이)

International Documentary Association 이사 역임, 현재 명예 이사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버몬트 대학교, 에머슨 컬리지, USC에서 필름과 다큐멘터리의 역사 강의 선댄스 필름 페스티벌 심사위원

허욱(옮긴이)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아트 앤드 디자인 대학(SCAD)의 영화영상학과에서 석사(MA) 학위를 받았고, 뉴욕주 시러큐스대학교 영화과에서 영화제작 석사(MFA) 학위를 받았다. 라스베이거스 네바다주립대학교(UNLV) 영화과 교수를 거쳐, 현재 용인대학교 영화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와 실험영화를 주로 작업하고 있으며, 주요 작품인 「텍사스 도넛샵(Texas Doughnut Shop)」은 AFI다큐멘터리영화제, 샌프란시스코국제영화제 등 전 세계 28개 영화제에 초청되었고, 「하드보일드 원더랜드(Hard-boiled Wonderland)」는 비전 뒤 릴(Visions du Reels)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등을 통해 선보였다. 동아시아의 지하구조물을 찾아다니며 국가 폭력과 인간 존엄의 상실을 그린 다큐멘터리 「언더그라운드」는 2019년 제11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아름다운 기러기상’을 수상했다.

김영란(옮긴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과 석사(MA) Syracuse University 영화제작 예술석사(MFA) 현 용인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출강

이장욱(옮긴이)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영화제작 예술석사(MFA) 현 핸드메이드필름랩 스페이스셀 대표,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 학부 겸임교수

김계중(옮긴이)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영화제작 학사(BFA) 및 예술석사(MFA) 현 성결대학교 영화영상전공 교수

노경태(옮긴이)

테디로필름 제작사 대표이며 영화감독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아트인스티튜트에서 영화제작 석사(MFA), 컬럼비아칼리지에서 영화제작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산업공학 학사를 취득했다. 2006년 제작한 첫 장편 '마지막 밥상'이 선댄스, 로카르노, 로테르담 등 저명한 국제영화제에 초청되고, 2008년 두 번째 장편 '허수아비들의 땅'은 베를린 국제영화제에 초청되었으며 부산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서울국제실험영화제 프로그래머를 지냈고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실험영화 정기상영회를 기획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9
제1장 다큐멘터리에 대해 생각하는 몇 가지 방법들 = 13
 설명 = 13
 정의 = 16 
 지식적 배경 = 17 
 선(先) 다큐멘터리의 기원 = 19 
 다큐멘터리 이론과 다큐멘터리 일반 역사에 관한 참고 도서 = 23 
제2장 탄생기: 미국 작가들과 대중 인류학, 1922∼1929년 = 27
 로버트 플레허티의 작품 = 27
 플레허티 방식 = 39
 플레허티의 영향 = 42
 당시의 영화들 = 43
 참고 도서 = 44
제3장 탄생기: 소비에트와 정치적 교화, 1922∼1929년 = 45
 논픽션 = 46
 극영화 = 59
 당시의 영화들 = 63
 참고 도서 = 64
제4장 탄생기: 유럽 아방가르드 작가와 예술적 실험, 1922∼1929년 = 65
 미학적 경향들 = 65
 아방가르드와 다큐멘터리 = 67
 세 가지 도시 교향곡 = 73
 아방가르드의 종말 = 77
 당시의 영화들 = 79
 참고 도서 = 80
제5장 탄생기: 영국, 1929∼1939년 = 81
 배경과 토대 = 81
 체계 = 84
 영화들 = 88
 그리어슨과 플레허티 = 96
 그리어슨의 공헌 = 100
 당시의 영화들 = 102
 참고 도서 = 103
제6장 탄생기: 미국, 1930∼1941년 = 27
 좌파 영화 = 105
 시간의 행진 = 106
 정부 다큐멘터리 = 109
 비정부 다큐멘터리 = 122
 미국과 영국의 차이점 = 129
 대단원 = 134
 결론을 위한 여담 = 135
 당시의 영화들 = 136
 참고 도서 = 137
제7장 확장기: 영국, 1939∼1945년 = 139
 초창기 = 140
 교화 = 145
 사회적 다큐멘터리 = 148
 전투의 기록 = 151
 당시의 영화들 = 155
 참고 도서 = 155
제8장 확장기: 캐나다 1939∼1945년 = 157
 국립영화위원회의 설립 = 158
 극장용 시리즈 = 160
 비극장 상영 영화들 = 163
 요약 = 165
 당시의 영화들 = 166
 참고 도서 = 167
제9장 확장기: 미국 1941∼1945년 = 170
 훈련 = 170
 교화 = 171
 전투의 기록 = 177
 사회적 다큐멘터리 = 181
 비교: 영국, 캐나다, 미국 = 185
 당시의 영화들 = 189
 참고 도서 = 190
제10장 이루지 못한 약속: 전후 다큐멘터리 1945∼1952년 = 191
 전문 인력과 지도력 = 194
 후원 제도 = 198
 주제 = 200
 접근방법과 기술요소들 = 208
 마지막 관찰 = 209
 당시의 영화들 = 210
 참고 도서 = 212
제11장 최상을 향한 염원: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B팀, 1948∼1964년 = 213
 당시의 영화들 = 223
 참고 도서 = 224
제12장 새로운 채널: TV를 위한 다큐멘터리, "황금 시대", 1951∼1971년 = 225
 역사적 배경 = 226
 다큐멘터리 시리즈 = 228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특성들 = 237
 당시의 영화들 = 240
 참고 도서 = 243
제13장 영국 프리 시네마와 사회적 사실주의 극영화, 1956∼1963년 = 245
 비평적 배경 = 245
 프리 시네마 영화들 = 247
 정치적 문화적 상황들 = 252
 사회적 사실주의 영화들 = 253
 당시의 영화들 = 256
 참고 도서 = 257
제14장 다이렉트 시네마와 시네마 베리테, 1960∼1970년 = 258
 역사적 배경 = 258
 새로운 기술과 최초의 영화들 = 260
 다이렉트 시네마 대 시네마 베리테 = 266
 다큐멘터리의 주제와 스타일의 효과 = 270
 미학적, 윤리적 고려들 = 275
 당시의 영화들 = 277
 참고 도서 = 278
제15장 1970년대 영어권 다큐멘터리: 대중의 힘 = 280
 베테랑 감독들 = 281
 베리테의 새로운 방향 = 288
 사회적, 정치적 주안점 = 295
 역사 다큐멘터리 = 306
 당시의 영화들 = 310
 참고 도서 = 311
제16장 1980년대 영어권 다큐멘터리 - 비디오의 도래 = 313
 케이블과 위성방송의 기술 = 316
 사적(私的) 에세이 영화 = 318
 역사영화 = 322
 정치적 몰입 = 326
 인종 및 민족적 소수자들 = 327
 게이 레즈비언 문화의 재현 = 334
 음악과 공연 = 338
 당시의 영화들 = 342
 참고 도서 = 343
제17장 1990년대 그리고 이후의 영어권 다큐멘터리 - 현실의 조각들 = 345
 사업과 기술: 나쁜 점과 좋은 점 = 346
 미국 공영 텔레비전 = 350
 켄 번즈 현상 = 352
 지속되는 캐나다 = 354
 영국에서의 발전 = 357
 미국의 독립 제작자들 = 363
 극장용 다큐멘터리 = 369
 당시의 영화들 = 377
 참고 도서 = 379
제18장 다큐멘터리에 관해 생각하는 몇 가지 다른 방법들 = 381
 기술적 가능성 = 382
 미학과 내용 = 384
 재정적 측면 = 386
 현실과 친밀한 행위들 = 389
 최근의 이론 = 391
 미래 = 392
 결론 = 394
 참고 도서 = 395
부록 1. 영화제 = 396
부록 2. 아카데미상 수상 다큐멘터리들 = 401
부록 3. 국립영화 등재 목록 = 522
부록 4. 그리어슨 어워드 = 416
부록 5. IDA 어워드 = 424
역자 후기 = 426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