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3c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769955 | |
005 | 20131017100938 | |
007 | ta | |
008 | 131015s2013 tjka MB 000c kor | |
020 | ▼a 9788975994906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290332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352.1409519 ▼2 23 |
085 | ▼a 352.140953 ▼2 DDCK | |
090 | ▼a 352.140953 ▼b 2013z3 | |
100 | 1 | ▼a 육동일, ▼d 1954- ▼0 AUTH(211009)4463 |
245 | 2 0 | ▼a (국민행복시대)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 ▼b 육동일 교수가 국민과 소통해온 이슈와 실천전략 / ▼d 육동일 |
260 |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3 | |
300 | ▼a 285 p. : ▼b 삽화 ; ▼c 23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140953 2013z3 | Accession No. 1117045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가 새 정부 출범에 맞춰서 2010년부터 최근까지 국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썼던 지방분권과 지역발전 그리고 자치행정과 관련한 이슈와 실천전략의 단문을 묶어 냈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국민행복시대와 지방분권, 제2장은 지방분권과 새로운 리더십, 3장은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4장은 지역발전과 자치행정, 그리고 5장은 지상좌담회의 내용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해법 -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이 책은 저자가 새 정부 출범에 맞춰서 2010년부터 최근까지 국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썼던 지방분권과 지역발전 그리고 자치행정과 관련한 이슈와 실천전략의 단문을 묶어 낸 것이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국민행복시대와 지방분권, 제2장은 지방분권과 새로운 리더십, 제 3장은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제4장은 지역발전과 자치행정, 그리고 제 5장은 지상좌담회의 내용에 관한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육동일(지은이)
□ 학 력 ◦대전중앙초(23회), 대전중(19회), 경기고(68회) 졸 ◦연세대 정법대 행정학과 및 대학원 졸 ◦미국 University of New Haven 경영대학원 졸 ◦미국 Columbia University SIPA(국제 및 공공대학원) 졸 ◦행정학 박사(지방 및 도시행정 전공) □ 주요경력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명예교수(2019.9~현재)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1986.2~2019.8) ◦국무총리소속 지방재정부담 심의위원회 위원(2021.4~현재) ◦전국시군구의회의장협의회 정책자문위원회 위원(2021.1~현재) ◦해군 책임운영기관 심의위원회 위원(2021.2~현재)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2018.1~2020.1) ◦자유한국당 대전시 유성(을) 당협위원회 위원장(2018.1~2020.1) ◦자유한국당 대전시당 위원장(2018.9~2019.8)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정책자문위원회위원장(2017.5~2018.6)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지방분권특별위원회 위원장(2017.4~2018.6) ◦중국 강소성 진강시 국제투자촉진 고문(2016.7~2019.7) ◦대통령직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2013.9 ~2015.9) ◦대통령직속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위원(2009.5~2013.5) ◦대전발전연구원장(2006.9~2009.9)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회장(2008.12~2009.9)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2006.2~2007.2) ◦충남대 사회과학대 학장 및 행정대학원 원장(2002.8~2004.8) ◦대전중학교 총동창회 회장(2014.12~현재) ◦연세대학교 대전‧세종 총동문회 회장(2015.1~2019.1) □ 연구저서 및 논문 ◦자치분권학개론(’20), 한국의 지방자치(’19), 한국지방자치행정론(’17), 자치펀치(’16), 지방자치와 국가·지역발전(’15), 국민행복시대 지방분권과 자치행정(’13), 육동일 교수와 함께 지방자치의 길을 찾다(’09), 행정도시가 희망이다(’05) 등의 저서 ◦대통령기록물 분석을 통한 한국지방자치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소고(’20),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19), 세종시의 정착을 위한 국회와 정부간 협력강화 방안(’18), 한국지방자치와 분권 26년의 성과평가와 과제(’17),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언론의 방향과 과제(’16) 등 다수 논문 □ 상훈 ◦대통령 홍조근정훈장(2013) ◦대통령 근정포장(2008) ◦고주 노융희 지방자치상(한국지방자치학회, 2017) ◦세종시 발전 공로패(세종시, 2012) ◦대전개발대상(대전시개발위원회, 2011)

Table of Contents
chapter 01 국민행복시대와 지방분권 = 13 갑의 횡포, 을의 반란 = 15 박근혜 정부 90일 이내에 성패가 갈린다 = 18 지방분권의 평가와 새 정부의 과제 = 21 박근혜 정부에서도 지방분권은 더욱 촉진되어야 한다 = 24 교육감 선거제도 재정비해야 = 30 지방의회가 살아야 지방자치가 살고, 지방자치가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 = 33 새 대통령부터 균형발전 의지 확고히 해야 = 38 지방선거 정당공천제 이제는 끝내야 = 42 복지문제는 국가의 흥망을 좌우 = 45 21세기 미래도시 "아이콘" 되길 = 48 세종시내 국회분원 설치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 51 지방분권은 반드시 가야할 길이다 = 54 MB정부는 미래를 보는 눈이 필요하다 = 57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 60 공정한 사회가 되는 길 = 63 행정도시, 대통령, 그리고 국가미래 = 66 chapter 02 지방분권과 새로운 리더십 = 69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정당과 지방자치 살리는 길 = 71 지방선거 정당공천 폐지, 결단만 남아 = 75 이명박 대통령과 지방분권을 얘기하다 = 78 교육감 선거제도 개선으로 교육자치 바로 세워야 = 81 기초지방의원 정당공천제 이제는 끝내야 = 86 지역사회의 통합을 이룰 새 리더십이 필요 = 92 미래, 신뢰, 소통의 대통령을 원한다 = 95 대선후보들은 지역균형발전전략 내놔야 = 98 새 국회, 새 의장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 101 소수 전문가보다 평범한 다수가 더 지혜롭다 = 104 충남대 총장선거제도를 바꿔야 한다 = 107 국가와 지역은 새 리더십을 요구한다 = 110 여자축구가 민선 5기에 주는 교훈 = 113 사회통합을 위해 지방선거제도 개선하자 = 116 대전시장의 새로운 리더십을 기대한다 = 119 6.2 지방선거에 적극 참여하자 = 122 chapter 03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 125 성실한 정부보다 현명한 정부가 돼야 = 127 지역발전을 위한 재정위기 극복방안 = 130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를 위한 교육감 선거제도 개선방안 = 137 미래행정은 투명과 소통, 나눔과 협력이 핵심 = 143 논산·계룡시 통합의 성공조건과 과제 = 146 불편한 진실이 되어가는 지방행정체제개편 = 150 구(區) 자치제는 대수술이 불가피하다 = 153 수도권 규제완화의 득과 실, 그리고 해결방안 = 156 2011년 지방자치의 회고와 향후 과제 = 163 지방의회의 전문화로 주민 신뢰를 얻자 = 167 주민투표는 지방자치의 일대 혁신을 요구 = 170 지방의회 20년 뜯어고쳐야 할 것들 = 173 동남권 협력의 시대를 열자 = 176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이 중요하고 시급하다 = 180 지방재정위기 삼위일체(三位一體)로 풀어야 = 185 민선 5기 '주민 삶의 질'개선에 초점 맞춰야 원수까지 발탁했던 '제갈공명 인사전략' 본받을 필요 = 188 지방의회 여소야대 = 191 지역언론이 살아야 지방자치가 산다 = 194 대전교육의 틀을 새로 디자인해야 = 197 chapter 04 지역발전과 자치행정 = 201 과학벨트, 정책디자인보다 정책소통이 더 중요 = 203 세종시의회의 필요성을 시민들에게 보여줘 = 209 대전 도시재생의 세가지 성공비결은? = 212 대전의 미래에 대한 두 가지 우려 = 215 롯데테마파크, 대전시민이 결단 내려야 = 218 지역 대학이 지방분권에 앞장서야 = 221 세종시, 미래세상과 만나다 = 224 '원칙과 신뢰'는 세종시 성공의 길잡이 = 227 세종시는 지역언론의 혁명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 230 세종시는 세종(世宗)의 리더십이 필요 = 233 세종시의 미래는 새 교육감에 달려 = 236 세종시의 발전은 지역대학이 주도해야 = 239 세종시와 세종시민은 새로 태어나야 = 242 국정(國政)이 바로서야 세종시가 바로서고, 세종시가 바로서야 국가와 지역이 바로선다 = 245 세종시가 바로서야 국가와 지역이 바로선다 = 245 행복(幸福)도시의 불행(不幸)은 막아야 = 250 2020 대전의 미래상과 발전전략 및 과제 = 253 chapter 05 지상좌담회 = 257 지방분권, 이제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정신 - 중도초대석 = 259 육동일 충남대 교수에게 듣는다 - 인터뷰 질의서 = 266 글로벌 창조도시 뉴-대전이 돼야 = 274 명사와의 만남 = 282